이더리움 난이도 폭탄 업데이트
kr·@atomrigs·
0.000 HBD이더리움 난이도 폭탄 업데이트
원글은 체인톡에 있습니다. http://www.chaintalk.io/bbs/board.php?bo_table=blockchain&wr_id=184 이더리움의 다음단계 주요 업그레이드인 메트로폴리스 포크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비탈릭은 6월말까지 이를 완료하고자 한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아직까지 최종적인 일정은 발표 되지는 않았지만, 6월말보다 많이 늦어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얼마전(3월3일) 이더리움 코어 주요개발자 회의가 있었는데, 이를 유투브에 올렸습니다. <iframe width="600" height="338" src="https://www.youtube.com/embed/EiXwg9vjGdY"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토론내용중에 난이도 폭탄과 PoS로의 전환에 관한 비탈릭의 입장표명이 있습니다. 메트로폴리스 포크자체는 PoS 전환이 주 목적이 아닙니다. PoS으로의 최종적인 전환은 다음단계인 세레너티 포크에서 가능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메트로폴리스 포크에서 PoS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는 PoW 난이도 폭탄이 곧 작동하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난이도 폭탄은 이더리움이 PoW 을 최종적인 합의알고리듬으로 사용하지 않고, 초기단계의 임시적인 목적임을 천명하기 위한 의도적 장치였습니다. 일정한 블럭수가 쌓이면 추가적인 해시파워의 투입이 없어도 난이도가 자체적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오르기 시작해서, PoW 에 의한 채굴은 불가능해지는 단계가 되게 만든 것입니다. 출발부터 채굴자들에게 이더리움 채굴이 한시적인 것임을 미리 공언해둔 것이지요. 그런데, 작년 다오와 DoS 공격 등으로 인해, 개발일정이 상당히 지연되면서, 현재 PoS 로 바로 전환하기 위한 충분한 동의확보와 세부적인 파라미터 설정이 완료되지 못한 실정입니다. 이런 상태에서 난이도 폭탄은 곧 발발하게 생겼으니 여기서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참고로 비탈릭이 계산한 바에 의하면 난이도 폭탄 효과는 이렇습니다. 올해 3월말: 14.6초 올해 6월말: 20-21초 올해 8월말: 32초 난이도가 급상승하기 때문에, 블럭주기가 계속 느려져서 8월말이 되면 현재의 두배가 넘게 됩니다. 이런 상태로는 dapp 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에 상당한 장애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8월말 이전에, 가능하면 6월말이전에 뭔가 대책이 있어야 된다는 이야기죠. 일차적인 대응책은 난이도 폭탄의 작동시기를 몇개월 더 늦추는 것입니다. 비탈릭이 6월말까지 메트로폴리스 포크를 주장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메트로폴리스 포크에서 난이도 폭탄 지연코드를 같이 넣으려는 의도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공개된 것이 없기 때문에 추측에 불과합니다. 또한 PoW에서 PoS 으로의 전환을 한순간에 끝내는 것이 아니라 1년 이상을 두고 단계적으로 전환시키는 방안을 고려 중에 있다고 합니다. PoW -> PoW with PoS "on top" -> Hybrid PoW/PoS -> PoS 즉 현행 PoW "위에" Pos를 추가해서 작동시키다, PoW, PoS 가 각각 블럭생성을 하는 단계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PoS 단일 체계로 전환시키는 것입니다. 하이브리드 상태에서 PoS 의 블럭생성율이 0-100의 스케일로 점점 PoS 비중이 늘어나도록 PoW 의 보상, PoS 에 대한 인센티브를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이더리움을 최근에 접한 분들은 왜 굳이 PoW 에서 PoS 으로 전환하려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주요 장점만 열거하자면 이렇습니다. (1) 대폭적인 트랜잭션 처리 능력 향상 / 다체인 확장인 샤딩에 매우 유리 (2) 블럭주기 단축에 매우 유리 (3) 에너지 절약 (4) PoW 의 안정성 문제/ 보안취약점 해결 등입니다. 물론 이에 따른 여러가지 이슈들, 또는 잘못하면 단점이 될 수 있는 것들도 있겠지만, 이에 대해서는 다른 글에서 다시 논의해봐도 좋겠습니다.
👍 atomrigs, bitland, zefa, lhy, kopasi, votelotto, foodmap, steemexwon, runridefly, badassmother, wang, masteryoda, deanliu, unipsycho, blackchen, pal, roelandp, darth-azrael, au1nethyb1, steemit200, tmntzara, fyrstikken, contentjunkie, grey580, sqube, sergey44, kurtbeil, proglobyte, proglobyte-m1, steembriefing, steemint, tingaling, zentat, ubg, steemitguide, patelincho, stray, darthnava, pairmike, proctologic, karenmckersie, daisyd, barrydutton, denmarkguy, konelectric, andrei, driptorchpress, forrestwillie, fentan99, opall, wilburtsmythe, suntzu, stun, annul, statsbot, whatageek, crashoverride, jambii, cartman, azz, scratchy, philipjfry, sideshowbob, mchammer, fyrst-witness, icecube, itchy, jebus, charity, currie, wiggum, bitrx, dickbutt, bluetrade, guerilla, ladder, quimby, austinpowers, kickass, newsbot, drnick, steemet, nedd, chart, kitt, towelie, movietrailers, giantbear, jag, highfive, shape, icet, vanilla, katt, shapeshifter, curei, thedeplorable1, qantheman, dademurphy, oreo, cowboycurtis, conky, view, popcornmachine, mrssteve, peeweeherman, krusty, mrhanky, clarence, scene, meysam, reaction, elviss, chair, coolcat, jamesjarman, timelapse, richardcrill, abdullar, morning, jucbitcoin, alol, cyan91, july01, lighthil, leesunmoo, slowwalker, ramires, webus, cazimi, wooklym, eraseme, kimverpool, behappy7, jamesmoriarty777, jeongminc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