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소식] 부자 나라일수록 크립토 자산에 관심 많다..한국은?
sct·@cheolwoo-kim·
0.000 HBD[암호화폐 소식] 부자 나라일수록 크립토 자산에 관심 많다..한국은?
`부자 나라일수록 암호화폐 등 크립토 자산에 관심이 많으며 거래도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 분석업체인 더 블록이 지난해 11월 말부터 올해 4월말까지 거래가 활발한 암호화폐 거래소 48개 웹사이트의 트래픽을 분석한 결과다. 더 블록은 거래소 웹사이트의 총 트래픽을 분석한 결과 절반 이상이 미국과 일본, 한국, 인도네시아, 인도 등 5개국에서 발생했다고 밝혔다.` `국가별로 미국이 전체 트래픽의 24.5%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일본(10%)이 2위, 한국(6.5%)이 3위, 인도네시아 (4.5%)가 4위로 그 뒤를 이었다.`  → 자료- 더블록, 거래소 웹 트래픽(총) `무엇보다 흥미로운 것은 각 국가의 인구대비 트래픽을 살펴보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어느 국가의 국민이 실제로 암호화폐에 관심이 많은지 알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위를 기록한 싱가포르는 6개월 동안 총 730만의 트래픽이 발생했는데 이는 싱가포르 국민 500만명을 넘어섰다. 싱가포르의 모든 국민이 최소 한 번 이상(1.31회) 거래소 웹사이트에 방문했을 정도로 관심이 많다는 얘기다.` `인구 대비 트랙픽 2위를 기록한 한국은 0.87회였고, 뒤 이어 스위스, 노르웨이, 네덜란드 등이 인구대비 암호화폐에 관심이 많은 국가로 나타났다. 아프리카에서는 남아프리카 리비아 및 알제리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곳으로 확인됐다.` `싱가포르 -총 730만 방문 (1.31 회/인구)` `한국 – 4500만 방문 (0.87 회/인구)` `스위스 – 710만 방문 (0.84 회 / 인구)` `노르웨이 – 380만 회방문 ( 0.72 회 / 인구)` `홍콩 – 500만 방문 (0.68 회 / 인구)` `일본 – 6870만 방문 ( 0.54 회/인구)` `미국 – 1 억 6870만 방문 (0.52 회 / 인구)` `네덜란드 – 760만 방문 (0.45 회 / 인구)` `오스트리아 – 380만 방문 (0.44 회/인구 )` `벨기에 – 490만 방문 ( 0.43 회/인구 )` `더 블록은 “이들 국가의 1인당 GDP와 암호화폐 거래소의 웹 트래픽 수치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며 “부유한 나라일수록 크립토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고 거래도 활성화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이하 중략... --- 원문출처 :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2525 --- 확실히 크립토 산업을 이끌어 가는 미국이지만 한국도 이에 뒤지지 않는 관심을 보이고 있네요. 차이점은 정부의 크립토 산업을 바라보는 태도가 아닐까요. 일본은 암호화폐 거래 관련 주요 내용을 담은 금융상품거래법 및 결제서비스법 개정안이 참의원을 통과했다는 소식이 있던데, 크립토 산업이 제도권으로 들어가는 좋은 소식임이 틀림없겠네요. 우리 정부도 손놓고 있지말고 제발 공부 좀 했으면...하고 바래봅니다. ^^ --- 
👍 heger, votes4minnows, laissez-faire, kabasakal, emotionalsea, mozer, elviento, hdu, imisstheoldkanye, ezravandi, junvebbei, accelerator, miti, sct.down, minigame, dcommerce, busy.pay, sct.tom, solnamu, j-car, notouch, naha, naha.sct, sinta2, koreaminer, virus707, storysharing, sct.cu12, stpeople, photoholic, sct.cu14, insidebig, girina79, bree1042, cheolwoo-kim, stablewon, indygu2015, jsquare, hyokhyok, ram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