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만 되면 축축 늘어진다.
kr·@dakfn·
0.000 HBD여름만 되면 축축 늘어진다.
작년 7월 즈음이 되자 나는 한달 정도 열심히 하던 스팀잇을 쉬었었다. 기억이 정확하지 않으니 원인을 여러가지로 가져다 대긴 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스팀잇만 그런게 아니라 본업도 그렇고 다른 것도 그렇고 여름만 되면 그랬던 것 같다. 식물들에게야 가장 많이 자라는 시기겠으나 '나'라는 사람에게는 겨울 만큼이나 여름도 정체되는 시기다. 이유는 모르겠다. 그냥 매번 여름이 되면 6월부터 9월까지가 타임머신을 탄 것처럼 순식간에 지나가 버리곤 한다. (혹은 너무 많은 일들이 일어나기에 스스로 추억하기를 포기하여 아무일도 없었다고 자신을 기만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뭐 대부분의 경우는 여름 방학에 맞춰 출시되는 중독성 강한 게임들 때문에 타임머신을 타게 되기도 하지만, 그런 경우가 아니더라도 그냥 덥다는 이유만으로 뒹굴거리면서 어영부영하다 보면 여름이 다 가곤 했다. 나는 겨울보다는 여름을 좋아하는 편이다. 물론 너무 더워서 땀을 뻘뻘 흘리며 선풍기를 인공호흡기마냥 의지하며 보내는게 안락하지만은 않겠으나, 그래도 추운 겨울보다는 낫다. 하루 종일 비가 오는 장마철이 제일 좋고 (비가 와서 눅눅하고 하루 종일 우울하다는 사람과는 반대다. 나는 눅눅하든 뭐든 밖에서 빗소리가 나는게 좋고 어두운 날이 좋고 비가 오는 날은 더 좋다.) 장마가 끝난 7월 하순부터 9월 하순까지는 아이들이 방학인 것처럼 하릴 없는 반백수인 나라고 해도 역시나 방학이 된 것처럼 정신줄 놓고 시간을 타임머신처럼 보내곤 한다. 사실 말은 아무렇지 않다고 하지만 코인 가격이 떨어져서 조금은 속상하기도 하다. 말이 그렇지, 사람인데 코인이 떨어졌는데 정말 아무렇지도 않을 수가 있겠는가. 그래도 정신적 타격이 육체의 손상에 이를 정도로 크게 상심하지는 않는 것 같다. 왜냐면, 아직도 코인시장이 망하지 않았고, 특히나 좀 신기가(?) 있는 지인의 말이 여름 다 끝나갈 즈음부터 다시 코인시장에 불이 붙는다는 묘한 예언을 했기 때문이다. (그 사람은 코인을 하지 않으면서 관심만 많다. 대게 그런 사람의 예측은 거의 맞는 법이다. 마치 내가 코인을 직접 하지 않으면서 코인에 대해 떠들던 때처럼 말이다.) 올해는 하고 싶은게 많았는데, 매년 그렇듯이 리스트만 가득 채웠고 정작 실천한 건 완료한 게임 목록 뿐이다. 나머지는 모두 계속 to do 로만 남아 있다. 굳이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는 7가지 효율적인 방법'을 읽지 않아도 본능적으로 알고 있다고나 할까. 그런건 사실 남이 가르쳐 주지 않아도 쉽게 할 수 있다. 하하 북미회담도 사실 알맹이는 거의 없이 끝이 났고 월드컵도 벌써 끝줄이고 코인시장은 아직도 바닥이고.. 이대로면 여름도 별 일 없이 지나갈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여름이라는 기간이 그렇다. 겉보기에는 별로 변하는게 없어 보여도 모든 만물이 엄청난 에너지를 받으며 성장하는 시기다. 당연하게도, 가을의 수확철이 오면 돈은 또 넘쳐나고 그 돈은 또다시 코인시장에 들어오게 되어 있다. 시간의 문제일 뿐, 최대치로 1년을 잡으면 반드시 그 안에 상승은 또 올 것이다. 그러니 축축 늘어지더라도 그게 전부는 아니다. 그게 바로 여름이고 매년 삶이 익어가는 과정이다.
👍 cowboybebop, jehovahwitness, umkin, chrisjeong, onehand, songa0906, jamieinthedark, seoinseock, eunyoung.lee, banguri, hjh0827, travelwalker, m8586, leeki7801, shiho, newiz, hwan100, heonbros, futurecurrency, jingdol, gogumacat, afinesword, chopaday, kimsungtee, ksc, frontalnh, eternalight, tutorcho, granturismo, blockchainnomad, abcteacher, tanama, soyo, goodcontent4u, sunghaw, minigate, yungonkim, newage92, yomancheck, rivers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