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OS, 우분투, 윈도우즈 트리플 부팅 설정 및 문제해결 정리
kr·@etainclub·
0.000 HBD맥OS, 우분투, 윈도우즈 트리플 부팅 설정 및 문제해결 정리
노트북에 맥, 우분투, 윈도우즈 세 개의 OS를 설치해서 사용 중인데, 우분투 업그레이드 했더니 맥 부팅 화면이 사라졌네요 ㅜ.ㅜ 예전에 트리플 부팅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정리가 좀 덜 됐습니다. 누군가에겐 도움 되길~ #### 가능하면 해킨토시말고 정식 맥을 사용하세요. 그게 마음 편합니다. # 목표 이 세개를 하나의 SSD에 부팅 - 해킨토시 Mojave 10.14.6 - 우분투 18.04.3 - 윈도우즈 10 ## 파티션 작업 - 윈도우즈 파티션은 윈도우즈에서 하는 것으로 한다. SSD(NVME)의 용량은 256GB 아래와 같이 파티션을 만들어 놓는다. MacOS: 100GB. 볼륨명; Mac 윈도우즈: 80GB. 볼륨명: Win10 우분투: 70GB. 볼륨명: Ubuntu 파티션을 만들고 나서, 나중에 구별할 수 있도록 볼륨명을 변경한다. 각각의 OS를 설치할 수 있는 bootable USB 준비 우분투는 공식사이트에서 이미지 다운로드 받아서 USB에 부팅가능한 형태로 만든다. MacOS는 아래 유투브 채널에서 요청하면 보내준다. https://www.youtube.com/watch?v=pmzj81Me_6w 또는 아래 사이트나 인터넷을 검색하여 찾는다. https://x86.co.kr/ 윈도우즈는 윈도우 PC가 있다면 윈도우 부팅 USB를 만든다. ## BIOS 설정 삼성 노트북의 경우 BIOS 설정할 수 있게 별로 없다. 여기서는 UEFI OS만 부팅하도록 설정하는 것과 Secure Boot을 Off한다. 부팅 순서를 USB로 한다. 주의할 점은 USB 이름에 반드시 UEFI라는 이름이 보여야 한다. 이게 안보이면 UEFI 부팅이 아니라 Legacy 부팅이다. ## 설치순서 1. MacOS 2. Windows 3. Ubuntu 설치가 가장 까다로운 Mac을 먼저 설치한다. 그 다음으로 윈도우즈나 우분투를 선택하여 설치한다. 우분투의 grub과와Mac은 부팅을 담당하는 clover간의 충돌이 발생한다. 나중 참고. ## MacOS 설치 설치 참고. https://jgtonys.github.io/hackintosh/2019/04/20/laptop-to-mac/ https://withddun.tistory.com/140 해킨토시 USB를 넣고 부팅을 한다. 해킨토시는 USB 3보다 USB 2.0 포트 사용을 권장한다. clover 부팅화면에서 usb를 선택하고 부팅하면 노트북의 경우 대부분 제대로 설치화면으로 가지 않고, 재부팅 된다. clover 부팅화면에서 아래쪽 options으로 가서, graphics injector에서 다음과 같이 임시로 설정한다. - FakeID: 0x12345678 - Platform-id: 0x12345678 이렇게 설정하면 설치화면으로 넘어간다. 안된다면 부팅 오류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결해야 한다. USB 부팅은 왠만하면 된다. Boot MacOS Install from Mojave를 클릭 GUI화면이 나타난다. Install MacOS, Disk Util 등. 여기서 Disk Utility로 들어간다 다른 파티션이 보이는데, 설치에 헷갈릴 수 있어서 Ubuntu, Win10을 각각 선택하여 Unmount한다. MacOS를 설치할 파티션을 선택하고 위쪽의 Erase를 눌른다. 이 때, File System을 SSD, 특히 NVME라면 APFS로 선택한다. NVME SSD가 아니라면 Mac... 저널링 선택 (나중에 확인 후 수정) Disk Utility를 종료한다. Install MacOS를 클릭한다. 약 6분정도 설치를 진행하고 재부팅된다. 부팅되면 다시 clover 부팅화면이 나오는데, 다시 앞에서 했던 graphic injectors 설정을 한다. SSD로 완전히 설치전까지는 부팅할 때마다 위 작업을 해야 한다. (추가적인 설정을 할 필요도 있을 수 있다) 이번에는 USB가 아니라 MacOS가 설치된 SSD를 선택하여 부팅한다. 설치가 진행되면서 국가 선택을 하고, 설치를 진행한다. 만약 노트북의 키보드가 먹통이라면, 당황하지 말자. 새로 설치할 필요없이 USB 키보드를 연결하여 해결한다! 설치 중 노트북의 하드웨어 미지원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인터넷 연결화면에서는 연결하지 않음을 선택한다. (중요) 계정을 생성한다. 키보드의 좌우 SHIFT키 옆의 키를 눌러서 키보드를 설정한다. 키보드는 ANSI를 선택한다. #### SSD부팅 MacOS가 SSD에 설치가 완료되었다. 이제, USB가 아니라 SSD로 부팅되게 한다. 먼저 Clover V2.5k를 실행한다. 이 프로그램은 인터넷을 검색하거나 MacOS 설치 이미지 받을 때 동봉되어 있다. 설치를 진행하다가 설치 직전에 customize를 눌러서 설치할 것을 정한다. - UEFI only를 선택한다 - Recommended drivers - File System Driver . APFS Driver Loader . VBoxHfs - Memory Fix Drivers . OsxApioFixDrv - Additional Drivers . EmvariableUEFI . NVMExpressDxe 자세한 설정은 자신의 환경에 맞게 해야 한다. 선택이 완료되면 Install 한다. #### Clover Configuration 설정 Clover Configuration을 실행한다. Mount EFI를 선택하고 Mac이 설치된 SSD를 선택하고 Mount한다. 여기서부터 매우 중요하다 EFI 디스크가 마운트 되어, 파일을 볼 수 있다. 자신의 노트북과 동일한 하드웨어를 갖는 EFI 구성이 있다면, 이 폴더를 가져다가 기존 것을 지우고 복사해서 넣는다. 그게 아니라면, 매우 신중하게 하나하나 설정을 해간다. 한가지 팁은 기본 설정에서 설정을 변경할 때마다 설정 파일을 추가로 만든다. config.plist가 기본파일이고, 여기서 config_test1.plist 등 되는 설정파일을 유지한채 새로운 설정을 테스트한다. 나중에 clover 부팅화면에서 어떤 설정 파일로 부팅할지 정할 수 있다. 부팅이 안되는 설정이라면 되는 설정을 선택하고 변경된 내용을 수정해야 한다. 설정을 완료하면 설치 USB를 제거하고, 재시작한다. 재시작할 때, BIOS에서 부팅 순서를 UEFI OS로 하여 Mac의 SSD로 부팅되도록 한다. #### 무선랜 문제 해결 최신 노트북은 유선랜 포트가 없다. 무선랜카드는 삼성의 경우 인텔 랜카드인데, 이것을 Mac에서 사용할 방법은 1도 없다고 한다! 고생하지 말길. 대신 다이소에서 파는 무선랜카드 5천원짜리(리얼텍 제품)를 사용하면 된다. 참고. https://x86.co.kr/kext/3335127 위 참고에서 두 번째 방법 사용 아래 사이트에서 zip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프로그램 설치 https://github.com/chris1111/Wireless-USB-Adapter 무선랜카드는 부팅 후에 꽂으면 인식을 못하는거 같다. #### 한영전환 참고. https://godoftyping.wordpress.com/2018/04/09/mac-%EB%A7%A5%EC%97%90%EC%84%9C-%ED%95%9C%EC%98%81%EC%A0%84%ED%99%98%ED%95%98%EB%8A%94-%EB%8B%A4%EC%96%91%ED%95%9C-%EB%B0%A9%EB%B2%95%EB%93%A4/ 다음 사이트에서 Karabiner-Elements를 설치한다. https://pqrs.org/osx/karabiner/ 설치 후 키보드 환경설정, 입력 소스에서 simple 에서 right command(윈도우에서 한영키)를 선택하고 오른쪽 화면에서 이전 입력 소스 변경키의 우측을 눌러서 F18을 선택한다. 그러면, 한영키로 한영 전환이 된다. #### 그래픽 문제 해결 clover 부팅 화면에서 Mac을 선택하고 부팅한다. 부팅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으므로, options에서 ACPI에서 -v 옵션을 추가하여 부팅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v는 verbose 옵션이다. 발생하는 에러는 정말 다양하다. 본인의 노트북에서 발생한 그래픽문제는 그래픽 메모리가 7MB 밖에 안잡힌 것이다. 문제점 관련 참고 https://www.tonymacx86.com/threads/help-mojave-on-8250u-uhd620-missing-qe-ci-acceleration.269491/ https://www.tonymacx86.com/threads/intel-hd-620-only-7mb.248357/ 참고로, 맥에서 잡은 하드웨어 내용은 맥 화면에서 About this Mac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것은 System Report 내용을 확인하면, 어떤 하드웨어가 어떻게 잡혀 있는지 알 수 있다. 다른 방법은 해킨툴을 사용하여 알아볼 수 있다. 해킨툴은 유튜트 채널자가 보내준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다. 본인의 노트북은 인텔 UHD 620 내장 그래픽인데, 할당된 메모리가 7MB로 해상도는 1920x1080이 표시되지만, 그래픽 처리가 느리다. 이걸 해결 하는 방법이 만만치 않다. 해결 참고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pv5bBGNWInE&list=LLMZib2tadHlNZiO2Nb9Hrcg&index=3&t=330s -> 본인의 경우 해결되지 않음 인텔 내장 그래픽 설정 파일들 https://github.com/RehabMan/OS-X-Clover-Laptop-Config -> HD 620, UHD 630 파일로 시도했으나 실패 https://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lWfu6hUNVcJ:https://x86.co.kr/mymac/3782896+&cd=1&hl=en&ct=clnk&gl=kr&client=firefox-b-d -> 삼성 노트북 NT930QAA 모델에서 성공한 EFI 디스크 내용을 참고. 그래픽은 동일하기 때문에 그래픽 설정 부분을 참고하여 설정하여 성공! 그래픽 설정하는데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됨.  그래픽이 잘못 설정되면 부팅이 무한 반복될 수 있다. 본인의 경우도 그랬다. AE_NOT_FOUND 오류를 비롯하여 상당한 오류가 발생했었다. 오류 해결이 어렵다면, 잘되는 config.plist 파일부터 새롭게 시작한다. 만약 부팅화면으로 들어갈 수 없을 때 조치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참고. https://mymac4music.tistory.com/m/entry/%ED%95%B4%ED%82%A8%EB%B6%80%ED%8C%85-%EC%8B%A4%ED%8F%90%EC%8B%9C-%EB%8C%80%EC%B2%98%EC%9A%94%EB%A0%B9 clover 부팅화면에서 shell을 실행할 수 있다. 메뉴 아래쪽 열에 ">" 모양 클릭. shell로 접속하여 파티션을 선택하여 파티션에 kext를 삭제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참고. 아래 사이트 하단의 부팅 관련. https://x86.co.kr/tip/1387625 Mac 설치가 완료되었다고 생각되면 다음 OS 설치로 넘어감 ## 윈도우즈 설치 윈도우즈 부팅 USB를 넣고 BIOS에서 USB 부팅 우선으로 부팅한다 윈도우즈 설치는 간단하여 생략 주의할 것은 다른 파티션에 설치하지 않도록 한다. ## 우분투 설치 우분투 설치 USB를 넣고 우분투 설치. 이 때도 다른 파티션에 설치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우분투는 파티션 선택화면에서 Something Elese를 선택. swap과 / 파티션 두개를 만든다. 아래 내용을 참고한다. https://www.linuxtechi.com/ubuntu-18-04-lts-desktop-installation-guide-screenshots/ 우분투도 무리없이 설치된다. #### 문제 발생! 우분투는 맥의 APFS를 인식하지 못하고, 우분투의 grub에서 맥 부팅 내용이 보이지 않는다. 참고. https://www.insanelymac.com/forum/topic/336966-clover-lost-after-ubuntu-install-apfs/ clover로 부팅되지 않고, 바로 grub으로 넘어간다. 문제의 원인은 clover의 경우 부팅 위치가 /EFI/BOOT/BOOTX64.EFI이다. 별도로 /EFI/CLOVER/CLOVERX64.EFI에도 있다. 그런데 grub도 부팅 위치가 /EFI/BOOT/BOOTX64.EFI이다. 즉 clover가 생성한 부팅 내용을 grub이 덮어써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또한 우분투에서 APFS를 인식하지 못해 grub에는 맥 파티션이 보이지 않는다. 해결 방법은 위 참고 사이트에 나와있듯이 몇 가지가 있다. 가장 간단한 것은 맥OS 부팅 USB로 부팅하여 Mount EFI를 하여 /EFI/CLOVER/CLOVERX64.EFI를 /EFI/BOOT/BOOTX64.EFI로 변경하는 것이다. 복사하여 이름을 BOOTX64.EFI로 변경하는 것이다. 이 때, 기존 BOOTX64.EFI를 복사해 놓을 수 있다. 이렇게 하면 clover 부팅화면이 나타나고, 우분투를 선택하면, grub 화면이 나온다. #### triple boots 스크린샷  clover 부팅화면에서 Legacy, Recovery, Preboot 등 보고 싶지 않은 부팅옵션은 Clover Configuration에서 GUI부분에서 Hide옵션에 추가한다.  부팅 순서는 Boot에서 볼륨명을 적어준다. 볼륨명은 clover 부팅화면에 나타나는 BOOT From EFI, BOOT From Mac 등의 제일 뒷부분의 EFI, Mac 등을 적어주면 된다.
👍 roseofmylife, slowwalker, oldstone, photoholic, we-together, wisdomandjustice, detro10, busy.pay, raise-me-up, dobartim, techken, laissez-faire, yimura, ralph-rennoldson, luminaryhmo, zzan.co3, ravenkim, bree1042, gekkie, conormingregor, innovit, neoguri, innomano, promisteem, jjaktae, etainclub, jhy2246, megaspore, seapy, girina79, powerego, dj-on-steem, rayhey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