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공이야기] 연필꽂이 만들기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hodolbak·
0.000 HBD
[목공이야기] 연필꽂이 만들기
안녕하세요. @hodolbak (호돌박) 입니다.

이번주는 유난히 좀 시간이 빠르게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벌써 내일이 불금이네요^^

지난번 '목공이야기' 포스팅에서 조금씩 다시 목공을 시작한다고 말씀드렸었습니다.

그래서 스스로의 다짐을 지키기 위해 어제 공방을 다녀왔어요.
앞으로 매주 수요일은 공방에 갈 예정입니다.

당분간은 지치지 않고 성취감을 맞보기 위해 2~3시간에 끝낼 수 있는 소품들을 간단하게 만들예정입니다.
가구를 만들다 보면 기간도 오래 걸리고 다시 마음 먹은게 쉽게 지칠수가 있을 것 같아서요^^

---

<center>*</center>

---

어제는 연필꽂이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20180419_002931.jpg](https://steemitimages.com/DQmUJGttBA5fydvAiYMfLBFj7nGjc7oDUZTSy2fNYq5Efd1/20180419_002931.jpg)

취미로 하시는 분들이 많이 작업을 하는 작품인데요
다양한 크기로 홀만 뚫어주면 됩니다.
딱 보기에 쉽다고 생각하실지도 모르겠는데요 네! 쉽습니다. ㅎㅎㅎ

하지만 구멍을 뚫는게 그냥 쉬운것도 아닙니다^^

![20180419_002836.jpg](https://steemitimages.com/DQmSxjxBdqL1vUBhTQXayw8seX8osBNVkwEuTt3eqPTAoww/20180419_002836.jpg)

필기류도 한번 꽂아보고요.

![20180419_003139.jpg](https://steemitimages.com/DQmaZ3g16BRjXGxdrEQgou2avBfUS8rsBAeVd4qJg3dptfc/20180419_003139.jpg)

티스푼이나 포크도 한번 꽂아보았습니다.

제눈에는 오히려 필기류보다 티스푼이나 포크를 꽂아 놓은게 더 잘 어울리는 것 같네요^^

---

<center>*</center>

---

공방에 굴러다니는 쓸만한 짜투리 나무를 몇 개 모았습니다.

![20180418_195650.jpg](https://steemitimages.com/DQmeChZjaUFy1RM7RpNCeHkCkAv4S414UtqiVS8sDgqfSE7/20180418_195650.jpg)

오늘은 우측에 있는 3개의 짜투리 각재를 쓸 예정입니다.
다른 녀석들은 잘 나두었다가 다른 작품으로 써야 겠지요^^.


홀을 내기위해서는 별도의 비트(날)를 써야 하는 데요.

![20180418_195642.jpg](https://steemitimages.com/DQmbo3nvBqVVHCv6XG76Hqb2Mn6E7uWWbjkBsCFhst7Rv23/20180418_195642.jpg)

포스너비트라는 것을 쓸 예정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드릴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20180418_221939.jpg](https://steemitimages.com/DQma7LyEdxp2eTJ8YampfedbXZWkwSYjuEyXZaF9S4ZDo99/20180418_221939.jpg)

요런 캔들홀더의 얕은 홀을 팔때나 싱크경첩의 홀을 팔때 많이 사용합니다.

![20180418_200551.jpg](https://steemitimages.com/DQmR6gRxFiGpoMuJhjxNzyHMq42M6hfJj7cimPbo5LHyrVw/20180418_200551.jpg)

홀을 낼 각재의 마구리면에 격자로 선을 긋고요.
사실 없어도 되는데 포스너비트에는 중심촉이 있어서(위 캔들홀더보면 홀 중앙이 송곳으로 누른것마냥 더 들어가 있죠!) 격자부분에 촉을 맞춰 작업하면 편하기에 선을 긋는 것이 작업성이 조금 좋습니다.^^

그리고 포스너비트를 공업용 탁상드릴에 물려서 사정없이 뚫어줍니다.

![20180418_201909.jpg](https://steemitimages.com/DQmY3VLb2fTrzU7AovFPVwbbpCmVWfwStb8DLhWUKWzA7oX/20180418_201909.jpg)

요렇게^^
제가 사정없이 뚫는다고 표현을 했지만 5cm 이상 깊이로 홀을 내야하는데 한번에 꾹 눌러서 뚫었다가는 난리가 납니다.
연기에 열에... 잘못하면 비트가 부러질수도 있고...

사실 그렇게 하면 뚫리지도 않아요.
홀이 크면 클수록 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조금씩 조금씩 1~2mm 씩 뚫어나가야 합니다.

홀이 작으면 한 번에 뚫는 깊이를 더 깊게 하면 되고요..

그래서 쉬워보이지만 쉽지 않다고 표현을 한거에요^^

![20180418_214448.jpg](https://steemitimages.com/DQmWPY5516ucwFWSkDRiNyHuqdbLVDoiJoTkXFEVd9c5TLi/20180418_214448.jpg)

이렇게 골고루 홀을 뚫어 완성(?)을 해봅니다.
모서리가 날카로우니 모서리를 좀 죽여줘야 하는데요.

![20180418_214825.jpg](https://steemitimages.com/DQmVABSVx586KfhbB63j25qCkQ7nMd2c5PXpcGxDnPD9wY2/20180418_214825.jpg)

처음부터 사포로 하는 것보다 이렇게 대패로 크게 쳐주고 사포로 마감하는 것이 작업성이 훨씬 좋습니다. 그리고 사포로 단순히 둥글리는 것보다 보기에도 더 고급(?)스러워 보여요.

![20180418_222200.jpg](https://steemitimages.com/DQmaJWZo6i4L3AptKYNoF4G4ueTMGL77ynJh4dAM2RxbJnR/20180418_222200.jpg)

이렇게 최종 마무리!
모서리를 따낸 것이 훨씬 고급지쥬 ㅎㅎㅎ

이렇게 두개를 더 해야 합니다^^

아이들이 셋이니 하나씩!

![20180418_222051.jpg](https://steemitimages.com/DQmYeM5jkvPXxdgrWsd6kJJm2BBLyYwkd7cRmhmfzWmDLEU/20180418_222051.jpg)

지난번에 만든 모니터 받침대 옆에 세녀석들을 놓아봤습니다.

같은 나무옆에 있으니 잘 어울리네요~

제대로 할려면 마감도 해야 하고 하지만 당분간은 공방올때 1일 1작품을 목표로 했기에 여기서 이만 마치겠습니다.

---

<center>*</center>

---


요즘 스팀잇에 중독이 되어 있지만 좋은 영향과 자극을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목공도 조금씩 다시 시작한 거고요^^

여러분 모두에게 감사합니다^^

#### 목공 지난이야기
---

> [#001 나의 목공이야기](https://steemit.com/kr/@hodolbak/6mma95)
> [#002 우드카빙숟가락만들기](https://steemit.com/kr/@hodolbak/7vhspt)
> [#003 벙커침대만들기](https://steemit.com/kr/@hodolbak/526zpa)
> [#004 모니터 받침대 만들기](https://steemit.com/kr/@hodolbak/4xqlnh)

---
 

---

<center>[**스팀잇! 사람을 잇다!**](https://steemit.com/@hodolbak)</cente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