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의 기술적 분석_골든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
sct·@joeypark·
0.000 HBD암호화폐의 기술적 분석_골든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
안녕하세요? `Joey Park` 입니다. 지난 **[암호화폐의 기술적 분석_이동평균선 (부제 : SCT에 처음으로 임하면서...)](https://steemit.com/sct/@joeypark/-sct)**에서 이동평균선을 통해 알 수 있는 3가지 중 하나로 **골든 크로스와 데드크로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 ##### <center>암호화폐의 기술적 분석_골든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center> 골든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는 **흔히 봉 차트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며, 경우에 따라 거래량 이동평균선, 스토캐스틱 패스트&슬로우, MACD 등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봉 차트에서 활용되는 경우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 ##### <center>1. 봉 차트에서 골든 크로스</center> <center></center> `골든 크로스(Golden Cross)는 단기 이동 평균선이 장기 이동 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때, **강한 거래량이 동반되면 중, 장기적으로 상승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골든 크로스가 이루어진다고 해서 반드시 상승 추세가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여러 보조 지표와 패턴을 고려해야 합니다. 위의 차트는 비트코인 원화 마켓, 2019년 3월 경이며, 밝은 연두색 5일 이동 평균선이 어두운 연두색 120일 이동 평균선을 상향 돌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center>2. 봉 차트에서 데드 크로스</center> <center></center> `데드 크로스(Dead Cross)는 단기 이동 평균선이 장기 이동 평균선을 하향 급락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때, **강한 거래량이 동반되면, 중, 장기적으로 하락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데드 크로스도 마찬가지로 반드시 하향 추세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여러 보조 지표와 패턴을 고려해야 합니다. 위의 차트는 비트 코인 원화 마켓, 최근 시점(2019년 6월 경)이며, 밝은 연두색 5일 이동 평균선이 덜 밝은 연두색 20일 이동 평균선을 하향 급락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center></center> `골든 크로스&데드 크로스가 발생해도 반드시 추세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진짜와 가짜가 있기 때문입니다.` **진짜 골든/데드 크로스는 단기와 장기 추세가 같이 상승/하락하는 형태(정배열)**며, **가짜 골든/데드 크로스는 단기와 장기 추세가 다르게 상승/하락하는 형태**입니다. 아래의 차트 예를 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center>봉 차트에서 진짜 골든 크로스</center> <center></center> <center>비트코인 원화 마켓, 2019년 3월 경</center> ##### <center>봉 차트에서 가짜 골든 크로스</center> <center></center> <center>비트코인 원화 마켓, 2018년 2월 경</center> ##### <center>봉 차트에서 진짜 데드 크로스</center> <center></center> <center>비트코인 원화 마켓, 2018년 2월 경</center> ##### <center>봉 차트에서 가짜 데드 크로스</center> <center></center> <center>비트코인 원화 마켓, 2019년 5월 경</center> ---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봉 차트외에도 거래량 이동평균선, 스토캐스틱 패스트&슬로우, MACD 등에 적용할 수 있다고 하였죠? 대표적으로 하나만 보여드리고 나머지는 다음에 자세하게 다루려고 합니다. --- ##### <center>3. 스토캐스틱 패스트&슬로우에서 골든/데드 크로스</center> <center></center> 스토캐스틱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드리면 `패스트 선(파란색 선, 단기 추세를 나타냄)`과 `슬로우 선(빨간색 선, 장기 추세를 나타냄)`이 있는데, `패스트 선이 슬로우 선을 상향 돌파하는 경우 골든 크로스(빨간색 사각형)`, `패스트 선이 슬로우선을 하향 급락하는 경우 데드 크로스(파란색 사각형)`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 <center>Joey Park의 지난 글 살펴보기</center> ##### <center>[암호화폐의 기술적 분석_이동평균선](https://steemit.com/sct/@joeypark/-sct)</center> ##### <center>[암호화폐의 기술적 분석_가격의 지지 라인과 저항 라인](https://steemit.com/sct/@joeypark/24tgqy)</center> --- 뛰어난 트레이더는 아니지만, 제가 알고 있는 내용을 쉽게 공유하여 SCT에서 활동하시는 분이나 외부 검색을 통해서 들어온 분에게 적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rij, votes4minnows, laissez-faire, hdu, imisstheoldkanye, delabo, ezravandi, gamezine, felixpower, accelerator, porcelainspoon, hamsa.quality, map10k, curatoris, jacksartori, elviento, kuneen, pagliozzo, terminator01, tangofever, road2horizon, sherrycato, onani, phatima, bukiland, mutiahanum, pet.society, attention-seeker, tech-coin, coinmarketcal, coinmarketcal2, daijiworld, flyhigh0103, olorin, silverlining1, dssdsds, yongsam, joeypark, rikaz87, stylegold, iseya, ai-channel, y-o-u-t-h-m-e, chimjaengi, bulsik, skyoi, ssonagee, makegoodbuddhism, busy.pay, j-car, sadmt, khanza.aulia, teungkulik, rikday, eu-id, syahrizaldawood, ekafao, safroel72, ybc, skymin, huseyinunozkan16, onehand, won0s, tiazakaria, lolite, isi3.sct, maikuraki, asridsyaref, realsunny, dylanhobalart, cheongpyeongyull, menerva, khaiyoui, buchheim, sct.cu11, kr-curator, illluck, sd974201, centering, jsl416, dindar, jjm13, kibumh, virus707, bbana, siggjo, jeehun, meedo, sct.cu15, ramires, jonghun98, good21, songa0906, ratticus, ukk, mgranja, totopapa, ilovemylife, nuagnorab, futurecurrency, lovelyyeon.sct, vip, jsquare, sct.cu16, sct.kop3, kr-fund, readygo, goodhello, sct.cu6, stpeople, sct.cu9, yungonkim, chaelim.ryu, beom, jinuking, rainingfall, sct.cu18, matildah2, jungch98, ravenkim, jinbtonic, bluengel, styner, hongs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