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7) - 투자는 직접 하세요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kangcfa·
0.000 HBD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7) - 투자는 직접 하세요
피터 린치는 우리에게 돈이 되는 주식을 6분야로 구분하는 방법, 훌륭한 주식의 13개 포인트, 어떤 주식을 피해야 하고 재무제표에는 무엇을 봐야 하는지도 설명했습니다. 

이번에는 피터 린치가 왜 우리가 투자를 직접 해야 하고 “투자 프로” 또는 “전문가” 에게 돈을 맡겨 봤자 별볼일 없는지 설명합니다. 본인이 펀드매니저들의 왕중왕인데도 불구하고 정말 신랄하게 다른 펀드매니저들을 씹어서 통쾌할 정도입니다.  제 생각과 다를게 별로 없어서요!

## 1.	펀드매니저들은 훌륭한 주식을  일부러 사지 않는다.
</br>
피터 린치는 가끔 훌륭한 펀드매니저들이 있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그럼 매니저들은 매우, 매우 드물다고 합니다.

린치는 10배 오르는 주식들은 대부분의 펀드매니저들도 훌륭하다고 인정했을 거라고 합니다. 그러나 린치는 그 주식을 사고, 다른 매니저들은 사지 않았습니다! 왜 그럴까요?

보통 펀드매니저들은

#### I.	많은 기관들이 보유하고 많은 애널리스트들이 모니터링하지 않는 주식은 건드리지 않습니다.
</br>
II.	뚜렷히 구분되는 산업에 속해 있지 않은 기업들은 거들떠 보지 않습니다(SCI는 장례식 전문 기업이라 “기타” 로 분류되어 몇십년간 아무도 관심이 없었습니다)

#### III.	5배, 10배 오를 수 있는 주식을 일부러 피합니다! 오히려 이런 주식을 사면 안되는 이유를 일부러라도 만들어 냅니다!
</br>
 - “너무 소형주네” “경영진이 검증이 안되었어” “소속한 산업의 성장률이 너무 낮아” 등…

## IV.	잘 모르는 주식에서 큰 돈을 버는것과 잘 아는 우량주에서 조금 잃는 것을 선택하라고 하면 후자를 선택합니다! 쇼킹하죠?
</br>
-	월가에서 “IBM에 투자해서 니 고객 돈을 말아먹어도 니가 짤릴 일은 없어” 라는 비공식 규칙도 있다고 합니다 ㅋㅋ

V.	주식 선정 위원회를 거친 주식만 삽니다.

도대체 이놈의 “프로” 들은 왜 이렇게 멍청하게 투자를 할까요? 정말 바보라서? 물론 그럴 수도 있겠지만 - 

## 간단히 요약하면: 그들은 직장인이기 떄문에 이렇게 투자합니다!
</br>

#### I.	펀드매니저들의 목적은 고객의 자산을 불리는 것이 아닙니다. 회사에서 안 짤리는 것이 목적입니다!
</br>
## II.	내가 IBM을 사서 깨지면 상사는 “도대체 IBM에 무슨 문제가 있는 거지?” 하겠지만 아무도 모르는 소형주를 사서 깨지면 “도대체 너는 무슨 문제가 있냐 이놈아!!” 하고 나를 깰 겁니다.
</br>
-	IBM이나 코카콜라 사서 실패하면 내 고객 돈을 날리는 것이나 소형주 몇 개 연속으로 실패하면 내 모가지가 날라갑니다.

-	쉽게 말하면 남들과 똑 같은 주식을 사면 중간이라도 갑니다. 튀는 주식을 사면 잘되면 칭찬을 좀 받겠지만 안되면 내가 짤립니다.

<이걸 읽으니 얘네들이 생각 납니다>
![Kor 15-1.jpg](https://gateway.ipfs.io/ipfs/QmXMBhzt7UcZQ25qBr5q7Xw3QVHtqCs3NDxT25mRJykkNs)

III.	펀드매니저들은 집중해서 주식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근무시간의 상당시간을 고객과 상사에게 그들의 매수, 매도 결정을 설명하려 다녀야 합니다. 

IV.	10배 오르는 주식을 사고 싶어도 수많은 규제들이 방해합니다. 예를 들면 펀드 자산의 5% 이상은 한 주식이 넣을 수 없고, 시가총액 X달러 이하는 못 사고, 기업의 주식 10% 이상은 안되는등… 이런 식으로 거르고 거르고 나면 펀드매니저가 선택할 수 있는 주식이 별로 남지 않습니다. 

-	큰 펀드들은 소형주에 거의 투자하기 불가한데, 대형주에서는 5-10배 오르는 주식을 찾기 힘듭니다.
 
결론: 린치는 펀드에 투자하려면 차라리 인덱스펀드에 투자하는 것을 권하고, 본인도 최대한 아마추어처럼 생각하려고 노력한다 합니다.

기본적으로 린치는 아마추어가 프로들보다 훨씬 더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훌륭한 기회가 나오면 자산대비 큰 금액을 투자할수도 있고, 프로들이 눈치보는 동안 일상생활에서 발굴한 훌륭한 기업에 투자할 수 있으며, 프로들처럼 언제나 투자할 필요도 없이 마땅한 대상이 없으면 투자를 쉴 수 있는 자유도 있다고 합니다!

## 2.	피터 린치의 기대수익과 포트폴리오 조언
</br>
피터 린치는 복리 수익 25-30%를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많다는데, 이정도 기대는 너무 높다고 하고, 

#### 연복리 12-15% 정도를 제안합니다. 
</br>
일단 인덱스 투자를 하면 장기적으로 8-10%는 벌 수 있는데, 우리 일상생활에서 발굴하는 기업들만 통해서도 그거보다는 조금 더 벌 수 있다고 합니다.

#### 린치는 고성장 주식은 리스크가 높아서 이런 주식에만 몰빵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하고, 본인은 총 자산의 30-40%를 고성장주식에 투자하고, 각각 10-20%를 튼튼이와 경기민감중 투자하고, 나머지를 턴어라운드 주식에 투자한답니다. 아래와 같이 각 주식 부류의 리스크와 기대수익을 설명하면서, 절대 한 부류에 몰빵하면 안된다고 경고합니다.
</br>
<주식 6개 부류의 리스크와 기대수익>
![steem kr 15-2.png](https://gateway.ipfs.io/ipfs/QmT4ExR94DZHVqvHDZWgX31o5YGEsxsyd3sM1fjVkJNV96)

피터 린치 정말 짱장맨 아닙니까? 일단 책에서 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 요약은 다 끝났습니다. 저는 2000년 중반에는 이 책에 상당히 매료되었으나, 지금 보니까 아쉬운 점이 꽤 보입니다. 다음번에 이 분야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