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T 블록체인 뉴스: 11/14 –비트코인캐시 하드포크를 둘러싼 해쉬전쟁, 테라X카카오 클레이튼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keepit·
0.000 HBD
KEEP!T 블록체인 뉴스: 11/14 –비트코인캐시 하드포크를 둘러싼 해쉬전쟁, 테라X카카오 클레이튼
![logo_today.png](https://steemitimages.com/DQmTX9TLsN4h9C7LGGwyKbFboRzcXY9FSaMdix6kAnPhrBZ/logo_today.png)

# KEEP!T Today

***

### 안녕하세요! KEEP!T 입니다.

오늘의 스낵뉴스 입니다.

### 1. [비트코인캐시 하드포크를 둘러싼 해쉬전쟁](https://cointelegraph.com/news/ahead-of-bitcoin-cash-hard-fork-the-coins-competing-visions-vie-for-hash-rate)

최근 비트코인캐시 하드포크를 둘러싼 이슈가 블록체인 업계에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하드포크의 간략한 이유는 우지한 진영의 ABC와 크레이그 진영의 SV 간 대립 때문입니다. 그동안 우지한을 대표로 하는 마이닝 풀이 누려온 이권을 둘러싸고 SV진영이 정면승부를 하고 나온 것이죠. 

처음에는 이 싸움에서 우지한의 ABC진영이 손 쉽게 하드포크의 주도권을 가져가게 될 것이라 예측하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실제로 11월 12일 기준으로만 봐도 노드 수 기준으로 ABC진영이 48%를 점유한 반면 SV진영은 7%를 점유하는 것에 그쳤습니다. 또한 로저버도 이에 동조하여 ABC진영에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그러나 크레이그는 이에 맞서 로저버에게 '만약 너랑 내가 전쟁하면 누가 오래 버티는지 한 번 볼까?'라며 선전포고를 날린 상태입니다.

상황도 며칠 사이에 많이 바뀌었습니다. 굳건할 것 같았던 ABC는 현재 거래소 가격 기준으로 SV에게 공세를 당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또한 노드 수는 ABC진영이 SV를 압도하지만, 해쉬 점유율에 있어서는 SV가 ABC를 크게 상회하고 있는 상황이라 어떻게 흘러갈지 알 수 없는 상황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우지한의 회사라고 언론에 많이 소개되었던 비트메인도 IPO를 앞두고 우지한을 이사진에서 제외하는 선택을 해서 투자자들의 궁금증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양측이 이권을 다투는 과정에서 윈윈을 추구한다면 큰 뒷탈없이 하드포크가 끝나겠지만, 처음부터 누구 하나를 제거하고자 벌이는 진정한 전쟁이었다면 암호화폐 시장 전체에 파장을 크게 불러일으킬 사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블록체인계의 큰 이슈가 될 전망인 비트코인캐시 하드포크는 11월 16일 한국시간으로 새벽 1시 40분경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br>

<br>

### 2.[플랫폼과 플랫폼의 협업 테라X카카오 클레이튼](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20)
암호화폐 열풍이 몰아친 작년에 비해 많이 가라앉은 요즘, 서서히 블록체인을 실생활에 도입하려는 진지한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물론 여전히 가격을 올리는 것에만 관심이 있는 사람들도 많지만, 업계의 관계자들이 공식적인 자리에서 실생활의 쓰임을 진지하게 이야기한다는 것은 긍정적인 신호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리고 그 여러가지 시도들 중 하나가 바로 화폐의 변동성을 줄이는 스테이블 코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테라는 그중에서도 스테이블 코인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함과 동시에 이미 4천만 명에 달하는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어 많은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테라가 카카오의 자회사에 해당하는 그라운드X의 클레이튼과 함께 공동연구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물론 연구과제는 스테이블 코인이라고 합니다. 

테라에 대해서는 이미 [이전 글](https://steemit.com/coinkorea/@keepit/vtj59-keep-t-history)에서 다룬 바처럼

>Terra의 가치는 말 그대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조절이 되는데요. 그런데도 어떻게 스테이블한 가격을 유지하냐면 Terra의 수요가 높아졌을 땐 테라를 추가적으로 발행하여 가격을 맞추고, 테라의 가격이 내려갔을 땐, 테라를 결제할 때 이득이 발생하는 Lunar 라는 암호화폐를 이용해 테라를 사들인 후 소각합니다.

>루나가 기존 스테이블 코인과 다른 점은, 루나 자체가 Programmable 한 스테이블 코인이라는 것이죠. 즉, 얼마든지 다양한 디앱이 루나 블록체인 위에서 구동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이런 독특한 원리를 가지고 있는 스테이블 코인을 계획하고 있는데요. 여러 변수들을 모두 고려한 획기적인 스테이블 코인이 나온다면, 실생활의 블록체인에 접근하는 하나의 좋은 방법이 될 것이므로 두 기업의 유의미한 연구성과를 기대해봅니다. 

SH

![logo_end.gif](https://steemitimages.com/DQmVVGEH48HG929Q55uQYZBuw9QbPoTNieiiZ7NCLvzG6QZ/logo_end.gif)

<a rel="license" href="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4.0/"><img alt="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style="border-width:0" src="https://i.creativecommons.org/l/by-nc-nd/4.0/88x31.png" /></a><br />이 저작물은 <a rel="license" href="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4.0/">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a>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