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과 Value Web 4탄
kr·@kim066·
0.000 HBD블록체인 과 Value Web 4탄
 <iframe width="100%" height="300" scrolling="no" frameborder="no" src="https://w.soundcloud.com/player/?url=https%3A//api.soundcloud.com/tracks/117326620&color=%23ff5500&auto_play=false&hide_related=false&show_comments=true&show_user=true&show_reposts=false&show_teaser=true&visual=true"></iframe> 저번시간에 이어... 블록체인기술을 통한 캐피털 시장의 성장가능성도 한번 예측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명 자본시장이라고도 불리우는 캐피털 시장은 대개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화폐, 주식, 실물자산을 일종의 상품화 하여 거래를 하는것으로써, 기본적으로 금융기관과 일반투자자로 시장이 구성되게 됩니다. 단순한 자본 조달기능 때문이라도 자본시장은 우리 사회에 상당히 중요한 역활을 하고있기도 하지만,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시장상황을 대변하는 역활로써도 자본시장의 존재는 매우 중요합니다. 자본시장은, 점차 지능화 하게 되며, 그 과정과 절차가 상당히 복잡하고 까다롭게 변화하기 시작합니다. 오늘날의 자본들은, 대게 한종류의 이해당사자로 이뤄졌다기 보다,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여러가지 이해관계를 가지고 서로 얽히고 섥힌 모습을 보여주고있습니다. 가장 좋은예로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당시, 부동산 담보대출 Trench를 통해 만들어진 상품들의 버블 폭발로 인해 시장 전반에 걸쳐 그 임펙트가 전가된 사실들을 생각해보면 좀더 이해하기 수월하시리라 생각됩니다. 복잡하고 다채로운 상품들의 출시는, 단기적으로 시장에 긍정적인 역활을 미친것도 어느부분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까다롭고 복잡한 시장형성은, 결국 장기적으로 볼때 일정부분 시장에 근간을 흔들수있는 엄청난 리스크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왜냐하면 시장은 결국 사람들로 이뤄진 하나의 장이며, 복잡함은 사람들로 하여금, 오류를 만들어내며 시장의 합리적으로 작동함에 있어 큰 장애물이 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는 시장 효율성면에서도 잠쩍인 비용을 만들어내기에 결코 이롭다고 말하기 힘듭니다) 금융업에 종사하시다보면 느낄수 있는 부분이지만, 오늘날 금융시장의 형태는 많은부분 고전적인 방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오늘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나, 시장을 구성하고있는 많은 기관들과 시장의 운영방식은 몇십년전의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모습은 한국뿐 아니라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왜 IT는 금융시장, 자본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운것일까요??? 그부분은 저도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팩트만 집고 넘어가자면, 비효율성은 여전히 시장내에 존재하며, IT기술의 자본시장 진입은 필자가 생각하기에 전체적인 시장 상황을 변화시킬것이라고 필자는 예측합니다. 또한 저는 시장의 투명성과, 지속성 그리고 공정성 때문이라도, 블록체인의 자본시장 진입은 필수불가의 법칙이라고 생각합니다. 블록체인에 가장 근본적인 기능 데이터의 지속성면은 이미 개발되어있는 레저 플랫폼의 도입만으로도 거의 인간이 범하는 오류의 대부분을 해소할수있으며, 데이터의 투명성 반영에 크나큰 역활을 할수있습니다. 블록체인을 통한 데이터 전송 속도역시 엄청난 향상을 이끌수 있습니다. (데이터 전송을 말할때 단순히 A -> B 로 데이터의 전달 부분만 보시지 마시고, 예를들어 매년 기업에서 파일링하는 재무재표의 실시간 반영과 같은 부분을 상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데이터의 속도가 빠르고 투명하게 된다면 결국 투자자가 짊어지는 리스크가 줄게 되며 (왜냐하면, 빠른 데이터의 반영은, 기업들로 하여금 자본수요가 내려갈것이고, 그렇다면 운영에 필요한 리스크가 줄고, 또한 이러한점은 카운터파티 리스크 역시 내려가는 긍정적인 역활을 할것이기 때문이죠), 균형상태로 가게 될것이고, 시장은 더 스마트 해질것입니다. 속도와 투명성 + 보안성까지 책임진다니, 이야말로 혁신 아닌가요???? 최근 미국에서 일어난 Equifax 사건을 알고계신가요??? Equifax 해킹 사건이라고, 미국내 ‘거의’ 모든 미국인들의 기밀정보가 노출된 엄청난 해킹 사건인데요, 최근 보안의 중요성이 심각하게 중요 이슈로 부각된점을 미뤄보아, 블록체인의 도입이 더 앞당겨 지지않을까하는 조심스러운 예측을 하여봅니다.. 일반적으로 자본시장이 얼마니 Blockchain 의 미래 가치는 얼마정도다라는 소리를 하는데, 저는 솔직히 Blockchain 의 가치를 매긴다는것은 인터넷의 가치를 매긴다는 얼토당토 없는 소리와 비슷하다고 봅니다. 그만큼 적용 범위 자체도 엄청나게 넓으며, 우리 인간의 삶을 바꿔놓을 미래 부가가치 산업이기때문에, x = $ 이다라고 단정짓기 너무나도 힘듭니다. 다음시간에는, 자본시장에서 도입하는 블록체인의 일부, 나스닥과 파트너쉽을 체결한 블록체인 스타트업 회사인 Chain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신 여러분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center> 제 포스팅이 유익하였다면 **보팅** 과 **팔로잉** 꼭! 부탁드립니다 ^^</center> **<center>블록체인과 Value Web</center>** 1탄 https://steemit.com/kr/@kim066/value-web-1 2탄 https://steemit.com/kr/@kim066/value-web-2 3탄 https://steemit.com/kr/@kim066/value-web-3 3탄-1 https://steemit.com/kr/@kim066/jaytop-value-web-3-1
👍 kim066, happadai, dnr1016, horea, soyo, arjunmartavela, ez2bt, beoped, arama, leomichael, alexurso13, justfin1128, biggijay, nickdavison, ryusuk8017, wanxlol, sandra, ihashfury, jason, revealer777, tmdhml, fallingamble, a-steemit-upvote, bilbotbaggins, koreaminer, uniquevineett, halamadrid, duekie, cheongpyeongyull, feyee95, koreanguy, uksama, showroo, greenjuice, seunggon.jung, toktok, card1001, eunstar, viance, thisvsthis, fysoul17, stalk.yoon, choigiyeon, cine, coinkorea, jonghyun37, woosungchoi, blockchainnomad, reei, clayop, alevale1010, koreaico, cljg918, bongkyu, swhomme, slowwalker, bue, egyption, insidebig, overdriv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