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중국 VS USDT] 암호화폐 1세기의 종말, 그리고 2세기로의 전환 by project7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Viewing a response to: @project7/vs-usdt-1-2

·@kriptortsoi1·
0.000 HBD
정성 담긴 글 잘 읽었습니다.
읽고 다니 몇가지 질문이 떠오르네요. 혹시 부연 설명을 해 주실 수 있는지 부탁드립니다. 

1. 중국정부와 암호화폐 업자들이 협력해 글로벌 통화전쟁에서 우위를 점하려 한다고 하셨는데 후반부에 서술하신 전략 (테더 신뢰도 공격 -> 암호화폐 빙하기를 촉발) 이 어떻게 위안화 경쟁력 상승을 유도한다는 것인지 갸우뚱 합니다. 

2. https://bitinfocharts.com/bitcoin/wallet/Bitfinex-coldwallet
이 그래프는 빗파 콜드월렛의 BTC 수량하고 그것을 USD 가치로 환산한 것이지, 빗파의 USDT 보유량과는 상관이 없는 그래프 아닌가요?

3. 한국이 중국 자본의 자금세탁 창구로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하셨는데...
실제로 대단위 규모의 비트코인이 중국에서 한국거래소로 전송 되었는지에 대해 의문이 듭니다. 왜냐하면 1) 중국거래소가 폐쇄된 상황에서 비트코인을 구매할 방도는 OTC와 로컬비트코인 정도가 되겠는데 그 정도 볼륨이 말씀하신 효과를 낼 수 있을 정도의 유의미한 볼륨이라고 볼 수 있을지 의문이 가고, 2) 김치 프리미엄이 형성된 것은 정해진 공급 (모자라는 비트코인) 에 비해 한국마켓의 수요가 급증한 이유에서이기 때문에 만약 환치기용 중국발 비트코인이 대단위로 한국마켓에 흘러왔다면 오히려 김치프리미엄을 줄이는 효과가 나왔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4. 정부가 암호화폐 규제에 칼을 빼든 것은 환율 정책 교란 방지 라고 주장하셨는데... 이 논리가 성립하려면 본격적으로 국내에 암호화폐 열풍이 분 2017년초 부터 환치기 규모가 그 이전보다 훨씬 더 커졌다는 증거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헌데 링크하신 환치기 조직 적발 뉴스를 보면 2013년부터 활동을 해 왔다는 것이고, 따라서 최근 환치기 볼륨이 급격히 늘었다는 결론으로 이어지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실제로 환치기 볼륨이 최근 급격하게 늘었을 수도 있겠지요) 물론 대규모로 국내에서 중국으로 송금할 방법이 있다는 것은 중요한 단서라고 생각이 됩니다. 

5. 중국 정부가 채굴업자를 말려 죽이는 것이 어떻게 위안화 경쟁력 상승에 기여하는지 잘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6. 말씀하신 데로 중국 마이너들이 이탈하면 오히려 비트코인 마이닝이 탈중앙화 되는 효과가 발생해 비트코인 가치가 더 상승해야 한다는 결론으로 이어지지 않나요? 말씀하신 효과는 오히려 비트코인이 현재 직면한 가장 큰 문제이자 위험요소 중 하나가 사라지는 결과를 낳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통찰력있고 흥미로운 시각에 감탄했습니다.
간만에 깊게 생각을 해보는 시간을 가졌네요. 감사드립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