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Light] 김민섭, <아무튼, 망원동>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kyslmate·
0.000 HBD
[BookLight] 김민섭, <아무튼, 망원동>
![](https://d1qdt3iqrg9sdf.cloudfront.net/?qid=79:1542352898575254.jpg:1321x881)
<br><br>

&ensp;이 책은 도시를 온전한 자신의 고향으로 인식하는 세대의 한 사람이, 자신이 어릴 적 나고 자란 ‘망원동’이라는 동네에 대해 이야기하는 내용이다. 저자 김민섭은,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대리사회> 같은 책을 쓴 전직 시강강사 출신의 작가다. 
<br>

&ensp;이 책에서 그는 2017년부터 1984년까지 시간을 거슬러 가며 그 나이 때 망원동에서 겪었던 경험과 망원동의 변화를 이야기한다. 
<br>

&ensp;“그때 거긴 온통 뻘밭이었어. 지금 저렇게 빌딩이 들어설 줄 누가 알았대니?”
&ensp;예전에 어른들이 고향에 대해 회상하는 걸 들으면, 세상이 ‘상전벽해’ 수준으로 변했다는 걸 실감하곤 했다. 그때 어른들의 ‘고향’이라는 것은, 계절이 바뀔 때마다 풀과 나무의 색이 달라지는 시골이 대부분이었다. 
<br>

&ensp;하지만 이젠 좀 다르다. 오늘날엔 중년을 바라보는 사람들도, ‘고향’하면 회색빛이 감도는 도시를 떠올리는 일이 많다. <아무튼, 망원동>의 저자의 말처럼 지금의 삼사십 대는 ‘도시를 온전한 자신의 고향으로 인식하는 1세대’가 된 것이다. 
<br>

![](https://d1qdt3iqrg9sdf.cloudfront.net/?qid=79:1542353185363080.jpg:1522x864)
<br>

<h3>자신보다 더 많이 변해버린 고향</h3>
<br>

&ensp;어릴 적 망원동 일대에서 살던 저자는 학창시절 이후 꽤 오랜 시간동안 그곳을 떠나 있다가, 누군가의 제안으로 망원동의 ‘공동 작업실’로 돌아온다. 이 책을 쓰기 위해 동네를 돌아다닌 저자는 ‘망리단길’로 핫플레이스가 되어버린 거리에서 이질감을 느낀다. 간판만 봐서는 무엇을 파는 가게들인지 모르겠고, 그 안에 들어앉은 젊은이들의 낯선 분위기 때문이다. 

>&ensp;“상수동하고 망원동 가게들, 나 같은 사람들이 들어가면 안 될 것 같아. 힙스터가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저기 있는 사람들 다 힙해 보여.”

<br>

&ensp;‘고향과 나’를 소재로 한 이야기들의 대부분은, 여전히 ‘그곳에’ 머물러 있는 고향에 비해 너무 많이 변해버린 나 ‘자신’을 발견하는 내용이 많았다. 아직 그대로인 고향을 보며 안도감을 느끼고 외부 세계에서 변해온 자신을 성찰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던 것이다. 
<br>

&ensp;하지만, 이 책에선 나보다 더 빠르게 변해버린 ‘고향’의 풍경을 이야기한다. 실제로 누군가의 고향은 자본의 논리와 유행을 따라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변해버렸다. 뻘밭이 번화가로 바뀐 것만큼이나 큰 변화를 겪고 있는 것이다.
<br>

![](https://d1qdt3iqrg9sdf.cloudfront.net/?qid=79:1542353231977439.jpg:650x789)
*기획기사로도 보도된 망리단길 핫플레이스*
[2016. 11. 10. 여성동아](https://news.v.daum.net/v/20161110150513638)
<br>

&ensp;저자는 힙한 망리단길을 벗어나 어린 시절에 보았던, ‘스마트 안경점’, ‘청기와 갈비’ 같은 가게 간판을 보고서야 비로소 편안함을 느끼며 어린 시절을 떠올릴 수 있었다.
<br>

<h3>내가 떠나온 고향이 아닌, 나를 밀어내는 고향</h3>
<br>

&ensp;일반적으로 고향은 ‘떠나온’ 어떤 장소다. 하지만, 서울 망원동은 그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사람들조차 다른 곳으로 밀어내는 고향이 되었다. 
<br>

>&ensp;망원동/서울은 더 이상 젊은 세대가 자신의 노동이나 신용으로 거주에 필요한 초기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공간이 아니다. 그러나 단순히 나고 자란 곳에서 살고 싶다는 바람뿐 아니라 삶을 지탱하는 그 무엇이 거기에 있기에 누군가는 안간힘을 쓰며 버틴다. 한 중학교 동창의 결혼식에서 만난 D는 결혼하고도 망원동에 남은 몇 안 되는 친구다. 그런 그가 입버릇처럼 하는 말이 있다. “나는 내가 자란 망원동이 정말로 좋아. 여기에서 아내와 아이와 함께 계속 살고 싶어. 지금은 그게 유일한 목표야.” 그에게 다른 도시로의 이주는 밀려나는 일이 될 것이다.

<br>

&ensp;사람들은 망리단길, 망원시장 그리고 ‘나 혼자 산다’에서 장미여관의 육중완이 살던 동네로 망원동을 기억하곤 한다. 이 망원동이 영화 <추격자>에서 연쇄 살인이 벌어졌던 동네로 나왔을 때, 어떤 이는 동네의 이미지가 나빠질까 고민했지만, 저자의 친구 중 하나는 <추격자>같은 영화를 더 찍어서 집값이 좀 내려가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한다. 
<br>

&ensp;이 동네에선 일반 사람들뿐만 아니라, 많은 가게들도 문을 닫고 다른 곳으로 떠나갔다. ‘젠트리피케이션’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난 곳 중의 하나다. 

>젠트리피케이션 :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비교적 빈곤 계층이 많이 사는 정체 지역에 진입해 낙후된 구도심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으면서 기존의 저소득층 주민을 몰아내는 현상을 이르는 말이다. &ensp;&ensp;&ensp; -Daum 백과

<br>

&ensp;이 책은, 한 사람이 기억하는 고향의 과거와 현재, 고향에서 사라진 것들에 대해 말함과 동시에, 대한민국의 많은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을 증언하는 책이기도 하다. 저자의 소소한 경험들과 날카로운 통찰이 어우러져, 얇은 책이지만 묵직한 여운을 남긴다.
<br>

<h3>아무튼 시리즈</h3>
<br>

&ensp;이 책은 ‘아무튼 ○○○’ 하는 에세이 시리즈로 기획되었다. 아무튼 시리즈는, 한 손에 잡히는 작은 문고판 시리즈다. 150페이지 남짓의 분량으로 쉽고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시리즈다. 
<br>

![](https://d1qdt3iqrg9sdf.cloudfront.net/?qid=79:1542353371349353.jpg:500x266)
<br>

&ensp;모든 책의 맨 뒷장엔 이 시리즈의 기획 의도가 적혀 있다. 

>&ensp;나를 만든 세계, 내가 만든 세계 ‘아무튼’은 나에게 기쁨이자 즐거움이 되는, 생각만 해도 좋은 한 가지를 담은 에세이 시리즈입니다.

<br>

&ensp;이 시리즈는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저마다 좋아하는 한 가지 주제를 가지고 글로 풀어놓은 에세이 시리즈다. 현재 나온 책들만 해도, 서재, 시간, 영어, 피트니스, 쇼핑, 택시 등등 아주 다양하다. 
<br>

&ensp;나의 경우, 에세이는 하루키나 고레에다 히로카즈, 폴오스터, 커트 보니것 등 좋아하는 작가 위주로 편식해왔는데, <아무튼, 망원동>을 읽고 이 시리즈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지금은 <아무튼, 스릴러>라는 책을 읽고 있다. 
<br>

&ensp;*세 개의 작은 출판사(위고, 제철소, 코난북스)가 의기투합하여 만든 시리즈인데, 북이오엔 세 출판사 중 ‘코난북스’에서 나온 책들만 올라가 있다.*

![영감5.jpg](https://cdn.steemitimages.com/DQmUTw2JnJkucghkDN2fE8qP4FpMztKvLFT88CG3nezeyB1/%EC%98%81%EA%B0%905.jp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