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가 이야기] '미국 근대사진의 개척자' 알프레드 스티글리츠(Alfred Stieglitz)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loki80·
0.000 HBD
[사진가 이야기] '미국 근대사진의 개척자' 알프레드 스티글리츠(Alfred Stieglitz)
안녕하세요~ '스사모'의 모임지기 로키(@loki80) 입니다.

오늘은 '미국 근대사진의 개척자'라고 불리우고 사진을 독자적인 하나의 예술형태로 격상 시킨 사진가 **'알프레드 스티글리츠(Alfred Stieglitz: 1864~1946)'**를 소개 드리려고 합니다.

![AlfredStieglitz2.jpg](https://res.cloudinary.com/hpiynhbhq/image/upload/v1515859894/bflfnd2orrfdtycbptf1.jpg)

스티글리츠는 1864년 미국 뉴저지의 호보켄에서 태어나서,  1881년 독일로 이동한 뒤 베를린에서 전기공학을 공부하게 됩니다. 
독일에서 구입 한 소형 카메라로 인해 사진연구로 전향하였으며 2년 동안 잡지의 프리랜서로 사진을 찍었습니다.

그리고 1891년 미국으로 돌아와서 '뉴욕 카메라 클럽'에 가입했고, 미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영국 회화주의 분파인 'Linked Ring'의 회원이 되면서 미국의 회화주의 사진을 선도하는 작가가 되었습니다.

스티글리츠는 1902년 **'National Art Club'**으로 부터 전시회 주관 의뢰를 받았는데 , 이 일을 하던 도중 클럽과 사이가 나빠져 '사진분리파'를 결성하게 됩니다.

**'사진분리파(Photo-Secession Group)'**을 결성한 뒤에는 미국의 회화주의 사진을 주창하며 사진을 예술로 격상시키려는 노력을 계속 하였습니다. 
하지만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통주의자들의 인정을 받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1903년에 독자적으로 **'카메라 워크(Camera Work)'**를 발행했습니다. 

이후 그는 회화적 사진을 반대하고, 카메라의 실제적 묘사를 중요시하는 **'스트레이트 포토그래피'**를 주장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발상의 전환이죠. 

사진이 회화를 따라하려고 하지말고 사진이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인 리얼리즘을 최대한으로 키움으로써 사진이 독자적 예술영역을 구축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입니다.

아래는 스티글리츠의 대표작인 '3등 선실' 이라는 작품입니다.
![hb_33.43.419.jpg](https://res.cloudinary.com/hpiynhbhq/image/upload/v1515862052/unxbh0s2myhu4j7c0vb3.jpg)
#
#
'베니스의 소년'은 강렬한 눈빛을 보내고 있네요^^
![0c93533a9eca38960dcb798e22ceea67--alfred-stieglitz-venetian.jpg](https://res.cloudinary.com/hpiynhbhq/image/upload/v1515862116/fh0upszo8cwjob5o6d5o.jpg)
#
#
 그리고 손을 강조한 사진을 좋아했던 것 같습니다. 
사실 손이 사진에서 많은 이야기를 해줄 수 있는 인체의 부위이기도 하죠.
 ![alfred_stieglitz_038.jpg](https://res.cloudinary.com/hpiynhbhq/image/upload/v1515862188/teliyulyv7gxzfpl6fzx.jpg)

![alfred_stieglitz_001.jpg](https://res.cloudinary.com/hpiynhbhq/image/upload/v1515862193/r6dskgsoa6qto9y17cgu.jpg)

![DP233003.jpg](https://res.cloudinary.com/hpiynhbhq/image/upload/v1515862210/musappmj2lg2xzzqipfv.jpg)
#
#
초기의 사진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회화 같은 느낌이 들죠.
![130131-grand-central-anniversary-begley-tease_e1v8nq.jpg](https://res.cloudinary.com/hpiynhbhq/image/upload/v1515862301/rsh7vmtznkqsdp7ff6fp.jpg)

![alfred_stieglitz_047.jpg](https://res.cloudinary.com/hpiynhbhq/image/upload/v1515862307/ozgaz7modmdr5f3eah4n.jpg)
#
#
작가의 말년에는 **'Equivalent'**라는 시리즈로 하늘의 구름 만 몇년간 찍었다고 합니다.
노년에 들어서는 시시각각 변하는 구름의 모습에 빠져들었나 봅니다.
![Equivalent alfred_stieglitz_041.jpg](https://res.cloudinary.com/hpiynhbhq/image/upload/v1515862327/ao7jdseftu4m8tydeit4.jpg)
#

스티글리츠는 그 자신이 재능 있는 사진작가이기도 했지만, 사진이라는 매체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되는 점은 사진을 하나의 권위 있는 예술형태로 격상 시켰다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hb_33.43.29.jpg](https://res.cloudinary.com/hpiynhbhq/image/upload/v1515862956/ovnoifjon1twomgsf63f.jpg)


## 기존 [사진가 이야기] 시리즈 Link #photoartist

---
#
- [[사진가 이야기] '전쟁사진의 신화' 로버트 카파(Robert Capa)](https://steemit.com/kr/@loki80/robert-capa)
- [[사진가 이야기] '카메라의 시인' 으젠 아제(Eugene Atget)](https://steemit.com/photokorea/@loki80/eugene-atge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