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보는 KR커뮤니티 (3) : 주요 디앱(DApp) 관련 태그 사용 추이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lostmine27·
0.000 HBD
숫자로 보는 KR커뮤니티 (3) : 주요 디앱(DApp) 관련 태그 사용 추이
![000001.png](https://ipfs.busy.org/ipfs/QmSD5TuRE4rXuM9yfg1W6B68ex1jbhsAP2yMt2NgfH6nMT)

<hr>

※ 등록된 태그만으로 산출했습니다.
※ 단순 참고용으로 개인자료이며, 그에 기반한 일시적 사견일 뿐입니다.

이전 글에서 KR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카테고리 태그들의 사용이 꽤 감소된 것을 보았습니다.

[숫자로 보는 KR커뮤니티(2): 주요 카테고리 Tag사용수 추이](https://steemit.com/kr/@lostmine27/-kr2-tag--1543124638714)

감소분을 일정부분 메워주는 신설 태그들도 있겠죠. 주로 디앱 관련 태그들이 그것입니다.

<hr>

## 1) 스팀몬스터 (@steemmonsters & kr)
<br>

![105.png](https://ipfs.busy.org/ipfs/QmSGhJYAdYryCeLCTuaVsjPqFzmzpUYRxqSqx82Mphn23h)

직접 게임을 하고 있지 않아서 잘은 모릅니다.
(어릴 때 시뮬레이션만으로 돌릴 수 있는 유사한 형태의 게임들은 꽤 했었습니다.)

굳이 전체 사용자 수 추이 등을 참고하지 않더라도,

KR커뮤니티 내에서 steemmonsters 태그로 글을 올리는 숫자가 꾸준한 것을 볼 때, 나름 인기가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 느껴지는 차트인 듯 합니다.

게임을 즐기시는 분들의 칭찬글들을 많이 보았고, 해외에서도 전반적으로 현금구매가 가능한 점 등 **자생력 측면에서는 가장 기대가 되는 디앱이라는 평가**를 받는 것 같습니다.

증인 aggroed가 스몬의 경영진인 것 같은데, 요새 스팀 5~600원대부터는 향후 1년 보고 스팀 사라고 여러 번 추천 글 올리는 것도 봤습니다.

다만, 카드 기반 시뮬레이션 게임이라는 제약과 스팀잇 커뮤니티가 더 부진할 경우에도 외부 유입을 통한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106.png](https://ipfs.busy.org/ipfs/QmQvPM1LynoWmDGtEbCV6xxGnWH9ApU3rvZREZRkEqQfNX)

시즌 3의 인기추이를 관심있게 봐야겠습니다.

<hr>

## 2) 액티핏 (@actifit & kr)
<br>

![111.png](https://ipfs.busy.org/ipfs/Qmax69dHffYStyJNMcnBNacnWGBaPdss9qLE8JX2su49Fz)

feed에 은근히 종종 보여 확인해보니, 큰 숫자는 아니지만 꾸준한 모습이네요.

휴대폰에 설치하여 켜놓고 걸으면 자동 카운트해주고, 일정걸음 이상일 경우 인증글을 올리면 약간의 보팅이 들어오는 것 같더군요.

언뜻 보면 기존의 트레킹앱 대비 기능은 많이 부족해보이지만, 걸음 수 체크 및 인증시 보팅이라는 **간단명료하고 손쉬운 컨셉을 통해 일정 수준의 단기 수요는 있는 듯** 보이네요.

향후 좀 더 발전된 앱으로 변모하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hr>

## 3) 테이스팀 (@tasteem & kr)
<br>

![107.png](https://ipfs.busy.org/ipfs/QmaLePKeHEZXf4CPfoPTBYxtZsRSKMjDUfH5QmdLaFVw2d)

테이스팀은 초기보다는 kr내에서 관련 글 수는 조금 감소 추세에 놓인 모습입니다.

어림짐작으로는 전반적인 포스팅 수 감소에 따른 자연 감소와 소재의 약간의 고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 않나 싶습니다.

![108.png](https://ipfs.busy.org/ipfs/QmVmFbFgn9bSVyxtyqJ1x96Gxi2PnUq9cDdXfTvLbomgjM)

하드포코20 전후로 큰 변화는 없습니다만, 하드포크20 직후 오히려 테이스팀의 포스팅 수가 늘었다가 다시 제자리로 온 것을 볼 때, 아마도 기본보상수준이 높아질 때 좀 늘지 않나 싶네요.

먹고 사는 문제는 인간의 영원한 숙제이기도 하고, 때로는 글 내용에 대한 고민을 덜하면서 올릴 수도 있으며, (특히 뉴비 입장에서) 기본보상도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포스팅 수 감소시에도 상대적으로 하방경직성을 가져갈 여지**가 있는 컨텐츠 같네요.

다만 소재고갈 우려 등으로 꾸준한 뉴비의 유입이 필요할 것이고, 또한 테이스팀 글로벌의 발전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hr>

## 4) 스팀헌트 (@steemhunt & kr)
<br>

상대적으로 빠르게 시작한 디앱으로, 디자인과 컨셉이 괜찮았으나 알려지지 못하다가, 스팀 재단에서 100만SP를 지원받으면서 성장에 속도가 붙은 것으로 기억합니다.

![113.png](https://ipfs.busy.org/ipfs/QmVvf3LxT9wWyKLro7dfc8zqzRotHHsejFS54kfjBiRs3V)

6월에 갑자기 kr에 글이 늘었다가 싹 사라졌는데요. 100만SP를 지원받은 후 보상이 높아지면서 관련 글을 쓰는 KR분들이 일시적으로 급증했으나, 스팀헌트 측에서 글로벌 단위를 타겟으로 했고, 점차 해외 유저들과 경쟁이 이뤄지면서 오히려 kr에서 스팀헌트를 포스팅하는 유저는 감소하지 않았나 싶네요.

따라서 kr테그를 단 글은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으며, 일부 kr유저분들이 kr태그없이 열심히 스팀헌트를 활용하고 계시나, kr의 관심 자체는 다소 줄어든 분위기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스팀헌트는 애초부터 글로벌 단위를 타겟으로 한만큼 kr의 흐름과 무관하게 글로벌 단위에서의 움직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고, 또한 스팀헌트 측에서어뷰저를 관리하고 모더레이터 체계를 잘 운영하는 한편, **단기보다는 장기적인 비전 하에서 전략적으로 운영해 나가는 것을 지향하고 있기에, 태그사용 수보다는 글로벌 단위에서의 DAU, MAU 등 양적인 부분 및 질적인 성장을 따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hr>

## 5) 트립스팀 (@trips.teem & kr)
<br>

![109.png](https://ipfs.busy.org/ipfs/Qmd1VvCja8ovFywVLVUtLr7eEwcV9wpRPyFtrwJG9pCq5u)

사업 초기와 큰 차이 없이 포스팅 수가 유지되는 모습 같습니다.

여행 역시 인간에게 꼭 필요한 것이고, kr커뮤니티 내에 여행기 위주로 올리시는 분들이 꽤 계시기 때문에,

**테이스팀과 함께 전반적인 포스팅 수 감소시에도 그나마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 여지**가 있습니다.

트립스팀은 아직 초기 단계임을 감안할 필요도 있어 보입니다.

테이스팀과 마찬가지로 소재고갈 우려는 있기 때문에, 꾸준한 뉴비의 유입이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향후 트립스팀 글로벌 사업의 발전을 지켜볼 필요가 있을 듯 하네요.

<hr>

## 6) 아티스팀 (@artisteem & kr)
<br>

![110.png](https://ipfs.busy.org/ipfs/QmcnzEbgDBAPEsqLMXtwWDH32Cr1WDScKpdo6bHASVTUSf)

제가 아티스팀은 써보지 못해 잘 알지 못합니다. 위 차트로만 보면 이제 아티스팀 글에는 kr태그를 달지 못하거나, 전략변화를 모색하는 시기가 아닌가 싶은데요. 자세한 멘트는 생략하며, 별도 글에 정리된 아티스팀 글로벌 태그 사용 수 추이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r>

## 7) 디클릭 (@dclick & kr)
<br>

![112.png](https://ipfs.busy.org/ipfs/Qmcv6haaXg6khVBcBSafCV6GvaaYbv4R3pab5pA2DhrLUM)

초창기 기대를 한몸에 받고 약 150개 정도까지 올랐으나, 현재는 50개 정도로 떨어진 모습이네요.

디클릭 측에서 dclick태그를 달지 않아도 되도록 시스템을 변경하였기 때문에 사실상 태그 사용수는 의미가 없어졌습니다.

여러가지 소소한 논란이나 개선해야 될 점들이 아직 꽤 있는 것으로 들었습니다.

아직 **초기이니 그간 제기된 이슈들이 점차 개선되어 가는지, 좀 더 발전된 광고 컨셉을 가져올 수 있을지 등을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hr>

※ 이 글에서는 kr이 주도했거나 kr에서 사용빈도가 있는 주요 디앱 관련 태그 사용실태에 대하여, 해당 태그와 kr태그를 같이 단 경우만 포함하여 수치를 조회한 후, 그에 기반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별도 글에서 글로벌 단위에서의 해당 디앱 태그 사용건수 추이를 차트로 정리해 두었으니, 같이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KR에서 유명한 주요 스팀 디앱들(DApps)의 글로벌 단위 태그 사용 추이](https://steemit.com/kr/@lostmine27/kr-dapps--1543187344996)

**감사합니다.**


---

#####  <sub> **Sponsored ( Powered by [dclick](https://www.dclick.io) )** </sub>
[![dclick-imagead](https://s3.ap-northeast-2.amazonaws.com/dclick/image/dclick/1540725947960.png)](https://api.dclick.io/v1/c?x=eyJhbGciOiJIUzI1NiIsInR5cCI6IkpXVCJ9.eyJjIjoibG9zdG1pbmUyNyIsInMiOiIta3ItMy1kYXBwLS0xNTQzMTg3MDM1OTM5IiwiYSI6WyJpLTYiXSwidXJsIjoiaHR0cHM6Ly93d3cueWVzMjQuY29tLzI0L0dvb2RzLzY1NTU5MzcwP0Fjb2RlPTEwMSIsImlhdCI6MTU0MzE4NzAzNSwiZXhwIjoxODU4NTQ3MDM1fQ.UODzcqK6PvHedL994C1BySPIeTwR8tnwD4hMBD3lA3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