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터리를 응용한 펀더(funder)시스템 구성] 펀드레이징 안내.
funder·@ludorum·
0.000 HBD[로터리를 응용한 펀더(funder)시스템 구성] 펀드레이징 안내.
# [로터리를 응용한 펀더(funder)시스템 구성] 펀드레이징 안내. 안녕하세요 ludorum입니다. 오늘은 새로운 시스템을 하나 제안해서 펀드레이징을 하려고 합니다. @leesunmoo 님께서 이러한 시스템을 구상해서, 제안해주셨습니다. 매우 좋은 아이디어이기에 몇 가지 내용만 간단하게 추가하여 펀딩을 받기로 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 ## 펀딩 구성 안내 - 이번 펀딩은 목표 금액을 **2만 스팀달러**로 합니다. - 총 **100번**으로 나누어 선착순으로 참여를 받습니다. 입금 순서대로 회차가 마감됩니다. (50명 입금시, 50회 마감) - **50번까지는 1인당 1회**만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 **51번 이후에 대한 예약은 자유롭게 가능합니다.** - **50명 이상이 참여한다면 커뮤니티가 이 시스템에 동의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8월 20일**까지 펀딩이 진행됩니다. (약 3주) ### 참여에 대한 보상 안내 - 발생하는 수익금의 기여분에 대한 보상은 1회의 참여당 1%로 계산되어, 한 달에 한 번씩 분배하여 나누어드립니다. ### 참여 안내 - @ludorum 계정으로 200SBD의 배수로 금액을 전송하시고, [참여]를 붙여서 댓글을 남겨주세요. 펀딩은 선착순으로 참여되며, 100% 완료되면 마감됩니다. 그 이후의 펀딩금액은 환불됩니다. - 50회 이전에 200 SBD 이상의 금액을 전송하시면, 51회차 이후에 대한 예약이 됩니다. ### 환불 안내 - 펀딩이 100% 모금되지 않으면, 전액 환불됩니다. (스팀은 수수료가 없어요!) - 모금된 금액은 50%는 개발 비용으로 매각됩니다. 따라서 펀딩 실패 외에 프로젝트 진행중에 환불은 50%에 대해서 가능하고, 나머지 50%에 대해서는 개발팀에서 매수하거나, 추가 참여자가 있는 경우 이를 통해서 환불하도록 하겠습니다. ---- ## 시스템 안내 우선 시스템의 기초는 복권(lottery)과 비슷합니다. 그러나, **보팅을 통해 참여하므로, 사행성 시스템은 아닙니다.** 당첨자 선정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아래의 특정 숫자는 예시이므로, 세부사항은 조절될 수 있습니다. ### 발행 1. 참여를 위한 포스팅이 매일 6시간마다, 총 4회 발행됩니다. (7일에 28회가 이루어집니다) 2. 당첨 확률은 1만분의 1과 같은 식이며, 포스팅에 기재됩니다. ### 참여 1. 모바일 앱을 통해서 스팀커넥트를 연동하여 참여할 수 있습니다. 2. 참여는 보팅과 동시에 자신의 복권번호가 발행되어 댓글로 작성됩니다. **이 복권번호는 조작이 불가능하며, 모두가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발행됩니다.** (예를 들면, 참여가 이루어지는 트랜잭션의 해시값과, 블럭의 해시값을 이용하는 식으로 구성함) ### 추첨 1. 다음 포스팅이 발행될 때, 실시간으로 추첨이 이루어지고, **추첨 역시 조작이 불가능하며, 모두가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마찬가지로, 추첨이 이루어지는 트랜잭션의 해시값과, 블럭의 해시값등을 이용하는 식으로 구성함) ### 당첨금 (보팅 보상, SBD) 1. 보팅으로 발생한 스팀달러의 80%를 당첨자에게 지급합니다. 2. 보팅으로 발생한 스팀달러의 17%를 저작권 침해 대응과 같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일에 사용합니다. 3. 보팅으로 발생한 스팀달러의 3%를 이 펀딩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기여분으로 지급합니다. ### 보팅 보상, SteemPower 1. 보상으로 발생한 스팀파워 중 일부는 당첨금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2. 보상으로 발생한 스팀파워 중 일부는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서 사용됩니다. 3. 보상으로 발생한 스팀파워 중 일부는 다른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특수 목적의 추첨 가끔, 특수목적의 기금마련을 위해서 이 시스템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번 스팀페스트와 같은 펀딩이나, 커뮤니티에서 발생하는 펀딩중에서, 공익이나 스팀 커뮤니티를 위한 기금 마련을 위해서 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당첨금의 30%를 당첨자에게 지급하고, 69%를 해당 프로젝트에 기금으로 전달하고, 1%를 기여분으로 지급하는 것처럼 비율을 변경하여 운영될 수 있습니다. ### 일반 추첨에 대한 고정 비율 안내 위 시스템의 내용에서 표기된 숫자중, 특수 목적의 추첨을 제외한 일반 추첨에서 아래의 내용은 고정입니다. 펀딩 참여자(사람 수)의 과반 원하지 않는 이상 변경되지 않습니다. 1. 펀딩 기여분에 대한 지급은 **3% 이상**으로만 설정됩니다. 2. 저작권 침해 대응과 같은 누군가는 해야할 일에 사용될 기금은 **17% 이상**으로만 설정됩니다. ---- 이번 시스템의 마련은 다른 프로젝트나 펀딩에 대해서 좀 더 쉽게 기금을 마련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이에 steemkr 팀 내에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이 있었습니다. 펀딩이 완료되면, 다시 공지하겠지만, 개발에 그리 길지 않은 기간이 소요된다는 분석이 있었습니다. 성공적으로 펀딩이 완료되어, 펀딩 참여자에게는 기분 좋은 보상을 지급하고, 커뮤니티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허브 시스템을 마련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비한국어권에서도 참여가 가능합니다. 영어로 번역해주신다면, 본문에 내용을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 펀딩이 완료되면 **비트쉐어의 IOU**를 이용하여, 거래가 가능한 토큰을 발행하고 **스팀달러 갯수**에 맞춰서 지급하는 방안을 고려중입니다. **오픈레져는 토큰 발행과 거래, 양도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플랫폼**이어서 @isaaclab 님께서 문의주신 권리 양도에 대한 수단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고 보입니다. 그리고 스냅샷을 통해 기여분에 대한 분배가 이루어질때도 손쉽게 스냅샷을 떠서 가능한 이점도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 - 환불에 대한 내용이 조금 더 추가되었습니다. - 기여분에 대한 토큰 발행 논의 내용이 추가되었습니다. - 참여 댓글 이후, 6시간 이내에 해당 금액을 송금하시는 경우, 선착순을 유지하실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분단위가 지난 이후에는 선착순에서 밀리니 유의해주세요!)
👍 ludorum, nayya24, sinnanda2627, woojin, woojumbs, hyokhyok, leesongyi, wooklym, woosungchoi, jyp, wony, jkkim, binarywoo, giizzang, segyepark, leomichael, vimva, isaaclab, genemk, honna, usim, snow-airline, thisvsthis, dimimp, cheongpyeongyull, brent1042, pikto, sjchoi, stonecone, yusrizal08, soyo, dyuryul, leesunmoo, yun093, egonz, jhelbich, benniebanana, cyclope, signalandnoise, leesol, ubg, choind, omegathree, ziad, ibk, yguhan, yirgacheffe2shot, cjsdns, floridasnail, lhamed, skt, gyeryak, kimsungmin, boostyou, kkw, tworld, kview, louispark, audre, geta, palejack, ninzacode, hunhani, clarkgold, twinbraid, atom, paran, morning, iieeiieeii, d-m, miraclemaker, bluelea, lamhirh, sweeti, haji, kmn1120, cheolwoo-kim, yahqan, funder, lsc9999, enomujjass, successtrainer, leeji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