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일링 전쟁(Scailing War) (2) - Bitcoin Unlimitied : 비트코인 언리미티드
kr·@maa·
0.000 HBD스케일링 전쟁(Scailing War) (2) - Bitcoin Unlimitied : 비트코인 언리미티드
 안녕하세요 마입니다. 오늘은 비트코인 언리미티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드리겠습니다. 이번편은 [위키피디아 - 비트코인 언리미티드](https://en.wikipedia.org/wiki/Bitcoin_Unlimited)항목을 많이 참조하였습니다. 서술식 소개인 본문을 최대한 항목별로 요약하여 보기 편하게 만들었으며, 그외에 항목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도움이되는 자료 및 지식을 일부 첨부하였습니다. 다음 편에는 BU와 코어 사이의 정치적인 관계 및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서 작성 하도록 하겠습니다. [스케일링 전쟁(Scailing War) (1) - Bitcoin Core : 비트코인 코어](https://steemit.com/kr/@maa/scailing-war-1-bitcoin-core-1) ---- # 목차 1. 비트코인 언리미티드란? 2. MG, EB, AD? 3. BU가 만들어진 이유 4. 거버넌스 5. BU를 지지하는 사람들 6. BU에 대한 비판 7. BU가 겪은 버그와 받은 공격 8. BU 현재 상황 ---- # 1. 비트코인 언리미티드란? **비트코인 언리미티드(BU)**는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위한 **풀 노드 소프트웨어 클라이언트**입니다. 2016년 1월에 첫 공개가 되었으며 2017년 3월 14일에 안정된 버전인 1.0.1.1을 출시하였습니다. **C++**로 설계되어있으며 **윈도우, 리눅스, 맥 OS X, ARM**의 운영체제에서 지원됩니다. BU는 **Bitcoin XT**와 **Bitcoin Classic**의 릴리스를 따릅니다. **'비트코인 코어'** 클라이언트가 **블록 크기 제한을 1MB**로 하드 코딩했지만, **'BU'**는 블록 크기 **제한이 하드 코딩**되어있지 않아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블록 크기 제한**에 대한 **신호**를 보내면 다수가 **합의**하는 제한 지점을 찾아내고 블록 크기 제한을 그 값으로 설정 합니다. **BU 마이너**는 **일반 크기의 블록**을 계속 처리하지만 **1MB를 초과하는 블록**을 채굴하자마자 **대부분의 작업이 포함 된 체인**을 따릅니다. 즉, **블록의 크기 제한**은 자연스럽게 자신의 선호를 표현하는 수천 명의 노드 운영자와 마이너의 **누적 효과**에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BUIP001** 제안을 문서화한 것은 **수석 개발자인 Andrew Stone**입니다. # 2. MG, EB, AD? BU에는 세가지 매개 변수가 있습니다. **최대 생성 크기(MG), 초과 블록 크기(EB), 초과 승인 깊이(AD).** ## 2-1. 최대 생성 크기(Maximum Generation Size) **최대 생성 크기**는 기본적으로 **1MB**로 설정된 **매개 변수**입니다.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그것을 조정하여 그들이 생산하는 **블록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 ## 2-2. 초과 블록 크기(Excessive Block Size) **초과 블록 크기**를 사용하면 **노드**가 수용할 **블록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값은 기본적으로 **16MB**입니다. ## 2-3. 초과 승인 깊이(Excessive Acceptance Depth) **초과 승인 깊이**는 대다수의 다른 **마이너**가 초과 승인 깊이를 **설정**한 것에 따라 큰 블록을 **소급 적용**하여 **합의 전략**을 구현합니다. # 3. BU가 만들어진 이유 **BU**는 비트 코인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트랜잭션 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한 **작업 흐름(work flow) 병목 현상**을 피하기 위해 **블록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 작업 흐름 : 본래는 business process를 수행하기 위해 일어나는 **일련의 업무 흐름**을 뜻한다. 작업 흐름(work flow) 제품들은 한 조직체 내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일련의 업무들을 정의**하고, 정해진 **시간 안에** 업무가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서버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만든 소프트웨어이다. # 4. 거버넌스 > 거버넌스 : 해당 분야의 여러 **업무를 관리**하기 위해 정치·경제 및 행정적 권한을 행사하는 **국정 관리 체계**를 의미한다. **BU**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민주화**하고자합니다. **BU**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연맹(Federation of Articles)에 설명 된 **공식 프로세스**에 의해 관리됩니다. 소프트웨어의 **개발자 또는 관리자**는 **매년 선출**됩니다. 높은 수준의 BU **관리**를 담당하는 **의장**과 **행정 문제**를 다루는 선출된 **장관**이 대표적입니다. 현재 **BU의 의장**은 **Andrew Clifford**입니다. **BU 장관**은 **Peter Rizun**입니다. 그외 Peter Tschipper, Andrea Suisani, Andrew Stone 및 Amaury Sèchet가 포함됩니다. # 5. BU를 지지하는 사람들 BU는 비트코인 30만개를 들고있는 bitcoin.com의 운영자 **로저버(Roger Ver)**가 적극적으로 지원합니다. Antpool, bitcoin.com, BTC.TOP, GBMiners 및 ViaBTC를 포함한 마이닝 풀은 BU를 사용합니다.  _2017년 3월 당시 BU를 지지한다고 했던 거래소 명단_ [3월 17일 Hardfork Statement](https://www.scribd.com/document/342194766/Hardfork-Statement-3-17-11-00am#from_embed?content=10079&campaign=Skimbit%2C%20Ltd.&ad_group=&keyword=ft750noi&source=impactradius&medium=affiliate&irgwc=1) # 6. BU에 대한 비판 **'비트코인 코어' 개발자**는 **블록 크기 제한**을 늘리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코어 개발자 Luke-Jr**은 "**현재의 제한**이 너무 크고 비트코인을 합당하게 이용하는 것은 평균적으로 **약 750k / 블록**입니다."라고 주장하기까지 했습니다. 데이비드 에이 존스턴 (David A Johnston)은 새로운 **컨센서스 메커니즘**이 **네트워크 분할**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현재 **BU 노드**와 코어의 **체인 분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비평가들은 **BU개발자**가 너무 적고 새로운 **코드에 대한 피어 리뷰(peer review)**가 부족하다고 합니다. # 7. BU 노드가 겪은 버그와 받은 공격 **2017 년 2월 2일** : BU의 버그로 인해 Bitcoin.com은 잘못된 블록을 채굴했습니다. **3월 14일** : 버그가 생겼고, 공격을 받았습니다. BU를 호스팅하는 노드의 수는 공격 후 780에서 370으로 떨어졌으며 10 월 이후 최저 수준이었고 웹 사이트 네트워크 데이터를 추적하는 코인 댄스에 따르면 24 시간 내에 약 800으로 돌아 왔습니다. **4월 24일** : 메모리 누수로 인해 70 %의 모든 비트코인 언리미티드 노드가 충돌했습니다. **5월 8일** : 대략 모든 BU 노드 중 약 70 %가 다시 오프라인 상태가되었습니다. 정확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BU 개발자 인 Andrea Suisani는 BU의 기능인 Xthin 프로토콜과 관련이 있다고 얘기했습니다. # 8. BU 현재 상황 ## 현재 노드 상황  ## 시간에 따른 노드 상황  # BU 노드 상황  ---- [깃 허브](github.com/BitcoinUnlimited/BitcoinUnlimited) [BU 홈페이지](https://www.bitcoinunlimited.info/) ---- **오늘 포스팅 도움이 많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Steemit에 가입해서 하단 버튼을 눌러주세요~!** **큰 힘이 됩니다!** [](https://steemit.com/kr/@leesunmoo/2017-5-2-signup-process-evolution) [](https://wiki.coinkorea.info/) [](https://twitter.com/coinkor/) [](http://www.chaintalk.io/)
👍 maa, ardina, zefa, bosjaya, coocoocachoo, arama, breezin, nightcoffee, corn113, pipokinha, tommycoin, morning, kview, aismor, stylo, alflo, patrickmohr, bola, ghostwriter82, elizahfhaye, fatimajunio, crisgojar, sandra, ihashfury, jason, kanghamin, sanghkaang, manosteel211, pys, behappy7, anwarabdullah, smart0mind, yoon, onizuka, koreaculture, clayop, cnstlf60, jkkim, naanruble, steem-king, seunggon.jung, leesunmoo, signalandnoise, atomrigs, mattchoi, bledarus, ianereht, kwak, dubi, cljg918, hunhani, jaiken, yguhan, secom, very, ianlim, thisvsthis, jijeegee, ninzacode, ludorum, lsc9999, venti, melona, superremnant, jay4u, goldenman, anfield, richbaek, abdullar, m8586, hyndai, skt1, coinkorea, july01, koreanbread, roychae, vip, neojew, waystobecalm, soon8013, ioc, jsg, koant, jonver, businessman, oldstone, yslee, crawfish37, nightsky35, vantablack, thomasgutierrez, honna, ksc, twinbraid, insic, prameshtyagi, sinki, ramengirl, gogumacat, star02037, vinnie1016, leomichael, pharmacistsong, jaguarb612, kkw, ssm1810, seongbuk, ghana531, hangeul, sdfgking03, warstudy87, jejujinfarm, slowwalker, dyuryul, elevator09, bird0223, lasper, soprano, callihappiness, emilniz, obrm, jinseok7421, teosama, sochul, steem.com, hongdor, sigizzang, bluepinokio, geta, umiksang, palejack, ramires, gotoperson, tiagd, detonation, happadai, jazznism, haerang2, glenn.lee, sonbyeul, englishtutor, kmyang62, rizaldamti, beajinsu, daystar, bkrinvest, newgaia, ilovesoccer, steemit-korea, nica2, sleste, sungrim, tosintosin, sean.noh, han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