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잇] 10. 지금 스팀잇에 필요한 건 'ONLY ON' (18.07.12)
kr·@madefromreality·
0.000 HBD[스팀잇] 10. 지금 스팀잇에 필요한 건 'ONLY ON' (18.07.12)
<html> <p>도대체 이놈의 코인 판은 그 바닥이 어디인지 모를정도로 내려 가고 있습니다. 뭐 , 다들 아시는 내용을 보태려는 건 아니고요. </p> <p>많은 분들이 바라시는 건 스팀과 스팀달러가 비트코인의 영향을 받는 알트코인이 아닌 독자적인 생태계를 가지는 것일 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스팀잇이라는 플랫폼과 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드파티 생태계가 조성되어서 진정한 화폐 생태계가 마련이 되어야 합니다. </p> <p>그 동안 그에 관한 포스팅은 저뿐 아니라 많은 분들이 해주셨죠.</p> <p>이번 포스팅에서는 현재 게임 콘솔 전쟁의 흐름을 통해 지금 스팀잇에 가장 필요한 전략이 무엇인지 한 번 고민해 볼까 합니다.</p> <p><br></p> <h1>1. 'ONLY ON' VS 'PLAY ANYWHERE'</h1> <p><br></p> <p> 전통적으로 콘솔 사업의 핵심은 '독점 소프트웨어'였습니다. 업계의 1 인자 닌텐도와 2 인자 세가 , 두 회사 모두 자기들만의 강력한 독점 소프트가 있었고 퍼스트 파티는 아니지만 얼마나 많은 서드 파티를 자기들의 플랫폼으로 끌고 오느냐가 관건이었습니다.</p> <p>플레이스테이션 1으로 게임 콘솔 전쟁에 첫 발을 내디딘 소니의 생각도 그들과 다르지 않았죠. 아케이드 시장에서 세가와 치열한 경쟁을 펼치던 남코와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강력한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게 됩니다. </p> <p>역사적인 플레이스테이션 1호 소프트도 남코의 '릿지레이서 1' 이었으며 이후 XBOX 360의 시대가 올 때까지 릿지레이서는 항상 소니 콘솔의 런칭 타이틀로 함께 했습니다.</p> <p>처음에는 기존의 거인들을 쓰러뜨리기 위한 작전이었지만 플레이스테이션 1과 2의 연이은 승리로 콘솔 업계 1 인자로 등극한 소니에게 "ONLY ON PLAYSTATION"은 그들의 모든 것을 담고 있는 단어였습니다.</p> <p>비록 플레이스테이션 3가 XBOX 360에게 초반 참패를 당하면서 위기를 맞았지만 그런 플레이스테이션 3를 구한 것도 막강한 퍼스트 파티 라인업이었습니다. PS 3 VS XBOX 360의 승부는 MS의 초반 리드에도 불구하고 퍼스트 파티의 힘이라는 뚝심을 보여준 소니가 카운터를 날리며 승부를 다음 라운드로 이끌었죠.</p> <p>PS 4와 XBOX ONE 이라는 새로운 전장에서 두 회사는 각기 다른 승부 전략을 선택합니다.</p> <p>역시나 이번에도 소니의 핵심 전략은 독점 타이틀 , 퍼스트 파티의 힘입니다.</p> <p><br></p> <p> https://youtu.be/h9Y-WhUak8I </p> <p><br></p> <p>https://youtu.be/RQeprq8NWT8</p> <p><br></p> <p><br></p> <p>이번 세대에서도 콘솔 게임의 중심은 어디인지 , 소니의 자신감이 묻어나는 부분이죠. </p> <p>반면 MS는 멀티 스크린 환경의 게임 경험을 중시합니다. 비록 자신들이 XBOX라는 콘솔 브랜드의 플랫폼 홀더이지만 원래 그들의 본업은 윈도우라는 OS입니다. 사실 상 오늘 날의 많은 게임들이 콘솔과 PC라는 멀티 플랫폼 전략을 쓰고 있기에 콘솔과 PC에서 동일한 게임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소니와는 다른 방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p> <p><a href="https://www.xbox.com/en-US/games/xbox-play-anywhere">https://www.xbox.com/en-US/games/xbox-play-anywhere</a></p> <p><br></p> <p>결과적으로는 현재까지는 소니의 승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PS 4와 XBOX ONE의 승패가 비교적 초반에 결정된 탓도 있지만 현재 MS의 전략인 'PLAY ANYWHERE'는 서드 파티 입장에서는 좋은 정책이지만 그들의 하드웨어에는 그렇지 못하다는 점입니다. </p> <p>대부분의 멀티 유저의 경우 PS 4+PC 라는 조합을 선택하면 대부분의 게임을 최상의 조건에서 즐길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적인 성능은 PS 4 PRO 보다 XBOX ONE X 가 더 우위에 있지만 이렇게 비싼 환경을 구축해도 여전히 PS 4의 강력한 독점작들은 즐길 수 없다는 상황이 벌어집니다.</p> <p>결국 대부분의 유저들은 PS 4 에서만 즐길 수 있는 독점작을 선택하게 됩니다.</p> <p><br></p> <h1>2. 스팀잇 VS 경쟁자들</h1> <p><br></p> <p>스팀잇의 가장 큰 경쟁자는 누굴까요? 전 세계적으로 본다면 페이스북이 될 것이고 국내로 보면 네이버가 있겠죠.</p> <p>사실 제일 위협적인 건 네이버라고 볼 수 있습니다. </p> <p>현재 스팀잇이 독자적인 생태계 구축을 위해 필요한 것을 네이버는 대부분 이미 비교도 안 될 정도로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p> <p>블로그 서비스 기반의 실물 생태계 환경에는 블로그 - 결제 플랫폼 - 실물 경제 의 3 가지 요소가 필요합니다.</p> <p>스팀잇의 경우 스팀잇 - 스팀페이코 - 스팀페이코 가맹점으로 볼 수 있죠. 문제는 아직 이 3 가지 요소 모두 네이버에게는 비교가 안 되는 규모라는 점입니다.</p> <p>네이버의 경우 자체적인 결제 플랫폼인 '네이버페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마켓 네이버쇼핑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일한 문제는 네이버 블로그와 이들 시스템을 연결해줄 암호화폐가 없다는 것이죠.</p> <p>하지만 네이버가 일본에서 라인 기반 거래소 런칭을 추진 중이니 먼 미래에는 '네이버 코인'도 등장할 것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스팀잇으로써는 가장 두려운 미래죠.</p> <p>이미 막대한 콘텐츠 생산자와 이용자 , 이미 시장에 안착한 결제 플랫폼과 거대 온라인 마켓을 보유한 공룡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 펼쳐지는 겁니다. 물론 암호화폐 생태계 참여자들이 이런 대기업의 중앙화된 시스템을 얼마나 호의적으로 바로 볼 지는 미지수이지만 아마 대다수의 일반인들은 스팀잇보단 네이버를 선택할 겁니다.</p> <p> </p> <p>어쩌면 네이버는 우리가 힘들게 시장을 개척해 주길 기다리는 중인지도 모릅니다. 어차피 자금력이 있으니 격차는 금방 줄일 수 있다고 , 아니 정확하게는 이 정도 규모의 시장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잡아 먹을 수 있다고 생각하겠죠.</p> <p> 결국 스팀잇이 이러한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길은 스팀잇만의 'ONLY ON'을 가지는 겁니다. 물론 스팀잇이 중앙화된 플랫폼이 아니니 이것을 강제할 수는 없죠. </p> <p>누구든 스팀잇과 다른 블로그 서비스를 같이 운영할 수 있고 그건 개인의 자유입니다. 오히려 참여자의 입장에서는 멀티 플랫폼 전략을 가져가는게 더 수익이 높죠. 이것이 바로 소니와 MS의 차이점입니다. 소니는 자사의 콘솔 환경인 PS 4를 통해서만 수익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반면 MS는 XBOX가 되었던 윈도우 10이 되었던 고객을 자신의 윈도우 스토어 생태계 안으로 가져오기만 하면 됩니다.</p> <p><br></p> <p>스티미언들은 소비자인 동시에 생산자입니다. 우리는 스팀잇 플랫폼을 통해 스팀과 스팀달러를 채굴 중이죠.</p> <p>물론 여러 플랫폼을 이용하면 당장의 수익은 높아질 지 모르나 결국 스팀잇이 기존의 경쟁자나 미래의 경쟁자들을 이기기는 어려울 겁니다. 어디에서도 볼 수 있는 글이라면 굳이 귀찮게 이 생태계 안으로 들어올 필요가 없죠.</p> <p>결국 우리가 채굴하는 스팀과 스팀달러가 더 높은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이 생태계 자체가 성장해야 합니다.</p> <p>그게 바로 지금 우리가 스팀잇에서 어떤 글을 써야 하는가에 대한 대답입니다. </p> <p>스팀잇의 차별화는 네드나 증인 , 고래 몇 사람이 할 수 있는게 아닙니다.</p> <p><br></p> <p>이 글이 스팀잇과 다른 블로그 서비스를 병행하고 있는 분들을 비난하기 위한 것은 아닙니다. 그것은 그 분들의 선택이고 저 역시 업무적인 내용이라면 네이버 블로그와 병행할 생각입니다.</p> <p>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팀잇만의 독점적인 콘텐츠는 필요하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콘솔 사업의 기간 한정 혹은 플랫폼 한정 콘텐츠 방식을 따 올 수도 있습니다. </p> <p>창작자 분들의 경우 스팀잇에서만 볼 수 있는 추가적인 분량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스팀잇에 먼저 업로드 한 뒤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에 다른 플랫폼에 업로드 할 수도 있습니다.</p> <p>판매자의 경우 스팀달러로만 살 수 있는 한정판을 팔 수도 있고요.</p> <p> </p> <p>중앙화된 플랫폼과 경쟁하려면 이것이 이상적이거나 옳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p> </html>
👍 umich, joeycrack, guangzhoulife, voyagesofcarla2, cjd, soundworks, cam-girls, roki70, paysteem, erudire, plgonzalezrx8, jungjunghoon, idontgnu, jamieinthedark, teaholik, songa0906, capzzang, qrwerq, tpdns90321, frontalnh, walkonman, influencer07, oldstone, woolgom, glory7, soonhh, blockchainstudio, skan, woo7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