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 상품의 이해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mastertri·
0.000 HBD
선물 상품의 이해
![코인입문](https://steemitimages.com/500x0/https://s26.postimg.org/dga2oqlsp/coin_title_tri.png)

안녕하세요? 트리입니다.
한국 시간으로 오늘 아침 8시, CBOE 시장에 비트코인 선물이 상장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이라는 가상화폐가 기존 금융과 연결되는 지점을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을 텐데요.
가상화폐에는 익숙하지만, 선물이라는 금융상품에 대해서는 익숙하지 않은 분이 많으실 듯 해서 선물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 선물? Gift? Present?

선물이라는 단어는 '앞 선', '물건 물'이라는 뜻으로 실체에 비해 먼저 앞서서 거래한다는 의미이고, 영어로는 Futures로 미래에 거래되어질 것을 뜻합니다.

선물은 미래의 특점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거래하는 상품입니다.
선물을 이해하기 위해 선물과 유사한 거래인 '선도 거래(Forward)'에 대해 먼저 살펴볼까 합니다.

#### 선도거래(Forward)와 선물거래(Futures)

![선도거래](https://cdn.pixabay.com/photo/2016/07/02/19/52/field-1493705_640.jpg)

> 김스팀씨는 벼농사를 짓는 농부입니다. 봄철에 농사를 짓기 시작해 가을에 벼를 수확하고, 벼를 내다 팔아 생계를 유지합니다.
농사가 잘 되고, 값을 잘 받으면 많은 돈을 벌지만 반대로 너무 풍년이 들어 가격이 떨어지면 오히려 손해가 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반대편에 서 있는, 농산물 유통업을 하는 최스달씨는 가을철에 쌀가격의 상승/하락으로 이익 혹은 손해가 발생합니다.
이 두 사람은 서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봄부터 미래의 쌀 거래에 대한 약속을 합니다.


이 약속으로 김스팀씨는 농사를 짓고 생계를 이어갈 수 있는 자금을 확보하고 시작한다는 점에서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최스달씨는 가을에 쌀 가격이 급등하더라도 미리 약속한 가격으로 쌀을 매입할 수 있어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당사자들간의 약속으로 미래의 상품을 거래하는 것을 **'선도거래'**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문제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선도 거래는 어느 한 쪽이 계약을 파기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가격이 올랐을 때 김스팀씨가 그 계약을 무시하고, 박비트씨에게 쌀을 모두 팔아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거죠.

그래서 중간에 제3자인 거래소가 개입해 거래를 중개하되 상품의 규격과 거래방식을 표준화 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우리는 그것을 **'선물거래'**라고 부릅니다.

---

# 선물거래의 규칙

![bitcoin](https://cdn.pixabay.com/photo/2017/01/25/15/42/bitcoin-2008262_640.jpg)

### 1. 규격화된 계약

선물거래는 많은 거래 참여자들의 약속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계약을 표준화 해 놓았습니다.

* 만기일자: 매월 혹은 매 3개월 등으로 만기를 정해 만기일에 계약을 처리합니다.
* 일일정산: 일별로 정산을 해서 일별로 수익/손실을 정산해 줍니다.
* 거래승수: 코스피200 선물 1 계약은 25만원으로 실제 거래되는 금액은 `25만원 x  코스피200지수'가 됩니다.

이 외에도 몇몇가지가 더 있지만, 간단히 이런 형태로 계약이 표준화 되어 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2. 증거금

중간의 거래소를 매개로 미래 상품을 거래하기 위해서는 신용위험(돈 떼먹고 달아날 위험)을 없애야 합니다.
그래서 '증거금'(Margin, 마진)이라는 이름의 담보금이 존재합니다.
이 증거금을 기반으로 미래 계약을 매수나 매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거래를 하는 도중에 증거금의 특정 비율보다 더 적은 금액이 잔고로 평가된다면 증거금을 더 넣으라고 요청을 받게 됩니다.
이렇게 증거금과 관련된 전화를 받는다는 데서 '마진 콜'이라는 이름이 유래했습니다.
오늘 날 '마진 콜'을 당했다는 것은 현재 잔고의 평가 가치가 많이 떨어져 현재의 증거금만으로 계약을 담보할 수 없으므로 강제청산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 3. 하락에도 베팅가능

선물거래는 1개월 뒤에 기초자산을 얼마에 사겠다라는 것 뿐만 아니라 팔겠다라는 계약도 가능합니다.
현재보다 미래에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면 선물매도 계약을 할 수도 있는 거죠.

### 4. 선물거래가 사용되는 방식

하락에도 베팅이 가능해 지기 때문에 가능한 트레이딩 전략도 있습니다.

1. 차익거래
현물과 선물의 가격차이가 크다면 현물매수/선물매도를 동시에 하게 되면 해당 기간동안의 안전한 수익을 벌어들일 수 있는 거죠.
2. 헷지거래
그리고 펀드매니저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하락을 예상하더라도 주식을 내다팔기 보다는 선물을 매도해서 위험을 줄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식거래로 인한 수수료나 세금 등보다 선물거래가 더 경제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투기거래
아예 폭락을 기원하며 선물 매도를 투기적으로 할 수도 있겠지요.

---

# 선물 상품으로 인한 복잡한 셈법

오늘부터 비트코인의 CBOE 선물 거래가 시작되면서 비트코인 가격의 미래는 더욱 복잡해 졌습니다.

긍정적인 부분을 꼽아 보자면 법정화폐 자금의 유입의 요인이 될 수 있겠습니다.
그동안 가상화폐 시장에 참여하지 못했던 펀드들의 자금을 공식적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요인이 되는 거죠.
이런 이유로 최근 비트코인의 급격한 상승이 있었다고 평가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반면에 선물 만기 시점의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은 부정적인 면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기억하는 만기 충격으로는 2011년 도이치 사태라고 부르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만기일 오후 2시 50분 동시호가 시간에 매물 폭탄으로 코스피 지수를 50포인트 가까이 끌어내렸던 사건입니다.(참고 [도이치사태](https://namu.wiki/w/11월%2011일%20옵션쇼크))

선물거래 시작으로 만기일의 위험이 존재하겠지만, 기초자산 상품의 변동성이 다소 줄어들고 보다 다양한 전략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더 큰 자금이 들어오게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장기투자자 입장에서는 이익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선물거래가 시작되는 것을 기점으로 향후 옵션 상품, ETF 등 다른 형태의 상품들이 추가될 것으로 보이므로 가상화폐 시장은 한동안 성장하게 될 것이라 예상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