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3월 22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kr·@matt788587·
0.000 HBD2019년 3월 22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 출처 : 신문사설과 브리핑 - 냉장고님 # 3월 22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 《경 제》 ☞“‘슈퍼사이클’ 끝난 반도체… 최소 올 3분기까지 하락세”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 “D램 26.2% 떨어질 것” 전망 낸드플래시도 20.8% 하락…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타격 불가피 ☞건강보험료 연체 이자 부담 줄인다…내년부터 최대 9%→5%..건보공단은 여기에 맞춰 건보료뿐 아니라 국민연금, 산재보험, 고용보험 등 다른 사회보험료의 연체이자율도 같은 수준으로 낮추는 입법작업을 지원 ☞올해 근로·자녀장려금 확대로 국세감면율 법정한도 넘을 듯.. 비과세·감면 등 5조6000억원 늘어 총 47조4000억원 육박...기재부 “국세감면한도 이하는 권고사항, 불가피할 수 있어” ☞금융당국 “카드수수료 협상에 위법사항 확인되면 엄중조치” 협상완료 후 대형가맹점 등 카드수수료 적용실태 점검 계획...수수료 갈등 2라운드…다른 대형가맹점들로 번지나 ## 《금 융》 ☞ 코스피가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동결 암시 발언에 상승 ☞ '금융發 혁신성장 드라이브'..혁신기업 100兆 공급, 코스닥기업 80개 상장 추진...정부가 기업대출, 자본시장, 정책금융을 아우르는 금융발(發) 혁신성장 드라이브를 강력 추진 ☞ 이부진, 주총서 “글로벌 3위 만들겠다”… 프로포폴 의혹에 주가는 급락...프로포폴을 상습 투약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주주총회에 참석해 ‘2022년까지 글로벌 3위 사업자가 되겠다’는 비전을 발표 ## 《기 업》 ☞ LG하우시스, 소형 창호 시장 본격 공략 나선다...창호 프레임 두께 대폭 줄여 시야 문제 개선한...'유로시스템 9mini'로 年1,500억원 시장 선도 ☞ 현대차, ‘젊고 강렬한’ 신형 쏘나타 공식 출시 "국민 세단 귀환" ...3세대 플랫폼으로 낮아지고 더 커져...날쌔면서도 우아한 디자인 철학 담아...인공지능 비서·보스 사운드 시스템도 ☞ 사망까지 이르는 해산물식중독, 내성 걱정없이 치료...최상호 서울대 교수팀 `CM14` 개발...비브리오 패혈증 등 효과적 치료 기대 ## 《부동산》 ☞상가·오피스텔 등도 '거래절벽'…2년9개월 만에 최저...주택시장 침체가 상업·업무용에도 영향…당분간 어려울 듯 ☞대림산업, ‘e편한세상 일산 어반스카이’ 3월 분양...일산역세권 도시뉴딜사업 지정...경의중앙선 일산역…GTX-A노선 개통 시 서울 접근성 증대...49층 초고층 랜드마크…4베이·드레스룸 등 공간활용도 극대화 ☞현대엔지니어링, ‘힐스테이트 명륜 2차’ 분양 예정...부산 동래구서 3년 만에 ‘힐스테이트’ 분양 ...부산지하철 1호선 명륜역 역세권∙평지∙동래구 학군 ...3종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4베이 판상형 신평면 설계 ## 《사회.유통》 ☞카풀에서 택시로 방향 돌린 카카오...승차거부 없는 ‘웨이고 블루’ 첫선 택시업계와의 타협 결과물.. 연내 3,000~4,000대로 확대..중소 카풀업체 반발 커질듯 ☞KT, 재난 대응에 3년간 4,800억 투입..통신망 재난안전 대응계획 수립.. 통신구 소방시설보강·감시 시스템 구축..중요통신시설 통신국사 29→400여개 확대 ☞서울 생활비 세계 7위… 빵값 최고 수준. 英 경제분석기관 133개 도시 분석.. 서울 생활비, 뉴욕-코펜하겐 비슷… 식료품-옷값 상대적으로 비싸 ☞한국 행복지수 156개국 중 54위…1위는 핀란드. 2019 세계행복보고서…韓 사회적 자유·부정부패 하위권.. 전 세계 경제성장 지속에도 행복도는 전반적으로 하락 ## 《국 제》 ☞ 美, 中수입품 25% 징벌관세 유지·10% 관세는 부분철회 검토 WSJ 무역협상 소개…中 '관세에 보복금지' 조항에 울분 ☞ 트럼프 협상 타결돼도 對中 관세 상당 기간 유지 방안 논의 협상은 잘 돼가고 있어…美언론 "조기 관세철회 전망 불투명 ☞ 美 "韓 2개사 주한미군 유류납품 담합…벌금내고 소송해결 합의 미 법무부 현대오일뱅크·에쓰오일 혐의 인정…합의안 제출 ☞ 디즈니, 20세기 폭스' 80조원에 인수...스트리밍 시장서도 강력한 영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