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셀프 보팅 논란에 대한 생각, 스팀의 가치와 대중의 합의 comment self-voting
kr·@nand·
0.000 HBD댓글 셀프 보팅 논란에 대한 생각, 스팀의 가치와 대중의 합의 comment self-voting
https://i.imgur.com/qPicdcm.jpg 안녕하세요 낸드( @nand ) 입니다. 최근, 댓글 셀프보팅에 대해 여러 이야기거리가 나왔습니다. @sigizzang님의 사과: https://steemit.com/coinkorea/@sigizzang/75l4sy @gogumacat님의 제안: https://steemit.com/kr/@gogumacat/6vxana @pliton님의 생각: https://steemit.com/kr/@pliton/2lytim --- ## 논란 커뮤니티가 발전하면서, 여러 의견들을 조율해가며 방향성을 잡아야 하는 문제는 항상 생깁니다. 여러 의견들을 볼 수 있는데요. 사람은 감정의 동물이고, 또 스팀이라는 자산이 걸린 문제이기에 이해는 되지만, 감정 싸움은 최소화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정의 글과 댓글을 따로 분리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글`은 `Submit a Story`를 눌러서 작성하는 포스트를 말한다. `댓글`은 `reply` 눌러서 쓰는 comment를 말한다. ## 가정 몇가지 가정을 하겠습니다. - 커뮤니티에 소속된 사람들은 모두가 스팀과 스팀잇의 발전을 원한다. (이 발전은 몇달에서 몇년에 걸친 장기적인 발전이지, 몇주 이내의 단기적인 발전은 아니다) - 이기적인 사람은 원치 않는다. (이기적인 사람의 예: 본인 글/댓글만 보팅하고, 남의 글/댓글에는 보팅을 안하는 사람) 단, `본인 글/댓글 보팅과 남의글/댓글 보팅의 비율이 어떤 정도가 이기적이냐?`는 사회적 합의로 이루어져야 할겁니다. 이 두 가지는 일단 동의하신다고 볼게요. 따로 언급 안하겠습니다. --- ## 질(quality) 우리는 글을 쓸 때 그 질(퀄리티)을 신경쓰죠. 왜냐. 보상을 받는데에 목적이 있거든요. 물론 보상 상관 없이 재미로 쓴다는 분도 계시지만, 보상'도' 받기 위해 스팀잇에 글을 쓸겁니다. 양질의 글을 써야 보상을 받을 때 명분이 생긴다고 생각하고 글을 쓰게 됩니다. 또한, 이 정도는 글을 써줘야 사람들이 많이 보팅하겠지? 라는 생각도 하지요. ## 나만 보는 글 극단적인 경우를 들어보겠습니다. 사람 A에게는 아주 좋은 글인데, 다른 사람에게는 쓸데 없는 글이 있다고 가정합시다. 그럼 A만 보팅하고 다른 사람은 보팅 안하겠죠. 그럼 A는, 본인의 스팀파워에 해당하는 만큼의 보상을 얻어갈겁니다. --- 이게 계속되면 어떻게 될까요? 글 상관없이 스팀파워에 대한 라워드 보상만 받으려는 사람이 몰려들거 같군요. 일단 스팀파워를 보유하려는 사람이 많아지니까, 단기간으로는 이익이죠. 하지만 장기간으로는 손해라고 봅니다. 의미없는 글이 점점 많아지고, 양질의 글이 점점 줄어들겠죠. 양질의 글을 쓰는 세력이, 의미없는 글을 쓰는 세력보다 커야 스팀잇의 가치가 생긴다고 봅니다. (양질의 글도 쓰고, 의미없는 글도 쓰는 사람은 고려 안하냐고요? 그런 사람도 있겠지만 문제를 단순화하기 위해 뺐습니다.) ## 스팀잇 커뮤니티의 가치 스팀의 가치, 내지는 스팀잇 커뮤니티의 가치는 뭘까요? 양질의 글이 있는 곳? 스팀파워를 많이 가지면 더 많이 얻어가는 곳? 모두 맞는 말입니다. 그러나 ... 저는 알트코인 잘 모르지만, 스팀은 다른 알트코인과는 비교되는 가치가 있습니다. 그게 바로 `양질의 글`이라 생각합니다. 이 가치가 없어지면, 가진 스팀파워에 의해서만 보상이 이루어지겠죠. 그러면 스팀은 다른 코인에 비해 장점이 없어지고, 스팀의 가치는 없어진다고 봅니다. ## 보상 시스템 이게 중요합니다. 스팀의 보상 시스템을 보시죠. `업보트`, 즉 보팅이라는 행위는 본 글/댓글의 보상을 올리는 행위이기도 하지만, 다른 글/댓글의 보상을 일부 줄이는 행위입니다. 이건 알고 보팅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 ## 결론 저의 의견의 결론입니다. 최종결론은 아니고, 다른 분들의 의견을 듣고 바꿀 수도 있습니다. - 글이든 댓글이든 저는 구분짓지 않을겁니다. - 셀프보팅이든 남의보팅이든 구분짓지도 않을겁니다. - 스팀은 다른 코인과는 달리, 양질의 글이 모여있는 곳이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스팀의 리워드 시스템을 보면, 보팅이란, 그 글의 보상을 높이는 동시에 다른 글들의 보상을 깎는 행위입니다. - 따라서, 글/댓글이 일정 퀄리티 이상일 때 보팅하는 것은 허용하고, 일정 퀄리티 이하일 때 보팅하는 것은 남용으로 규정합니다. - 단, 여기서도 일정 퀄리티란, 딱 떨어지는게 아니어서, 대중의 합의가 필요합니다. --- ## 3줄요약 - 스팀은 양질의 글이 모여있는 곳이기 때문에 다른 코인과 구분되는 가치가 있다고 생각. - 보팅이란, 그 글의 보상을 높이는 동시에 다른 글들의 보상을 깎는 행위. - 따라서, 글/댓글이 일정 퀄리티 이상일 때 보팅하는 것은 허용하고, 일정 퀄리티 이하일 때 보팅하는 것은 남용으로 규정. 스팀 한지 얼마 안되는 뉴비가 써서 잘 모르고 쓴 부분도 있을겁니다. 댓글로 많은 의견 주시면 감사히 보겠습니다. --- <center> [](https://steemit.com/@nand/) 구독하시려면 위 마크를 눌러서 Follow 부탁드려요. 지금까지 @nand 였습니다. </center> <sub>아이디 마크는 @inhigh님 작품에서 발췌한 것입니다.</sub>
👍 nand, lee5, oldstone, soosoo, gaybeeoh, soyo, yguhan, completelyanon, rok-sivante, robrigo, biophil, ozymandias, ojaber, beoped, heidi-dream, korairpower, wonnieyoon, get-cheaper, susueng, hunhani, mastertri, hwantag, snow-airline, muyoung, sonzweil, jeongmincha, fur2002ks, kimsungmin, pliton, ugly, ukk, nhj12311, clayop, lighthil, yusrizal08, morning, writer1, kimhyeran, yoon, kkw, sanghkaang, wony, hunchoi, haerang2, shiho, woosungchoi, sompitonov, cljg918, marginshort, naver, shohagahmed, sjchoi, api.log, leemikyung, ksc, genemk, gyeryak, yoons, neogia, beulahlandeu, cheonillh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