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의 고래. 무엇을 해야 하고 할 수 있을까
kr·@noctisk·
0.000 HBD스팀의 고래. 무엇을 해야 하고 할 수 있을까
<center></center> >Designed By @CarrotCake 요 근래 고래와 새우에 대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저도 임대받은 SP덕분에 실제 SP는 정어리 정도에 불과하지만 어찌 어찌 고래 껍데기를 뒤집어 쓰고 활동하는 정도가 되었습니다. 처음 의도한대로 #kr-game, #kr-economy, #kr-politics, #kr-history등에 많은 양은 아니지만 꾸준한 큐레이팅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누군가 저를 발견해 주셨던 것 처럼, 저 또한 근현대사계의 거장 기자 @sanha88님, 게임과 인문학을 결합한 독특한 콘텐츠를 만들어 주시는 @devpark님, 드라마를 통한 일본어 학습이라는 독특한 콘텐츠를 제공해주신 @ladyuhyun님, 경제에 대해 또 다른 소개 글을 제공해 주시는 @rothbardianism 님과 같은 다양한 작가 분들을 ~~채굴~~발굴하는 중입니다. @arama님, @bramd님, @clayop님, 그리고 포스팅을 통해 소개해주신 @granturismo님을 비롯하여 수많은 보팅과 댓글을 남겨주신 스티미언님들이 없었다면 저는 이렇게 글을 쓰고 있지도,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도 못했을 것입니다. 일전 힘들어서 남긴 글에, @bramd님을 비롯해 여러분들의 따스한 댓글이 달린 것을 보고 저는 눈물을 흘리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전, 작은 힘이지만 무엇을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또 행하는 중입니다. 사실 임대든 vote(큐레이션)이든, 결과적으로 SP 이자나 큐레이션 보상 등에서 스스로가 이익을 얻는 행위입니다. 이타적인 행동이 이기적인 결과를 낳는 셈이지요. 이 제도가 있기에 저는 굳이 스티미언 모두가 '노블리스 오블리주'라는 것을 실행하지는 않아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 큐레이션을 자신과 자신 주변의 풀만으로 한정한다면 자칫 생태계의 선순환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비단 #kr 커뮤니티 뿐만이 아니라 이는 steemit 생태계 전체의 큰 약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큐레이션은 누구나 쉽게 할 수 있고, 쉽게 거들 수 있으며, 잘 할 수 있는 일입니다. 그리고 타인의 포스팅에 대한 자신의 보팅은 궁극적으로 팃-포-탯을 추구하는 인간의 정서 상, 자신의 몫으로 돌아옵니다. 저는 담합 보팅을 좋아하는 편이 아닙니다만, 그런 보팅 풀이 점점 커져 자신과 자신 지인으로 구성된 좁은 그룹이 아니라 전체 #kr 커뮤니티에서 보팅이 발생한다면 그것은 커뮤니티 전체의 파이를 키우는 행위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요 며칠, 저는 #kr 카피캣들과 블로그 매각 광고, 그리고 주로 외국인 #kr 어뷰저들에 대한 명성 공격을 시행했습니다. 높은 명성의 사람이 다운보팅을 하면 명성이 크게 내려가고, 마이너스로 시작하는 명성의 경우 어느 정도 보팅을 받지 않으면 글 자체가 숨겨지기 때문입니다. 그런 글이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 역시 #kr에 기여하는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플래깅은 큐레이션 보상을 주지 못합니다. 제게 직접적으로 도움이 안되는 일입니다. 초기에 현상금까지 걸어가며 했던 이 프로젝트는 실제 #kr 커뮤니티 정화에 영향을 주었고, 이제 이 플래깅은 @asbear님의 도움으로 이 기능은 @krguidedog에 정식으로 탑재되게 되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가이드독이 수십번 찾아가는 것 보다 플래깅을 한두번 꽂아넣는 것이 훨씬 더 큰 제재효과를 보였다는 것입니다. 덕분에 많은 어뷰저들이 떨어져나가고 #kr 커뮤니티 오용이 줄어드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이런 행동은 당장 보상을 받지는 못하더라도, 장기적으로 커뮤니티가 더 크게 성장하고 더 견실하게 성장하는 방법이라 생각했기 때문에 큐레이션 만큼, 아니 요 며칠은 그 이상의 VP를 소모해서 외국 스패머들을 척살했습니다. 일전에 @woo7739님께서 글 말미에 "고래는 뭘 할 수 있나요? 무지개를 만들 수 있삼"이라고 쓰신 바 있습니다. 맞습니다.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 '[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D%8C%8C%EC%9D%B4%EB%8D%94%EB%A7%A8)'고 생각할 수도 있고, '[큰 힘에는 큰 무책임이 따른다](https://ko.wikipedia.org/wiki/%EB%8D%B0%EB%93%9C%ED%92%80)'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둘 다 맞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어떤 방법으로든 생태계가 커질 수록, 그리고 생태계가 깨끗해 질 수록, 고래도, 정어리도, 피라미도, 플랑크톤도 모두 같이 맛있게 밥을 나눠 먹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당장 무언가 후원 프로젝트를 만들지 않아도 좋습니다. 거창한 모금을 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고래든, 고래가 아니든, 무엇이든 좋습니다. 자신의 이기심을 한번 드러내 보세요. 남들이 다 보고 있는 곳에서, 제한된 이기심은 결국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에서 말한 경제 발전을 가져옵니다. 또한, 케인즈가 "자본주의는 인간의 가장 악한 특성이 모두의 최대 이익을 위해 가장 악한 일을 하리라는 놀라운 믿음이다"고 말한 것 처럼 모두의 이익을 만들기도 합니다. 타인과의 교류, 모든 것이 투명한 블락체인, 그리고 정확히 표시되는 보상. 이것이 스팀잇의 매력입니다. 스팀잇이라는 이 작은 연못이, 더 큰 강이 되고 바다가 되어 흐르도록 만드는 것은 우리 개개인의 몫이자, 우리가 이익을 내기 위해 타인과 교류하며 만들어 나가야 할 목표일 것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minpark, konan, feathermoon-ktw, koreaico, jsj1215, comsamo, hackerzizon, banjjakism, aiyren, yohan72, afinesword, frig, templer23, snooky, jhparksy, tmkor, jinh0729, uksama, pennyroyaltea, gfriend96, carrotcake, hwan100, enturia, arama, oming2, lorospax, chartdoc, soyou.park, cham, cross23, kyjung9705, anabolic, hhm, index765, ohnamu, trueonot, judyberg, beatj, prototypedevelop, kimthewriter, hjm, v2ex3, yhoh, perspector, yjs3694, sakra, lorem, candle, kuchenheim, knulps, zzings, seungjae1012, pius.pius, dreamyacorn, asbear, krguidedog, happyberrysboy, joeuhw, dayoung, extrashin, julianpark, larrabee, new7start, crystalpalace, slenter, subijung01, agawolf, bramd, soyo, beoped, hingomaster, isi3, teoit, lostmine27, hht, abp, streetsmart17, nhj12311, deuksoo84, jaytop, greene0, yann03, kimmokha, hoflf, kiwifi, blue0110, cienlux, kuri12, exhibi98, nuhorizon, smartbear, lgs8235, cyan91, room9, seoinseock, lanaboe, spaceyguy, zrow, cmelody, peanutbutter, dhrkdcjf12, zet, huarin, drac59, wangim87, lzet9, twinbraid, rkmrkm99, girina79, timaster, project7, blake.heo, stickjunghyun, kjs105, newkgp, winez9, jaybirds, yunji, saypa, tip2yo, nomader, hangeul, kehoef, etsz, redsung, joceo00, vanillaromance, relaxkim, sampling, etainclub, laymanstory, wabangcute, dundin, steamsteem, thesunatnight, woojumbs, silverears, heonbros, capt.shlee, moosung8807, gidung, dakfn, rantertx, shinepd, granzon, dryoo, kimkwanghwa, chaelim.ryu, gin1231, koreabusinessnew, lighthil, dikasterion, rothbardianism, qrwerq, polonius79, longtimenosee, solnamu, elecpole, armdown, supermania1, junghwan.kim, supergi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