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개발자들의 아이디어를 실체화 하는 동력 - 스팀파워 델리게이션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project7·
0.000 HBD
스팀 개발자들의 아이디어를 실체화 하는 동력 - 스팀파워 델리게이션
안녕하세요,

얼마 전 ["8백만 유저를 공략하기 위한 스팀헌트의 스팀파워 델리게이션 프로그램"](https://steemit.com/kr/@project7/8) 글을 통해 [스팀헌트](https://steemhunt.com/)의 스폰서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했었죠. 다행히 KR  커뮤니티 분들의 큰 도움 덕택에 2주도 안되는 짧은 시간에 약 25,000 스팀 파워를 모집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스팀헌트에서 풀 보팅을 하면 글 보상이 7불 이상 넘어갑니다.

이 자리를 통해 @steemhunt에 소중한 SP를 델리게이션 해 주신 분들, 저 글의 영문버전 글이 비드봇에 도배된 글들과 싸워서 trending에 잘 노출될 수 있도록 업보팅과 댓글로 후원해 주신 분들, 그리고 그 외에도 업보팅, 댓글로 많은 응원을 보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 말씀 드립니다.

저희가 이렇게 스파를 델리게이션 받아서 앱을 운영해 보니 이 스팀파워라는 존재가 스팀 토큰 이코노미에서 얼마나 큰 역할을 하고 있는지 크게 느끼는 바가 있어, 오늘 글에서는 스팀파워 델리게이션이 어떻게 스팀 생태계 파이를 키워나가고 있는지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sp-dele-image.jpg](https://steemitimages.com/DQmTKsdiM2QTefRWoBaBWU3YvPsUKAYscRiwQ5K8Z32ferq/sp-dele-image.jpg)
*(photo from [Unsplash](https://unsplash.com/photos/DrUguS1oBGU))*
## 1_ 스팀파워 델리게이션이란?
본문에 앞서 우선 스팀파워를 델리게이션 한다는 것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먼저 짚어보겠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스팀파워는 스팀 커뮤니티 내에서 본인의 보팅 파워를 결정하는 직접적인 토큰입니다. 본인의 스파가 많을 수록 보팅할때 저자 보상 금액이 (복잡한 로직으로) 비례해서 높아지죠.

이 스팀파워는 내가 100%를 모두 가지고 있을수도, 또는 다른 누군가에게 쪼개어 빌려줄 수도 있습니다. 임대해준 스파는 마치 빌려준 돈을 돌려받듯이 본인이 자유롭게 회수가 가능하며, 빌려준 돈을 떼어먹힐 염려가 전혀 없이 내가 임대해준 스파를 고스란히 100% 회수 가능한 시스템 입니다.

## 2_ 생태계 내에 투자 활동을 극도로 손쉽게 만드는 마법같은 툴
현실 세계에서 내가 좋아하는 스타트업이 있습니다. 이 스타트업이 꼭 잘되서 지금같이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인의 입장에서 엔젤 투자를 하고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마어마하게 복잡한 프로세스가 필요하죠. 해당 스타트업의 투자 정합도 분석은 물론, 투자 계약서 작성, 지분 설정 등등 한 개인이 진행하기에는 까다롭고 어려운 절차들을 거쳐야 합니다. 또한, 가장 중요한건 내가 투자한 돈은 해당 스타트업이 망했을때 땡전 한푼 회수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반면, 스팀 생태계 내에서 내가 좋아하는 특정 스팀 기반 서비스에 투자를 하고 싶다면 스팀파워를 통해 버튼 한번 클릭으로, 몇초만에 투자행위를 할 수 있으며 복잡한 계약서나 지분관계 등이 전혀 필요 없습니다. 또한, 가장 중요한건 이 투자한 스팀파워는 100% 고스란히 내가 원할때 회수가 가능하다는 점이죠. 스팀 자체가 망하지 않는 한 나는 위험을 전혀 지지 않고 해당 서비스에 투자활동이 가능합니다. 물론 위의 스타트업의 예시에서는 해당 스타트업이 큰 규모로 엑싯하거나 IPO를 하면 내가 투자한 돈이 수십배가 되어 돌아올 수 있겠죠 (~~거의 로또 당첨만큼이나 어려운 확률일 순 있겠지만요~~). 이 부분 역시 내가 지원하는 스팀 기반 서비스들이 잘되서 스팀 생태계 파이가 커지게 되면 스팀 가격 자체가 상승하기 때문에 비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즉, 이 스팀파워 델리게이션 시스템은 스팀 생태계 내에 고래부터 플랑크톤까지 내가 스파를 1이라도 갖고 있으면 누구나 투자활동에 참여 가능하게 만드는, 토큰 이코노미 역사상 유래가 없던 마법같은 툴인 것입니다.

## 3_ 스팀 개발자들의 아이디어를 실체화 하는 동력
스팀 생태계에는 "컨텐츠"를 기반으로 탈중앙화 서비스를 실험해 보고 싶은 수 많은 개발자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 서비스들을 하나하나 언급하는건 이 지면이 부족할 정도로 많으니 생략하겠습니다. **이 수 많은 개발자들의 시도가 단순한 "실험"에서 끝나지 않고 실제로 "비즈니스"레벨까지 확장 가능하도록 만드는 강력한 동력이 바로 이 스팀파워 델리게이션 시스템 입니다.**

@utopian-io를 예로 들어보죠. 
![Screenshot 2018-04-29 20.33.04.png](https://steemitimages.com/DQmPhDGr6sAha8W8oTRp839FLUyq3aS7TNASMdBa6YEucv1/Screenshot%202018-04-29%2020.33.04.png)

유토피안은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현금 보상을 목표로 만들어진 커뮤니티 입니다. 총 105명에게서 무려 360만 스파를 델리게이션 받았죠 (물론 이 중 56%가 넘는 203만의 스파는 스팀잇에서 운영하는 @misterdelegation과 @ned에서 받은 겁니다). 이런 어마어마한 임대 스파가 존재하기 때문에 유토피안에서는 위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보팅 풀을 가지고 오픈소스 활동에 빵빵한 보팅이 가능해 진거죠. 이런 스파 임대 시스템이 없었다면 유토피안은 목표를 달성할 만큼의 현금 보상을 위해 (개발자들의) 개인 돈을 스파에 쏟아 부어야 하고, 이게 불가능 하다면 유토피안에 아무도 글을 안올리겠죠. 즉, 이 모든걸 가능하게 만든게 저 어마어마한 임대 스파인 것입니다.

엄연히 투자활동이기 때문에 본인의 소중한 SP를 임대해준 사람들은 소정의 리워드를 받습니다. 유토피안은 저자보상의 20%를 뚝 떼어서 저 스파 임대자들에게 비율별로 지급하고 있죠. 그런데 사실 이건 스팀 자체의 투자 수익 관점에서는 크게 이득이 되는 투자활동은 아닙니다. 유토피안은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저 어마어마한 보팅풀의 56%의 스파 임대자는 (네드와 미스터델리게이션) 리워드를 안 받는 계정이기 때문에 다른 스파 임대자들이 더 이득을 보는 스폰서 프로그램 입니다. 이런 유토피안일지라도 현재 가장 높은 스파를 5개월 이상 임대중인 @freedom의 투자 수익률은  연으로 환산시 약 3.2% 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이렇게 활발하게 투자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이유는, 직접적인 투자수익 추구 보다는 유토피안과 같이 **외부에서 스팀 생태계로 유저 풀을 늘릴 포텐셜이 높은 서비스들을 서포트** 함으로써 본인이 홀드하고 있는 스팀 가치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4_ 스팀잇 외부에서 유저를 끌어오는게 왜 중요한가?
스팀은 컨텐츠 저작자와 큐레이터들의 보상 거래 (Reward Transactions)를 목적으로 탄생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입니다. 이 부분은 제가 이전에 올린 ["스팀 블록체인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생각"](https://steemit.com/kr/@project7/5law2k)에서 아래와 같이 설명했었죠.
> 스팀 블록체인이 대체하고자 하는 영역은 컨텐츠가 유통되는 영역 모두입니다. 블로그, 소셜미디어, 오픈소스, 저널리즘 등 매우 광범위한 영역이죠. 그들의 수익모델은 대부분 광고를 기반으로 하고 있고, 이 광고 수익의 거의 모두를 구글, 페이스북 등 플랫폼 사업자가 독식하고 있는 영역이기도 합니다. ... (중략) ... 스팀은 이런 컨텐츠에 대한 사람들의 니즈를 컨텐츠의 “노출”에서 컨텐츠 이해관계자들의 “보상"으로 성공적으로 이전시킨 최초의 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스팀은 바로 컨텐츠에 엮인 사람들을 Incentivize하기 위한 탈중앙형 애플리케이션을 누구나 만들 수 있고, 이를 지지하는 광범위한 커뮤니티 구축에 성공한 최초의 블록체인 플랫폼이란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이런 목표로 스팀잇 (블로그), 유토피안 (오픈소스), 디튜브 (영상), 디라이브 (라이브영상), 스팁샷 (사진) 등이 스팀 블록체인 위에서 현존하는 거대 컨텐츠 플랫폼을 대체하기 위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런 서비스들이 페이스북, 유투브 등과 같은 거대 플랫폼들에서 얼만큼이나 유저들을 끌어올 수 있느냐가 미래 스팀의 가치에 큰 기여를 할 수 있겠죠.

## 5_ 투더 문만 외치는 코인 VS 토큰 이코노미에 직접 기여가 가능한 코인
예를들어 아무개코인 100개를 가진 홍길동이 있습니다. 이 홍길동은 전 재산을 아무개코인 박아놨기 때문에 비코 가격이 계속 상승해 주길 매일같이 기도하고 있습니다. 이 홍길동이 아무개코인 가격 상승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요?
1. 주변 지인들에게 아무개코인의 우월함을 설파하고 다닌다.
2. 아무개코인의 (찌라시스러운) 소식들을 뿌려댄다.
3. 코인판에 24시간 상주하면서 댓글마다 아무개코인을 홍보한다.
4. 아무개코인의 마이닝풀이 된다.
5. (또는) 아무개코인의 마스터노드가 된다.
...

현존하는 대부분의 코인들은 코인 홀더가 해당 코인 가격 상승을 위해 기여할만한 방법이 별로 없습니다. 그저 누구랑 MOU를 체결했네, 어디에 상장했네, 트위터에 영향력 있는 누군가가 언급했다네... 등등 "특정 소식"에 의해 토큰 가격이 펌핑되는 것만 기다리는 투더문만 외치는 코인들이죠.

반면, 스팀에서는 스팀 파워를 다양한 스팀 기반 서비스들에 투자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토큰 이코노미에 직접 기여가 가능한 거의 유일한 코인입니다. 내가 1,000스파를 뚝 떼어 유토피안에 임대를 해 주고 있으면, 나는 그만큼 유토피안 플랫폼의 매력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이고, 유토피안이 외부의 오픈소스 개발자들을 스팀 생태계로 끌어오는 활동에 그 만큼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이죠.

...

<br>
지금까지 스팀파워 델리게이션이 왜 스팀을 위대하게 만들어 주는지에 대해 제 개인적인 의견을 공유해 봤습니다. 모두들 짐작하셨듯이, 여기 부터는 제가 운영하는 "스팀헌트"에 대한 간접 광고를 살짜쿵 시전할 예정이오니 광고에 알러지가 있으신 분들은 여기서 글을 닫아주시기 바랍니다.

<hr>
<br>

## 스팀헌트란?
스팀헌트는 새롭고 멋진 제품들에 열광하는 얼리어답터들이 헌팅해 온 제품들이 스팀 블록체인 위에서 매일매일 순위 경쟁을 벌이는 랭킹 큐레이션 커뮤니티 입니다. 제가 디자인을, @tabris군이 개발을 도맡아 2018년 3월 5일에 런칭했습니다. 자세한 소개는 @tabris군의 [글거리를 찾아 헤메고 있으시다면 - 스팀헌트로 오세요!](https://steemit.com/kr/@tabris/5fkgor)을 참고해 주세요.

https://steemitimages.com/0x0/https://steemitimages.com/DQmeE3WUX43M5bPq9idga1gWZdqKV1EwEzSALKSZ7Rx7ikZ/steemhunt-dg2.png
Steemhunt - https://steemhunt.com/

## 스팀헌트는 타 서비스들 대비 훨씬 "현실적"인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Dtube나 DLive는 Youtube를 대체하기 위해, Steepshot은 인스타그램을 대체하기 위한 목표를 위해 태어났죠. 물론 가능성이 없는건 아니지만 지금으로써는 거의 고래와 새우 수준의 경쟁입니다. 반면, 스팀헌트는 본 서비스의 모태가 되는 [프로덕헌트](https://www.producthunt.com/)를 대체하기 위해 태어난 서비스 입니다. 이 역시 쉬운일은 아니겠으나, **현재 헌터들의 총 일일 글보상이 $500 스달이 넘어가는 시점에서 충분히 시도 가능한 목표입니다. 벌써 어제 스팀헌트의 일일 글보상은 $143.89을 기록했죠.**
![Screenshot 2018-04-29 21.50.52.png](https://steemitimages.com/DQmS7UoHQBXXBoupNMAQVJxYWrcoSmmVh4NKmN7j6zZ3gDj/Screenshot%202018-04-29%2021.50.52.png)

프로덕헌트는 MAU가 8백만이상 (ref - [SimilarWeb](https://www.similarweb.com/website/producthunt.com#overview)), 테크 스타트업들이 제품 출시할때 꼭 한번씩 거쳐가는 상징성 높은 커뮤니티 입니다. 이런 커뮤니티를 스팀헌트가 성공적으로 경쟁하게 된다면, 여기서 방대한 숫자의 얼리어답터 들을 스팀 생태계로 끌어오는게 가능해 집니다. (~~스팀 가즈아!!~~)

https://steemitimages.com/0x0/https://steemitimages.com/DQmZmcWyUKeFpkKQbqQLWQ6wKKBajmtNp8HWSQ193eXN8G7/steemhunt-dg4.jpg

## 스팀헌트의 스폰서가 되어주세요
스팀헌트는 저자보상의 5%를 리워드로 제공하는 스폰서 프로그램을 운영중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사실 투자관점에서는 전혀 의미있는 수익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렇게 모인 스파가 프로덕헌트라는 거대 서비스와 경쟁이 가능하게 만들어 준다는 큰 의의를 지니고 있습니다. 

본인의 스팀파워를 델리게이션 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피싱 그런거 아니니 걱정하지 마세요^^;;) 스팀커넥트를 통해 간단하게 스파를 @steemhunt로 델리게이션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모인 스폰서 분들에게 @steemhunt.pay 계정을 통해 매주 리워드 제공 공지를 해 드릴 예정입니다.

<center><h3> [100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steemhunt&vesting_shares=100%20SP) | [200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steemhunt&vesting_shares=200%20SP) | [300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steemhunt&vesting_shares=300%20SP) | [500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steemhunt&vesting_shares=500%20SP)
[1000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steemhunt&vesting_shares=1000%20SP) | [5000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steemhunt&vesting_shares=5000%20SP) | [10000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steemhunt&vesting_shares=10000%20SP)
[15000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steemhunt&vesting_shares=15000%20SP) | [20000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steemhunt&vesting_shares=20000%20SP)
[100000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steemhunt&vesting_shares=100000%20SP) </h3></center>

또는 아래 주소에서 '1000' -> 이 파라메터를 다른 숫자로 변경하셔서 주소창에 입력하시면 원하시는 숫자로 스파를 델리게이션 하실 수 있습니다.
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steemhunt&vesting_shares=1000%20SP

스팀헌트가 영문 서비스이긴 해도 저희 사이트 들어와 보시면 알겠지만, 영어가 딸리는 타국의 유저들도 제법 적극적으로 제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혹 영어 울렁증이 있으신 분들이라도 간단한 영어로 간단히 포스팅 하시거나 댓글로 저희 커뮤니티에 쉽게 참여하실 수 있으니, 아무쪼록 KR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br>
<hr>

<center>

<a href="https://steemhunt.com">
<img src="https://steemitimages.com/DQmfQyH8w7b7BL6EWzUiZXfoSBbop5uc6RPtyVp79fzQTSp/st-logo-with-circle.png"/>
</a>

## Steemhunt
A place where you can dig products and earn STEEM.
[Steemhunt.com](https://steemhunt.com)

*Join our [Telegram](https://t.me/joinchat/AzcqGxCV1FZ8lJHVgHOgGQ) or [Discord](https://discord.gg/mWXpgks) channel for feedback & questions.*
</cente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