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스팀 = 스팀잇"으로만 보면 KR 커뮤니티의 발전은 어렵다. by polonius79
Viewing a response to: @polonius79/re-project7-kr-20180223t191246347z
kr·@project7·
0.000 HBD안녕하세요, SMT를 간단하게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SMT는 새로운 코인을 발행할때 본인들이 직접 블록체인을 구현할 필요 없이 스팀 블록체인에서 돌아가면서 코인만 독자적으로 발행 가능하도록 해주는 플랫폼입니다. - 예를들어 제가 project7 이라는 코인을 SMT로 발행하면, 스팀과 교환비율을 정해서 코인을 발행할수 있고요, 해당 코인의 running은 스팀 블록체인상에서 돌아가는거죠. - 현존하는 스팀관련 앱들은 아직 SMT가 런칭한게 아니기 때문에 현재는 스팀잇을 컨텐츠 허브로 놓고 데이터를 싱크해서 클라이언트 뷰만 독자적으로 가져가는 형태입니다. 즉, 스팀잇의 껍데기가 서로 다른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 이들 중 SMT로 넘어갈 앱들이 당연히 많이 있겠죠. 예를들어 스팀잇을 기반으로 하려면 Author - Curator (Voter) 구조가 어울리지 않는 맛집관련 서비스, 게임서비스 등은 SMT로 독자적인 코인을 발행해서 클라이언트를 원하는대로 자유롭게 구현하고 여기에 보상코인으로 본인이 발행한 코인을 붙일수가 있죠. 다만 해당 코인의 가치가 별로 없다면 보상이 미미해질수 있는 단점이 생기죠. - SMT로 넘어가지 않고 현재 스팀잇 기반으로 앱을 운영하게 되면 참여자들도 스팀을 보상으로 받게 되니 안정적일순 있으나 위의 예시처럼 스팀잇의 포맷이 어울리지 않는 서비스를 억지로 끼워 맞춰야 한다는 단점이 있겠고요. 음.. 간단하게 요약해본다고 했는데 모르겠네요.. ㅎㅎㅎ
👍 mechuri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