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환율전쟁과 중국의 대응(2)
kr·@pys·
0.000 HBD美中환율전쟁과 중국의 대응(2)
 - ## 신흥국자본의 유출증가 신흥시장에서는 이미 지난 5월 190억 달러, 6월 358억 달러(432조원)가 빠져나간다. 이는 美中무역 갈등이 확대되기 이전의 일로 일각에서는 자본유출은 앞으로 더 악화될 것이며 미국을 제외한 지역의 성장은 계속 약화되고 있으며 특 히 신흥국은 무역마찰이 해소될 때까지 실적이 저조할 것으로 본다. 게다가 신흥국통화 약세는 관련국 중앙은행들의 운신의 폭을 좁힐 가능성이 상존한다. 이유는 세계경기 둔화에 대응해 금리를 낮추려할 경우 통화가 추가약세를 보 이면서 해외자본 유출을 가속화시킬 수 있어서다. 韓금융사들은 국내총생산(GDP)의 19%에 달하는 3,500억 달러(420조원) 규모의 달러부채를 안고 있으며 이에 한국은 자본이탈에 대한 두려움과 힘겨루기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 ## 안전자산으로 대이동 주식 등 위험자산시장의 흔들림과는 달리 안전자산인 美국채와 금과 은, 日엔화와 스위스 프랑 등에는 뭉칫돈이 몰려든다. 지난 8월 초반 對中추가관세 부과 당일 뉴욕 채권시장에서 벤치마크인 10년 물 美국채 금리는 하락하여 2016년 11월 이후로 최저로 떨어진다(연 1.7%내외 수준). 이미 스위스와 독일의 국 채는 만기에 상관없이 모든 채권이 마이너스(−) 금리에 진입한 상태이다. 참고로 마이너스 금리로 거래되는 채권의 Global 규모는 15조 달러(1경 8천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는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안전자산으로 돈이 몰린 탓으로 분석한다. 아울러 대표적 안전자산인 시카고상품거래소 에서 거래되는 12월 물 금값은 온스 당(當) 1,500달러 선(線)에 근접한다. 그리고 온스當 은(銀) 현물가격과 달러당 日엔화와 스위스 프랑도 상승한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가상화폐도 美中무역전쟁에서 한발 비켜나있는 만큼 안전자산으로 취급되면서 비트코인 값도 치솟아 다시 12,000달러線에 근접한다. - ## 中인민은행의 증권발행 美中무역전쟁이 결국 환율부문으로까지 확산함에 따라 中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중앙은행증권(Bill)을 발행해 홍콩시장의 위안화 관련 유동성을 흡수해 위안화절상을 유도하는 동시에 기준이 되는 환율고시를 통해 시장의 흐름을 역행하지 않는 선에서 위안화를 절하고시하는 등 재차 환율안정 의지를 보인 다. 이는 중국이 홍콩시장에서 위안화채권의 수익률곡선을 개선하고 역외시장에서 나타날 지나친 투기행위를 막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부연(敷衍)하면 中인민은행은 작년 11월과 올해 2월, 5월 등 3차례에 걸쳐 각각 200억 위안(3.4조원) 규모로 발행하고 올해 6월에도 300억 위안 규모의 위안화 중앙은행증권 을 발행한바 있으며 최근 홍콩에서 추가로 300억 위안(5.15조원) 규모의 환율안정 채권인 위안화 중앙은행증권을 발행한다. 이는 3개월 기한이 200억 위안 규모, 1년 기한이 100억 위안 규모이다. 참고로 중앙은행증권(Bill)은 인민은행이 발행하는 일종의 단기성 채권으로서 시중유동성을 흡수하는 장치다. - ## 환율전문가 의견 중국의 인민은행이 美달러 대비 위안화가치가 7위안선(線) 아래로 떨어지는 포치(破七)를 사실상 용인하지만 위안화가 급격히 절하되도록 내버려 두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이유는 평가절하와 자본유 출의 악순환으로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럼에 따라 일각에서는 개발도상국가 위상의 중국에 장기적인 위안화가치 절하는 매우 큰 위험을 초래하고 중국에서의 자금유출 등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에 중국은 위안화환율을 무역전쟁 보복카드로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관측한다. - - - -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제하의 Posting은 여기까지 입니다.** 
👍 pys, accelerator, bert0, katsudon, fainted, centralization, zkp, eurobike, krwhales, deepinside, flit, map10k, mapxv, kr-plagiarist, noreference, qyanomou, youngson, jaylee.dev, stylegold, laissez-faire, ez2bt, tmkor, imnb, krgamer, lucky2015, arama, oldstone, kimminyoung, ldh1109, slowwalker, jaytop, jonghun98, yjs3694, jjy, done.mod, codingman, sanaee, djusti, yungonkim, bystyx, dj-on-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