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주식) 기본적 분석의 구체적 내용(성장성, 안정성, 수익성, 고평가 분석)과 투자전략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pys·
0.000 HBD
코인(주식) 기본적 분석의 구체적 내용(성장성, 안정성, 수익성, 고평가 분석)과 투자전략
![](https://steemitimages.com/DQmaexhrUp7eAaspG4FT9U1AdTeMxWn42ZU73TPb6y3qMBJ/image.png)
![](https://steemitimages.com/DQmYuakojPk4nHbuRkj58FXthqLKu5uj64BZH2xKtgpYKdQ/image.png)
# 기본적 분석의 구체적 내용(성장성, 안정성, 수익성, 고평가 분석)과 투자전략

세상의 모든 일은 원인과 결과가 있으며 주식시장의 주가도 상승과 하락은 **반드시 이유**가 있습니다. 시장의 역사는 반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과거 사례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비록 제한적인 효과에 불과하지만 기술적 분석을 합니다. 즉 주식시장의 과거 역사는 **기술적 분석의 기초**가 됩니다. 

코인시장은 유형이라기보다는 **무형자산의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주식시장과는 달리 기본적 분석이 쉽지 않습니다.

블록체인이라는 공공의 장부에 의해 익명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다 보니 특히 가상화폐의 종류가 수백 개에 달하는 현실에서는 공통의 내용 즉 가상화폐의 **가격을 움직이는 본질**이 무엇인지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주식시장의 기본적 분석 내용 중에서 가장 근본적인 것 즉 **기업의 성장성, 안정성, 수익성  그리고  저(고)평가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바 실전매매에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기본적 분석에 관한 이전 글( https://steemit.com/kr/@pys/1) 을 참조하시면 조금 더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 1. 기업의 성장성 
기업의 성장성은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증가여부로 판단하는데 특히 절대금액의 증가도 중요하지만 **영업이익률**이 얼마나 되느냐가 더욱 중요합니다.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이 얼마인가도 중요하지만 주식시장에서는 **영업이익**을 더 중요하게 간주합니다. 매출액증가율과 영업이익률이 **전 분기나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 얼마나 늘었느냐에 따라 기업의 성장성을 판단합니다. 

무엇보다도 우선하는 것은 과거 실적보다는 **미래에 실적이 더 좋아지느냐의 여부**에 따라 기업의 주가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분기, 반기, 1년 후 **실적 전망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향후 실적이 지속적으로 좋아지는 종목의 투자는 **매매타이밍**이 매우 중요합니다. 성장이 지속하더라도 주가는 **등락을 거듭하며** 우상향으로 상승합니다. 

즉 기업의 성장성은 충분하더라도 주가가 너무 빠르게 상승하였을 경우 주가는 **항상 조정을 준다**는 것입니다. **추격매수**는 자제해야 하며 조정을 줄 경우 **저점매수전략**을 구사해야 합니다.  

## 2. 기업의 안정성 
기업의 안정성은 **유보율과  부채비율**로 판단하는데 전자는 잉여금에 대한 납입자본금의 비율을 말하며 후자는 총부채를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로 계산합니다.

기업의 유동부채보다 유동자산이 **적은 종목은 주의**해야 합니다. 부채비율은 100%미만인 경우를 통상적으로 양호하다고 보고 있지만 **업종별로는 차이**가 있습니다. 

유동자산에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 과 재고자산이 대표적으로 포함됩니다. 특히 **영업활동을 위한 현금흐름**이 어떠하냐가 중요합니다. 증권업종은 **고객예탁금**이 부채로 잡힙니다.

## 3. 기업의 수익성 
기업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중요지표이며, ROE(자기자본이익률)는 당기순이익에  대한  평균자기자본의 비율이며  이는 **높을수록** 좋으며 이는 기업의 이익창출능력의 지표입니다. 

특히 매출액 중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  즉  영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영업이익률**을 중시한다.
![](https://steemitimages.com/DQmcGrwW9sPHFFviVARswXQRsuCmj2yxwWkVs7n2xWPLsWv/image.png)
## 4. 고(저)평가 분석
PER(주가수익비율)는 주가에 대한 주당순이익의 비율이며 PBR(주당순자산비율)은 주가에 대한 주당 순자산의 비율입니다. 후자는 기업의 **청산가치**와 관련한 비율이다. 

이 두 비율은 **낮을수록** 향후 기업의 주가가 **상승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현재의 주가는 **저평가**상태라는 것입니다. 또한 **동종업종의 평균**과  투자 종목의 비율을 비교하여 투자에 활용합니다. 

동종업종에서도  PER이 종목마다 다른 것은 **기술력의 차이** 등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과거 POSCO의 주가(70만원대)가 삼성전자(50만원대)보다 높을 때가 있었습니다. 

## 5. 시장이 조정할 경우의  투자전략 
단기 매매하시는 분들은 목표 가격과 손절 가격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주식시장이 조정을 하며 **변동성이 심할 때**는 속도조절이 필요하며 **PULL& PUSH 전략**이 바람직합니다. 

**동일업종내** 종목이라도 실적이 **차별화**됨을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업종중심으로  순환**하는 경우에 대비하는 지혜도 필요합니다. 

- - - - 

**성공투자하세요. 감사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