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권역 경제는 지금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pys·
0.000 HBD
유럽권역 경제는 지금
![](https://cdn.steemitimages.com/DQmYuX9eKZPANvAUgiC6xQyNZJD41cSbmzDYaN5FRYp1yUY/image.png)

차기 ECB(유럽중앙은행) 총재는 향후 경기침체가 도래할 경우 부양책 확보여부가 관건이다. 중부유럽의 임금상승은 산업경쟁력 저하를 초래한다. 한편 유로지역 경기둔화는 일본의 장기적인 불황기와 유사한 경로로 진행할 우려가 존재한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 ## 임금상승과 산업경쟁력
폴란드, 헝가리, 체코 등 중부유럽 국가들이 EU(유럽연합)에 본격적으로 가입한 해가 2004년이다. 이후 보다 높은 임금을 원하는 노동력의 해외이동이 꾸준히 증가한다. 한편 최근 유로 존의 경기회복 등으로 10년 만에 최고의 성장률을 나타낸 점과 고령화로 노동수요가 증가한다. 다만 체코를 제외한 중부유럽국가의 물가상승률은 중앙은행의 목표치를 하회한다. 

시장에선 여타 유로지역 국가와 비교하여 중부유럽 대부분이 구조적으로 제조업과 노동집약산업의 비중이 높아 임금상승이 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그 여파도 장기간 진행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한편 일부에선 임금상승 압력이 커질수록 유기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경제전망을 낙관한다. 그렇더라도 경기둔화 발생으로 산업경쟁력 약화는 불가피한 측면이 존재한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SjthgA9rb3RgFdTH4Y6GH4YQdzMsp19ExAYtR3utm3om/image.png)

- ## 불확실한 경기부양책
유로지역 경기하강을 이유로 ECB가 경기부양 조치에 나설 태세다. 현 ECB총재(드라기)는 경제적으로 불안한 EU를 통화정책 완화 등을 통해 유로존의 침체(沈滯)된 경기를 다소 회복시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유로 존 경제성장률이 둔화되고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시점에 임기를 마칠 전망이다. 

최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브렉시트(Brexit) 즉 영국의 유럽연합 이탈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과 무역관련 갈등(葛藤)확산 등을 이유로 올해 유로 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8%에서 1.0%로 하향조정한다. 유럽의회측은 ECB는 경기부양을 위해 다량의 채권매입 재개와 마이너스(−)금리 등의 부양책을 

구사(驅使)해야 하며 이는 향후 발생할 경기하강의 대응방식이 될 것으로 언급한다. 하지만 차기 ECB 총재가 기존의 통화정책을 완전히 바꾸긴 어려우며 이미 대부분의 통화정책을 시행한 터이라서 장기적인 경기침체에 대처할 수 있는 충분한 대응방안 확보여부가 불확실한 점을 시장에선 우려한다.

- ## 생산가능인구의 축소
유로 존은 이민유입이 계속 늘고 있지만 2009년 이후 생산가능인구가 축소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회원국별 경제구조 차이가 큰 유로 존은 역내 생산요소의 이동이 경직됨으로 인하여 단기간內 이를 해결하기는 기대난이다. 다만 물가상승률, 부채부문 등에선 과거와 현재 모두 유럽과 일본의 차이가 존재하므로 향후 다양한 변수를 통해 해당 추이를 검토할 필요는 존재한다. 

과거 日정부는 과도한 저축률로 물가상승 및 소비촉진을 위해 재정을 통한 경기부양책을 장기간 실시한다. 이는 정부부채 증가 등 경제적 非효율을 야기(惹起)하여 저성장으로 연결된다. 한편 일본은 고령화의 진행으로 인해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를 겪은바 있다. ING측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유로경제는 산출Gap, 물가상승률, 기준금리, 인구구조 등을 고려하면 과거 1980년대末 일본과 구조적으로 유사함을 지적한다. 

- - - -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