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모델 알아보기 4탄: 시장 창조형 그리고 지역 사회 확대형>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runorg·
0.000 HBD
<재정모델 알아보기 4탄: 시장 창조형 그리고 지역 사회 확대형>
스팀 커뮤니티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 마지막 두 개 모델을 소개하며 비영리 단체 재정 모델 종류 소개를 마무리할게요! 
*전에 소개했던 모델들이 궁금하시다면 저희 블로그를 방문해주세요~*

## #9 시장 창조형
 아홉 번째 재정 모델은 **시장 창조형**입니다. 이 부류는 이타적인 기부자와 시장을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공공 토지 신탁도 여기에 해당하는데, 서비스 비용을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더라도 영리 단체가 그 금액을 지급하는 것이 불법일 경우에 많이 생성됩니다. 시장 창조형 비영리 단체들은 대부분 의료 분야나 환경 보호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장기 기증 서비스가 이 부류에 해당합니다. 인간 장기에 대한 수요는 항상 있지만, 이를 판매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이 경우에 비영리 단체는 수수료 및 기부금으로 수익 대부분을 창출합니다. 미국 신장 펀드 (American Kidney Foundation)이라는 단체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이 단체는 1971년에 설립되어 현재까지 장기 이식이 필요한 저소득층 환자들에게 비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하여 운영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신장병 환자들을 위해 투석 비용을 보험사에서 치료 비용의 20%까지 지급해 줄 수 있었지만, 보험 회사 (영리 단체)에서 지정한 특정 병원에서만 투석을 받아야한다는 우려 때문에 1996년에 불법이 되었습니다. 이런 법안이 통과되자 수천 명의 신장 환자들이 치료를 받을 수 없게 되어, AKF에서 그 비용을 대신 지급해주는 프로그램을 시작하였습니다. 2016년 통계에 따르면, 미국에서 거의 50만 명의 환자들이 투석을 받고 있는데, 그중 5분의 1인 10만 명 이상이 AKF에서 지원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이런 일을 이루기 위한 자금은 대부분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과 기업들에서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https://steemitimages.com/DQmdm8aWEzFdGVwFbpQ1CXvQocwFkHkUVkuTbFfcuJAp4Xr/image.png)

## #10 지역 사회 확대형
마지막 열 번째 비영리 단체 재정 모델은 **지역 사회 확대형**입니다. 이 단체들은 지역 사회 기반의 전국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부류는 저소득층 학교와 같은, 지역 사회의 관심을 끌지만, 정부 혼자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을 중점으로 합니다. 대부분 자금은 개인 또는 기업들의 기부금이 출처이며, 정부의 도움을 거의 받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지역 사회 하나의 조직은 작지만, 전국적으로 연결되어 상당히 큰 조직을 형성합니다.

미국에 존재하는 Teach for America (TFA)라는 단체는 이름 그대로 미국 내에서 교사를 제공하는 단체입니다. 이 단체는, 최근 대학 졸업생들을 모집하고 가르쳐 미국 곳곳의 학교들에 선생으로 배치합니다. 1989년에 설립된 이 단체는, 2009년에 약 9천만 달러의 연간 수입을 보고했습니다. 이 금액의 75% 이상은 전국에 퍼져있는 지역 사무소들의 모금액입니다. 유치원부터 고등교육까지, 교육의 질을 향상한다는 목표가 각 지역 사회의 공감과 응원을 받고 있습니다. 재정 모델이 지역 사회에 의존성이 높다 보니, 지역 자금 조달에 집중하는 단체입니다.
![](https://steemitimages.com/DQmNoY1cR9QY6hPFgDAbHRAoh4VcdgVuLu12qnpGGi1Qft3/image.png)
  
  
 
### 비영리 단체가 가야 할 길

비영리 단체 특성상,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나 받으려 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비영리 단체가 정체성을 잃기 쉽게 하는 실수입니다. 비영리 단체의 지도자분들은 저희가 소개한 여러 가지 재정 모델 중 자금 조달 전략을 고민하고 검토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또한, 자금 조달 전략을 정한 후, 투명하고 명확하게 운영된다면, 장기적으로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비영리 단체에 투자하는 자선 사업가들의 경우, 이런 **자금 투명성과 확실한 자금 조달 전략을 가진 단체에 투자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런 이유로, 자선 활동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재정 모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이번 시리즈를 통해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비영리 단체 재정 모델 열 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지금까지 시리즈를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유익한 시간이었길 바랍니다. 저희 런(Raise Uganda Now)에서는 45명의 아이들을 책임지는 고아원을 운영하며 최대한의 투명성을 가지는 것이 목표입니다. 더욱 알아가고 싶으시다면 연락해 주세요! 

이야기는 계속됩니다...

**Homepage**
[RUN USA](http://www.raiseugandanow.org/)
[RUN Korea](https://www.raiseugandanowkr.org/)

**SNS**
[RUN USA Facebook](https://www.facebook.com/raiseugandanow?ref_type=bookmark)
[RUN Korea Facebook](https://www.facebook.com/raiseugandanowKR)
[RUN USA Instagram](https://www.instagram.com/raiseugandanow/)
[RUN Korea Instagram](https://www.instagram.com/raiseugandanow_kr/)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