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 미국과 중국의 블록체인 경쟁...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seraphim502·
0.000 HBD
[투자의 단상] 미국과 중국의 블록체인 경쟁...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을 필두로 국가의 명운과 패권을 건 기술 및 헤게모니 전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블록체인 및 디지털 화폐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미국은 리브라에 대해 우선 제동을 걸고 나선 상태이고, 중국은 강력한 국가 주도로 CBDC를 통해 블록체인 산업뿐 아니라 국가주도 화폐에 대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국과 미국의 차이점은 중국은 국가주도의 프라이빗 형태의 디지털 화폐를 발행하고자 하는 것이고,
미국은 아직 규제일변도의 정책으로 대응하고 있으나 퍼블릭 블록체인에 대한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곧 정책에 있어서의 근본적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CBDC]
![](https://cdn.steemitimages.com/DQmeYSWuf3ZYaHCXvkjakWEduxTMjnmjjV2GmvEp5ZNR5vr/image.png)

따라서 현재 Stable Coin을 둘러싼 양국간의 기술패권은 CBDC vs Libra(Private vs Public)의 대결로 압축되는 양상이 아닐 까 싶습니다.
물론 달러화 패권을 놓치고 싶지 않은 미국 정부가 스스로 국가 주도의 디지털 화폐를 발행하는 딜레마에 빠지지는 않을 듯 싶으며, 결국 4차산업 혁명이나 우주공학을 민간의 창의적인 자본을 바탕으로 육성해 왔듯 블록체인 환경에 있어서도 국가의 역할은 규제와 대응에 머무를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중국 경제 칼럼니스트가 아래와 같은 분석의 글을 기고 하였습니다.

中 경제 칼럼니스트 "중국, 미국에 암호화폐 패권 뺏겨선 안돼"
https://kr.coinness.com/news/443160

>중국 유명 경제 칼럼니스트 샤오레이(肖磊)가 31일 메신저 위챗 공공계정을 통해 '미국이 중국보다 먼저 블록체인 핵심을 장악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라는 칼럼을 게재했다. 그가 말하는 '블록체인 핵심'은 한 마디로 투자·결제 수단으로서의 암호화폐다. 다음은 주요 내용 요약.
>1. 암호화폐 투기 억제를 위해서는 무조건적인 금지가 능사는 아니다. 중국 블록체인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암호화폐 투자 수요를 다른 나라에 떠넘기지 말고 정부가 어떻게 잘 컨트롤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한다.
>2. 미국 정부는 페북 코인 리브라에 압박을 가하곤 있지만 주요 리저브(준비금) 구성자산을 달러로 만들게 하는 등 결국 정부의 요구에 맞는 리브라가 출시될 것이다. 리브라는 모바일 결제 등 미중 핀테크 경쟁에서 앞장을 서게될 것이다.
>3. 미국 비트코인 선물 거래소 백트(Bakkt) 또한 내년 상반기 스타벅스와 함께 일반 소비자와 유통사를 위한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이다. 암호화폐 소액 결제가 가능해지는 셈이다.
>4. 이처럼 미국은 리브라, 백트를 위시해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 즉 블록체인 자산의 가격결정권과 결제 기능을 장악하려 한다. 블록체인은 국경을 뛰어넘는 글로벌 속성을 지닌다. 향후 전 세계인들이 리브라, 백트 월렛을 사용할지 모른다. 달러를 거부하는 시장에서는 100% 암호화폐 기반인 백트 월렛을 쓰면 그만이다.
>5. 리브라를 쓰든 백트 월렛을 쓰든 결국 미국의 통제를 벗어날 수 없게 된다.

현재 모바일 단말을 활용한 페이전쟁은 강력한 인구를 뒷배경으로 하는 중국이 앞서나가는 형국입니다.
또한 인공지능 분야에 있어서도 원천기술은 미국내 글로벌 기업들이 가지고 있으나, 사업화 영역이 되는 데이터 축적 및 응용 애플리케이션 분야에 있어서는 중국이 미세하게나마 앞서 나갈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중국내 인공지능 사업화를 추구하는 여러 기업들에 주목하여야 할 시점이 아닌가 합니다.

[단독] 바이낸스, 한국 기업과 협업 논의…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가능성도
https://www.coindeskkorea.com/51738/
바이낸스 거래소에서도 한국진출을 준비하며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가능성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궁국적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한 화폐와 거래 매개체로서의 역할은 스테이블코인이 하게 되지 않을 까 합니다.

한국내 거래소에서도 원화 혹은 달러화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스테이블코인이 출시되어 수탁서비스 및 Defi 형태의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사용할 날을 기다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