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 HBAR(Hedera Hashgraph)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seraphim502·
0.000 HBD
[투자의 단상] HBAR(Hedera Hashgraph)
Hedera Hashgraph(HBAR)가 Upbit 거래소에 상장되었습니다.
https://www.hedera.com/

상장 후 600원까지 급등하였던 가격이 신규 상장의 전례에 따라 현재 92원까지 내려가 있는 상태입니다.
![hedera.png](https://cdn.steemitimages.com/DQmQKTWHoPBxkbqeSLMP4oBz8E3GafZhgrnJtkjBNo6mbzu/hedera.png)

HBAR에 대해 소개된 자료를 보겠습니다.
"헤데라해시그래프는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공공 분산 원장입니다. 해시그래프 합의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운영되는 헤데라 퍼블릭 네트워크는 분산 원장 기술 분야의 최고 보안등급을 성취하며, 아주 빠른 트랜잭션 속도와 매우 낮은 인터넷 대역폭이 요구됩니다. 
헤데라는 높은 처리량과 낮은 수수료 그리고 수초내로 이뤄지는 컨센서스 확정성으로 헤데라는 블록체인을 넘어 현재 타 분산 원장 기술 플랫폼에서는 개발이 불가능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유즈 케이스, 비즈니스 모델 실현을 가능함으로써 공공 원장의 미래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헤데라해시그래프의 공동 창립자이자 최고 과학자인 리몬 베어드 박사와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맨스 하몬은 미공군 사관학교에서 함께 재직한 동료이자, Trio Security, BlueWave Security 그리고 Swirlds, Inc를 함께 창업한 바 있으며, 획기적인 기술인 해시그래프의 특허를 획득했습니다."

HBAR의 가장 큰 특징은 빠른 10,000+ 이상의 높은 TPS와 빠른 Confirmation이 되겠습니다.
![hedera2.png](https://cdn.steemitimages.com/DQmSpb9HqJuj3nh5Ps5bXz9D2PvuZaxTnys3mD3fySK27uD/hedera2.png)

바쁘신 여러분들을 위해 전문지식은 전혀 없지만 대신 백서를 빠르게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HBAR의 주요 기능
>헤데라의 코인 가중치와 지분증명 합의 메커니즘을 통해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기능
>플랫폼이 원활하게 작동하는 데 필요한 컴퓨팅 리소스를 구입하는 비용 및 리소스 제공의 인센티브가 되는 ‘연료’ 기능

Hedera Governing Council
>헤데라 플랫폼은 다양한 산업 분야를 대표하며 세계 각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수준 높은 글로벌 기업들이 교대로 구성하는 헤데라 거버닝 카운슬에 의해 관리됨 
>이들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및 네트워크 가격 책정과 관련된 주요 사항을 결정
>헤데라는 이들에게 보수를 지급하거나 수익을 분배하지 않으며, 이들의 임기는 제한되어 있음.
>이러한 방식으로 거버닝 카운슬은 플랫폼의 장기적 이익 측면에서 탈중앙화되고 합리적이며 안정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합니다. 
>헤데라는 익명의 채굴자 또는 개발자 집단에 의해 지배되지 않으며, 기업 주도 구조를 통해 기존 퍼블릭 DLT 플랫폼의 관리에 악영향을 끼쳐왔던 이념적·개인적 분쟁의 위험을 감소

HBAR의 트랜젝션 수수료
>1)노드수수료, 2)네트워크 수수료, 3)서비스 수수료로 구성
![hedera4.png](https://cdn.steemitimages.com/DQmbZPqWuEMURxtcRPyqxhWjdtBHi933tQr6yhjxv1Rg15Q/hedera4.png)
*애플리케이션 수수료는 옵션임

노드의 역할
>각 네트워크 사용자 계정의 잔액 공유 원장을 유지
새로운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실행하며 이를 시간 순서로 정렬하여 사용자 계정의 잔액을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

Hedera Treasury
>지난 2018년 8월에 출시한 헤데라 네트워크는 총 500억 개로 고정 공급된 Hbar를 헤데라 금고(Hedera Treasury) 계정에 예치
헤데라 금고는 암호화된 다중 서명 계정으로, 이곳에 예치된 Hbar는 거버닝 카운슬 위원 과반수에 의해 암호화된 서명이 이루어진 트랜잭션을 통해서만 외부로 이체 가능 

노드 보상과 프록시 스테이킹 보상 
>헤데라 금고는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서비스를 수행하는 모든 노드를 대신하여 네트워크 수수료와 서비스 수수료를 징수함
이렇게 모인 Hbar의 일부는 헤데라 계정에 잠시 예치되었다가 24시간마다 자동으로 노드 보상 및 프록시 스테이킹 보상을 위해 재분배됨
해당 기간에 트랜잭션 검증에 참여한 모든 노드와 사용자 계정의 Hbar를 프록시 스테이킹한 사용자들이 재분배의 대상이 됨

HBAR 코인 라이프사이클
![hedera5.png](https://cdn.steemitimages.com/DQmWFayxD2sWD9NdQgaH4qWDCrKeSd1RtouXNc44tQyb3fu/hedera5.png)

프록시 스테이킹 보상 구조
![hedera6.png](https://cdn.steemitimages.com/DQmNwGch834kcNbwZSUkXmxtzRzuRtp6UViuBYa4W4TjNR7/hedera6.png)

HBAR는 ~2023년까지 순차적으로 코인을 배포할 예정입니다.
초기 배포량은 6.7% 가량이 되겠네요.
![hedera7.png](https://cdn.steemitimages.com/DQmaDwkk2CbT98rTPP6ZAo22GvgAeoX3kPGgmuncm3Bxq7V/hedera7.png)

하나 특징적인 것은 노드 운영을 통해 대표노드를 선출하여 Governance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Hedera Governing Council 구성을 통해 Governance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에서 중앙집권화 혹은 public/private 모호성의 논란이 있을 수 있을 듯 합니다.
다만, 헤데라 거버닝 카운슬은 트랜잭션 검증을 위한 노드 투표에 재량권을 행사하지 않고 헤데라 플랫폼에서 카운슬 위원들이 개별 대표를 통해 실시하는 투표는 ‘거버넌스’에 한한다고 합니다.
또한, 트랜잭션에 대한 합의는 해시그래프 합의 알고리듬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되는 노드의 투표를 따르며, 초기에는 카운슬이 노드를 운영하지만, 이때도 노드의 ‘투표’는 알고리듬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된다고 합니다.

초기 투자(17.45%)는 SAFT를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SAFT는 특수 유형의 전환 사채로 SEC의 ICO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유틸리티 토큰의 사전 ICO에 한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대안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SAFT에 대해서는 나중에 한번 정리하여 글을 올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SAFT 및 직원, 자문위원, 협력사와의 계약에 따른 배포는 최대 6년까지 다양한 약정 기간에 걸쳐 배포키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1)빠른 Confirmation과 2)높은 TPS 그리고 3)기업용 Application 시장을 타겟으로 하였고, 4)초기 발행물량을 통제한 점을 고려한 HBAR의 PoS 알고리즘은 3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상당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투자 관점에서 가격적인 측면과 3세대 플랫폼으로서의 경쟁력 측면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봐야 할 것 같습니다.

향후 모니터링 후 다시한번 관련 정보를 제공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