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 파이3 로 채굴하기 Part-4 마지막편! / 스트라티스 채굴 방법 및 채굴 결과
kr·@skuld2000·
0.000 HBD라즈베리 파이3 로 채굴하기 Part-4 마지막편! / 스트라티스 채굴 방법 및 채굴 결과
안녕하세요. 아마군(@skuld2000) 입니다. 엊그제 강남 밋업에서 @girina79 님한테 자꾸 이상한 거 올린다고 갈굼 당했던 라즈베리 파이 채굴기 마지막 편을 꿋꿋이 올려봅니다. 보팅도 얼마 안들어 오는데 글쓰는 시간만 오지게 걸리던 가성비 안좋은 시리즈의 마지막이 왔네요.ㅎㅎ 채굴이라도 많이 되야 할텐데~~ 라는 마음으로! 드디어 스트라티스 스테이킹을 걸어 본격적인 채굴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사실 채굴이라는 단어는 POS 기반인 스트라티스에는 맞지 않지만... 뭐 이제와서 어쩌겠습니까. 그냥 채굴이라고 할께요. 전 포스팅에서 설치했던 스트라티스 지갑 프로그램입니다.  이제 싱크가 끝나 있습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대략 9 시간 정도 걸린 것 같네요. 현재 Dashboad 에는 지갑에 보유하고 있는 스트라티스 와 스테이킹 중인 스트라티스 수량이 표시 됩니다. 물론 아직까지는 코인을 입금하지 않았기에 0 STRAT 로 출력 되고 있죠.  왼쪽 메뉴 Recieve 는 입금을 받을 스트라티스 지갑 주소를 보여 줍니다. New Address 를 통해 새로운 지갑 주소를 발급 받을 수도 있습니다. Send 는 송금하는 메뉴이고 Transactions 는 전송 상태를 보여주죠. Address Book 은 자주 송금하는 주소들을 등록해 놓는 곳입니다. 우선은 지갑 비번을 설정 하겠습니다.  지갑 프로그램의 Settings -> Encrypt wallet 을 누르면 비번을 입력하는 곳이 나옵니다. 비번을 입력하고 OK 를 누르면  비번 까먹으면 **니 코인 싹다 날려 먹는 거야!!** 라고 살벌한 경고를 띄워 줍니다. 절대 까먹지 맙시다! 그리고 이제 지갑 데이터를 백업해 둡시다. 백업하지 않은 채로 지갑 프로그램에 문제가 생기면... 끔찍하게도 나의 모든 스트라티스 코인을 영영 찾을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무조건 백업부터 합시다. 지갑 프로그램의 File -> Backup Wallet 을 실행한 후 적당한 위치에 wallet.dat 라는 이름으로 저장해 주세요. 이름을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지만 다시 복구 할 때는 wallet.dat 라는 이름으로 복구해야 하므로 처음부터 같은 이름을 쓰는게 좋겠습니다. 그리고 저장한 파일을 정말 안전한 곳 여러군데에 잘 보관하세요. 저는 USB 메모리로 라즈베리 파이에서 가져와서 개인 pc 와 클라우드 서비스에 저장해 두었습니다. 가급적 보안을 생각해서 압축 및 비번 등을 걸어 두는게 좋겠네요. 복구를 할때는 이 백업된 wallet.dat 를 원본경로(/.stratis/)에 덮어 씌워야 합니다. 그런데 원본이 있는 곳이 숨김 속성이라 안보일 꺼에요.  탐색기에 view -> Show Hidden 을 체크해 주세요  숨김 폴더 및 파일들이 보여 집니다. /.stratis 위치에 있는 이 wallet.dat 파일에 덮어 씌우시면 복원 끝! 이제 대망의 채굴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우선 코인을 지갑으로 넣어야 겠죠. 위에서 설명한 Recieve 의 지갑 주소를 복사해서 스트라티스가 있는 거래소로부터 송금을 받아야 합니다. 우선 주소에 문제가 없는지 비트렉스에서 1 STRAT 를 보내 봤습니다.  수수료로 무려 0.2 STRAT 를 떼먹히고 0.8 STRAT 가 무사히 왔습니다. 전송속도 정말 빠르네요.ㅎㅎ 이제 맘 놓고 나머지 전부 보냅니다.  얼마 안되는 제 스트라티스 입니다.ㅎㅎ 이래뵈도 살때는 150만원이 넘었던 녀석입니다. 근데 지금은 반토막..어흑.ㅠㅠ 암튼 스트라티스가 들어왔으면 staking 을 위해 지갑을 Unlock 해줘야 합니다.  Setting -> Unlock wallet 을 선택하신 후 비번을 입력해 주세요.  unlock 을 하고 잠시 기다리면 지갑 좌측 하단의 번개 표시가 하얀색으로 채워집니다. 근데 처음엔 Staking 중인 weight 가 0 으로 나올 겁니다. 한참 기다려야 보유 코인이 반영 될꺼에요.  한참 기다리시면 이렇게 보유 수량이 weight 에 반영 되고 다음 채굴까지 남은 예상 시간이 나옵니다. 허허허...제 보유량으로는 120 일 기다리면 1 STRAT 가 채굴 되는 군요. 이걸 기준으로 계산해 본다면 4개월에 1 STRAT.. 1년이면 3 STRAT 네요. 157 로 연 3 STRAT 이니 연수익 대략 2% 정도 예상 됩니다. 만약 수천만원 이상 STRAT 를 장기 보유 하시는 분이라면 어차피 들고 있을거 세금도 없는 2%대 수익이니 나쁘지는 않은 선택 인거 같습니다. 오늘 비트렉스 기준으로 제 보유 평가액이 80만원 좀 넘는데 일년동안 채굴하면 15,000 원 버는 군요. 스트라티스 시세가 오르지 않고 스트라티스 추가 매입을 하지 않으면 라즈베리 파이 기계값 메꾸는데만 3년은 돌려야 겠네요. 저처럼 소량 보유 하시는 분들은 굳이 이 짓을 할 이유가... Orz 저는... 어찌할까요.ㅋㅋㅋㅋㅋㅋ
👍 skuld2000, romi, neogia, romanis, hammadakhtar, pacifiko, ugkaygorodo, vamkevich, wkigau, istina, alayaroza, alocheka, haroldponefg, goodmanpereg, hyokhyok, vimva, ashicarin, mikovsech, mrpomidor, yebyk, beunarovich, borissgris, ozis, dysheniko, arkaddijpes, balalayka, lutsenkoya, herasdwet, plaki, lorde, niko3686, patsenko, nazag, solanetz, stasikas, galinka, mattchoi, leomichael, hwan100, stackhunt42, twinbraid, zorba, neojew, fur2002ks, jaywon, jungs, get-cheaper, mukstar, uksama, coinkorea, mkland, siapa0516, mooncat4289, s292153s, roychoi, mastertri, toktok, rayheyna, soon8013, lesto, jhani, coinist, iieeiieeii, jack8831, segyepark, girina79, beatblue, snow-airline, jongyeong, steemitboard, dkssud7530, genemk, homechelin, corn113, lighthil, dachshund, pupil, jinuking, cheerup, matt788587, mjb6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