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잇 댓글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starbrush·
0.000 HBD
스팀잇 댓글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최근 댓글에 대한 여러가지 견해들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댓글 활동을 거의 하지 않으면서 
글을 위주로 쓰는 사람에 대한 불만을 표시하는 사람들도 있고
그러한 사람들에게 방식을 강요하지 말라는 사람들도 있다.

http://i.imgsafe.org/09f1d05d81.jpg
[source](http://www.lawpracticechannel.com/responding-to-positive-or-negative-web-comments/)

글을 읽고 난 뒤에 독자와 저자간의 소통이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하지 않을 것이다.
글의 틀린 점이나 부족한 부분을 댓글을 통해 제시해 줌으로써 
더욱 더 양질의 글이 될 수 있고
비판을 통해 저자에게 피드백을 줄수도 있다.

허나 언제나 이와같은 댓글의 순기능만이 작용하는가 하고 묻는다면
단 1초의 망설임도 없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 

인터넷도 익명성을 내세운 악성댓글로 인해 큰 감기를 앓고있다.
하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더욱 더 완벽에 가까운 익명성을 보장하는지라
이러한 악성 댓글이 언제고 커다란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http://i.imgsafe.org/0a087875b6.jpg
[source](http://support-rb.ru/materials/kak_sohranit_anonimnost_v_internete/)

댓글에 상처를 받은 사람은 글 쓸 용기도 줄어들 뿐더러
더 심하면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마저 두려워하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스팀잇 유저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커다란 문제다.

스팀잇은 언제나 열려있다. 누구나 들어올 수 있다는 것이다.
댓글로 상처를 받거나 상처를 준 사람들 모두가 들어올 수 있다.
이들 서로가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하나의 길만을 옳다고 주장하며
그 길을 걷게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고 본다.

더욱이 스팀잇은 어느정도 폐쇄적인 블로그나 SNS와는 달리 
오픈형 커뮤니티다.
오픈형 커뮤니티에서 댓글을 다는 것은 
자칫 크나큰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그 문제는 바로 '친목' 이다.

http://i.imgsafe.org/0a260affc5.jpg
[source](http://www.aquila-style.com/focus-points/muslimlifestyle/good-muslim-friend/62072/)

사적인 성향이 강한 블로그나 SNS에서의 친목은 
서로간의 연결고리를 강하게 해주는 아주 좋은 과정이다.

허나 스팀잇과 같은 오픈형 커뮤니티에서의 친목은 
커뮤니티의 종말을 의미한다.
남이 하는 재밌는 이야기보다 지인이 하는 사소한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듯
커뮤니티의 흐름도 그와 닮아가기 때문이다.

기성 유저들끼리 '친목' 이라는 이름아래 똘똘 뭉쳐버린 커뮤니티는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버린다. 
고인물은 썩는다는 말이 있듯이 이러한 분위기는 
커뮤니티의 앞날에 있어 정말이지 지양해야 할 부분이다.

http://i.imgsafe.org/0a4da9c084.jpg
[source](http://www.the-pr.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81)

그렇다고 댓글을 아예 달지 않는 것도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잘못된 정보가 마치 사실인 것처럼 모두에게 전달될 수 있고
다른 이들의 생각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만의 목소리를 크게 내는
안하무인격의 커뮤니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치우침이라는 것이 없을 수는 없을 것이다.
이 세상에 완벽한 중도란 없는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스팀잇은 현존하는 다른 커뮤니티와는 
다른 미래를 갖게 되길 희망한다.

By @starbrus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