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잇 2주일 동안 사용하면서 느낀 좋은점, 아쉬운점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sundog2·
0.000 HBD
스팀잇 2주일 동안 사용하면서 느낀 좋은점, 아쉬운점
<html>
<p>스팀잇 가입한지 2주가 지났네요. 아직도 이곳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진입장벽도 높고 기술적인 용어까지 알아야 하고 여러가지로 참 복잡하긴 하네요. 왜 이렇게 복잡하게 시스템을 구현했을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어뷰징을 막기 위한 것 같기도 합니다.&nbsp;</p>
<p>지난 2주 동안 사용하면서 느낀 점입니다.</p>
<h1><br></h1>
<p><img src="https://steemitimages.com/DQmWsNGBdNPjHXWqzYJuW46VUuMAVQZYbANuNLRKKqd2vmv/IMG_0350.jpg" width="1000" height="667"/></p>
<h1><strong>스팀잇이 좋은 점&nbsp;</strong></h1>
<p><br></p>
<p><strong>1. 활발한 커뮤니티</strong></p>
<p>마치 초창기 PC통신을 보는 느낌입니다. 또한 블로그 초 창기 모습 같기도 합니다. &nbsp;뻘글이라도 달랑 사진 1장 올려 놓아도 댓글을 달아주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렇게 활발한 커뮤니티가 일어나는 모습을 오랜만에 봅니다.&nbsp;</p>
<p>게다가 악플도 없습니다. 다들 성의 있는 댓글 진심이 느껴지는 댓글들이 대부분입니다. &nbsp;제가 논란이 있는 글이나 자극적인 글을 쓰면 또 다르겠지만 아직까지는 평화로운 댓글이 대부분입니다. &nbsp;악플이 없는 이유는 다운 보팅이라는 시스템 때문에 없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동시에 합니다. 다운 보팅을 하면 다운 보팅한 사람 아이디가 찍히기 때문에 보복이 따르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네요.</p>
<p>아무튼 활발하고 평화롭고 좋은 댓글들이 많아서 좋네요</p>
<p><br></p>
<p><strong>2. 수익을 준다</strong></p>
<p>뭐 이것 때문에 스팀잇을 시작하는 분들이 많겠죠. 저 또한 수익을 낼 수 있다는 말에 입성했습니다. &nbsp;좋은 글을 쓰면 좋은 대가라 따른다면 콘텐츠 생산자들이 스팀잇으로 많이 입성할 것입니다. 웹툰 작가도 보이고 예술가들도 보이고 기자들도 보입니다.&nbsp;</p>
<p>수익을 주는 구조가 독특합니다. 콘텐츠 생산자에게도 주지만 콘텐츠 소개자인 큐레이터에게도 줍니다. 그렇다고 글 올리지마자 글 읽지도 않고 업보팅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15분 후부터 큐레이터 보상이 시작되는 점도 흥미롭네요. 고래들이 더 많은 수익을 내고 스팀파워가 높은 고래들이 업보팅을 통해서 많은 수익을 준다는 것도 흥미롭습니다.&nbsp;</p>
<p><br></p>
<p><strong>3. 꽤 정교하게 설계되었다</strong></p>
<p>생태계가 복잡한 이유는 여러가지 어뷰징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 같습니다. 수익이 생기는 곳이다 보니 여러 분란이 일어나고 있고 지금도 앞으로도 일어나겠지만 그걸 막기 위해서 쿨타임을 걸고 딜레이를 시켜서 수익을 주는 등 다양한 장치들이 있습니다. &nbsp;잘만 가꾸어 나간다면 &nbsp;흥미로운 콘텐츠 창고가 될 것 같습니다.</p>
<p><br></p>
<h2><strong>스팀잇의 안 좋은 점&nbsp;</strong></h2>
<p><br></p>
<p><strong>1. 구닥다리 에디터</strong></p>
<p>인터넷 초창기 넷스케이프 쓰던 시절도 아니고 뭐 이리 구닥다리 에디터가 다 있나요? 사진 하나 올리기도 쉽지 않고 HTML 태그까지 어느 정도 알아야 편합니다. 뭐 해결 하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기본 에디터가 조악합니다.</p>
<p><br></p>
<p><strong>2. 온통 가상화폐와 스팀잇 이야기.</strong></p>
<p>전 가상화폐 잘 모릅니다. 크게 관심도 없습니다. 이러다 보니 가상화폐에 관한 글은 잘 읽지 않습니다. &nbsp;그런데 스팀잇에는 가상화폐 이야기가 많습니다. 어쩔 수 없죠. 스팀도 가상화폐인데요. 여기에 스팀잇 이야기가 많습니다. &nbsp;이글도 그중 하나네요. 저 같이 한 마디 하다 보면 스팀잇 이야기만 많이 보이게 될 수 밖에 없긴 합니다. 하지만 전 이글을 끝으로 한 동안 스팀잇 이야기는 하고 싶지 않습니다.&nbsp;</p>
<p>전 다양한 분야의 글을 읽고 싶습니다. IT 기술에 관한 이야기, 책 리뷰, 영화 리뷰, 전시회 리뷰나 세상 사는 이야기 등등 다양한 주제의 글을 읽고 싶습니다. 근데 스팀잇은 생활 이야기, 스팀잇, 가상화폐(암호화폐) 이야기가 대부분입니다.&nbsp;</p>
<p>뭐 시간이 지나고 참여자가 많으면 저절로 해결되겠지만 1년 후에도 스팀잇 친목 동호회로 있을 것 같아 우려스럽네요.&nbsp;</p>
<p><br></p>
<p><strong>3. 친목</strong></p>
<p>지금도 이 문제에 대해서 말들이 많습니다. &nbsp;친목이 어때서 그러냐. 친목질 하다가 스팀잇 망한다!로 여러가지 의견이 있습니다. 친한 사람 업보팅 하는 게 뭐가 나쁘냐고 물을 수도 있습니다. 뭐 하지 말라고 해도 하는 사람을 말릴 수는 없죠. 그런데 뉴비들은 이런 생태계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떠납니다.</p>
<p>어제도 스팀잇을 작년에 시작했다가 친목 단체 느낌이 들어서 좀 하다 그만 뒀다는 분을 봤습니다. 지금도 그러냐고 묻기에 지금도 친목 성향이 강하다고 했더니 여전하구나!라고 하더군요. 친목이 좋은 점도 있지만 길게 보면 새로운 유입을 만들어내지 못할 수 도 있습니다.&nbsp;</p>
<p><br></p>
<p><strong>4. 대세글, 인기글이 정말 좋은 글인가?</strong></p>
<p>대세글, 인기글 리스트를 보면 이게 인기 얻을 만한 글인가? 대세가 될 글인가 갸우뚱하게 하는 글들이 있습니다. 뭐 제 주관과 다른 글이라고 폄하하는 것은 아닙니다. 정말 별 내용도 없고 크게 유용하다고 느껴지지 않는 글들이 대세글에 뜨고 인기글에 있는 걸 보면 이게 스팀파워 놀이터인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p>
<p>지금은 대세글과 인기글은 읽지 않고 있습니다. 그쪽 리스트는 이미 정해진 것 같다는 느낌도 듭니다.&nbsp;</p>
<p>1달이 지나고 2달이 지나면 점점 적응을 하고 저만의 색깔을 내면 &nbsp;지금의 불만보다 더 줄어들지도 모르겠네요. 또한, 몰이해로 인한 오해도 풀리고요. 지금은 좋은 점도 아쉬운 점도 공존하네요. &nbsp;그리고 발전적인 논란 보다는 소모적인 논란이 많이 보이는 것도 아쉽네요.&nbsp;</p>
</html>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