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드와 마스터노드 개념
kr·@twinbraid·
0.000 HBD노드와 마스터노드 개념
 # 노드 --- 저번에 한번 설명했지만 명쾌하지 않았으므로 ~~(사실 저번 용어정리는 하나도 명쾌한게 없었..)~~ 여전히 모르시는 분들이 대량 발생하더군요 그래서 다시 설명합니다. 노드는 뭔가.. 보다는 노드가 왜 생겼나를 제 맘대로-ㅅ- 해석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우리가 뭔가를 설명할때 단순화 시키면 사람들이 알아듣기 쉽습니다. >아돌프 루카트리아 3세랑 우꺄말코툐란 사람이 있었는데.. 이렇게 서두를 시작하면 어린애들은 울부짖고 어른들은 달아납니다. 하지만 >A랑 B가 있었는데.. 이러면 알아듣기 쉽죠. 예를들면 드라마 제작자에게 인물이 대충 얼마며 어떤 관계다.. 라는 것을 브리핑할려고 할때  이렇게 보여주는 것보다  이렇게 보여주는 것이 훨씬 직관적으로 이해가 쉽다는 것입니다 이 이후에나 구체적으로 들어가는 것이죠 그리고 저 동글뱅이를 **'노드'** 라고 퉁칩니다. 이후는 복잡한 다른 기능이 있어도 현재 설명하려는 것에서의 `기능+노드`로 해서 단순화 시켜버리는 것입니다. 영희, 철수, 순이.. 가 아니라 가족관계에 대한 설명에선 **아내노드, 아빠노드, 딸노드** 이렇게 해버린다는 것이죠. 한편 남녀관계에 대한 설명에선 **남노드, 여노드, 여노드** 가 되겠죠 채굴의 관계도로 설명할려면 일단 모든 관계를 형성하는 동글뱅이들을 노드라고 퉁친 후 이제 그것들이 무슨 기능을 가졌냐에 따라 마스터노드, 일반노드, 채굴노드 이름 붙이고 관계선 그어주면 되는 겁니다. 여러분의 컴은 일단 노드고.. 그걸로 채굴하면 **채굴노드** 가만히 있으면 **가마니노드** 마스터 행세하면 **마스터노드** 이렇식으로 뭘 설정하고 하느냐에 따라서 역할 이름이 달라질 뿐이죠. # 마스터노드 ---  이런식으로 노드들이 있고 관계가 형성되어 있다면 이것이 **중앙집중식**을 표현한다는 걸 한눈에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때 혼자서 여러 노드들을 거느리고 있는 노드를 흔히들 **마스터 노드**라고 합니다. 주인(Master)과 하인들(slaves)이라는 말이죠. 이러한 시스템은 기존의 금융권 시스템인데 이 중앙의 마스터는 노예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신 돈 받아먹는 구조입니다. 그런데 이걸 일부분 분산네트웍인 블록체인에서도 도입했습니다. 센터란게 존재하고 그것이 폭망했을때 그에 속한 체제도 함께 망하는 특성상 암호화폐들은 중앙을 채용하지 않았지만 대신 자신들의 특성과 합쳐서 개량을 시도했습니다. **수많은 마스터 노드**를 만들면 그들중 하나가 공격당해 폭망하더라도 문제 없으며 대신 마스터 노드의 장점인 서비스 제공을 날름날름 받아먹을 수 있다는 것이죠. 하지만 서비스 제공이라는 것은 내컴의 희생이 따르는 일이므로 해달라고 해줄리가 없습니다. 그래서 나온 것이 마스터노드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노드들에게 채굴에서 나온 보상을 나눠주는 것이죠. 이 보상이 상당하기에 너도나도 채굴 때려치우고 마스터노드질 하는 것을 방지키 위해 제한을 뒀는데 상당량의 코인을 무조건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제한입니다. 이게 나름 리스크이긴한데.. https://masternodes.pro/ 위의 주소는 이미 수많은 이들이 돌려대서 너덜너덜해졌지만-ㅅ-; 마스터노드의 수익률을 보여주는 좋은 사이트입니다. 꽤나 준수해서 시도해볼만한 유혹이 옵니다. 저도 한번 공부겸 해볼까 생각중입니다 -ㅠ- 전 팔랑귀니까요-ㅠ- <a href="https://steemit.com/@twinbraid" target="_blank"><img alt="" border="0" src="https://i.imgur.com/YgRCgTR.gif" /></a>
👍 twinbraid, head10, ramengirl, cryptoninja, violino, inchonbitcoin, rogeer, anubisthegaylord, leesol, dubi, happyworkingmom, nikosuave007, boslem, vip, khlud, fagevs, matard, wykus, natzimi, denko, wmzy, mila76, starynin, pudding, shermanmar, andrak, knopki, stilba, margaritkaa, dubel, wuhotan, kimsungmin, airwavez, kview, juliatron, tepolina, anicosashech, aramh, ufkbyf9, serge1991, ostapchuk1val, deffeni, carrolldonal, motovilova.galya, arama, jkkim, maksimshha, olmerker, brent1042, gctg63, lissitckov, tinytaruen, trionyx-dv, koreanguy, garalev, cryptotrade007, isaaclab, beoped, sjchoi, venti, nounou, trafalgar, umkin, stellasjshin, mattchoi, cheolwoo-kim, neogia, siapa0516, nps0132, gyeryak, sampling, lsj01090, jiuun, magical-salt, j-stark, risk-a, oluwasegun, pajero, katesmith, neojew, uksama, jasonshick, ludorum, kkw, hwan100, successtrainer, nhj12311, jaiken, jezmacher, segyepark, skuld2000, toxic-retriever, pqlenator, coinkorea, steemitboard, thisvsthis, jack8831, kilu83, vimva, snow-airline, woosungchoi, bacadi151, jaywon, mastertri, abdullar, junesteemit, choind, soyo, cheerup, geta, slowwalker, hansikhouse, jsralph, woo7739, cheongpyeongyull, sochul, goldenman, muyoung, carrotcake, rt4u, tmkor, ez2bt, krguidedog, sonsie, ksc, smallchicken, rongze, cgf117, yangmok701, lighthil, max09, leesongyi, get-cheaper, positioner, hwantag, shonleo, redjm29, enin, wooklym, novafox, genemk, danielspapa, winternights, kim0jh0, chunseungho, seokyeonwoo, sigizzang, nattarinee, card1001, khaight, goombung, jayden.choe, deukgi, breung, hy68483, happytr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