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잇 2017 로드맵 요약
kr·@waystobecalm·
0.000 HBD스팀잇 2017 로드맵 요약
<html> <p><img src="https://i.imgsafe.org/2df96d237d.png" width="1852" height="1080"/></p> <p>가상화폐 사업 모델에서의 진짜 핵심은 "<strong>과연 개발자들이 제시한 로드맵대로 개발이 진행되는가?</strong>" 라고 합니다. 어제 @leesunmoo 님께서 <<a href="https://steemit.com/steem/@leesunmoo/ilgrm">의심하고 의심하고 또 의심하라</a>> 라는 제목으로 포스팅하신 글에 있던 내용이었는데, 저도 공감하는 바이기에 스팀잇의 2017년 로드맵을 간단하게 번역해 보았습니다. 벌써 로드맵대로 적용된 부분이 꽤 있습니다. 2017년은 아직 절반밖에 지나지 않았으니까 나머지 부분들도 차차 적용이 될 것 같네요. 그리고 로드맵을 번역하면서 <strong>스팀 블록체인을 플랫폼으로 만들겠다는 스팀의 야심찬 계획</strong>을 처음 알게 됐습니다. 로드맵만 얼른 보고 싶으신 분들은 소개, 목표, 요약 파트를 건너뛰고 로드맵 요약 파트만 보시면 되지만 스팀의 야심찬 계획을 엿보려면 다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원문을 전부 보고 싶으신 분들은 <a href="https://steem.io/2017roadmap.pdf">Steemit 2017 Roadmap</a> 을 참고해주세요.</p> <hr> <h1><strong>소개(Introduction)</strong></h1> <p>스팀잇의 2017년 로드맵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문서는 아래 세 가지 파트로 나눠져 있습니다.</p> <p>1. Steemit.com: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 관하여</p> <p>2. 탈중앙화된 스팀 블록체인과 플랫폼에 관하여</p> <p>3. 스팀잇 기관: 조직에 관하여</p> <p><strong>이 문서는 우리가 최종적으로 구현할 기능을 모두 설명하고 있지는 않습니다</strong>. 이 문서에는 나와있지 않더라도 몇 가지 작은 기능들을 2017년에 출시할 예정이며, 이 대형 업데이트들을 시행하고 나서 생길 중요한 문제들은 2017년 혹은 그 이후에 해결할 것입니다. <strong>이 문서는 우리가 단기간에 처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서만 밝힙니다</strong>.</p> <p>이 문서에는 현재 스팀잇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계획이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우리는 항상 스티미언들을 생각하고 있으니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시 한 번 더 밝히지만 이 문서는 모든 업데이트 계획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p> <p>우리는 현재 스팀잇의 유저들, 그리고 블록체인 애호가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관리하고 향상시킬 많은 계획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계속 지켜봐 주세요! 우리는 플랫폼과 스팀잇에 대한 엄청난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하나의 문서에 들어갈 수 있는 양보다 훨씬 많습니다!). 스티미언들에게 우리의 엄청난 계획을 보여줄 수 있어서 대단히 기쁩니다.</p> <h1><strong>목표(Goals)</strong></h1> <p>우리의 장기적인 목표는 항상 처음과 똑같습니다: <strong>우리는 검열 받지 않고, 최대한 많은 유저들의 가치를 저장할 수 있는 최고의 플랫폼을 제공할 것입니다</strong>. 이 목표는 인류의 자유를 향상시키고 지구상 모든 인류가 자신의 기본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p> <p>이렇게 하다 보면 스팀 블록체인은 성장할 것이고, 우리는 전체 인터넷 환경이 검열 받지 않을 수 있게 할 것입니다. 우리의 첫 번째 어플리케이션은 퍼블리싱, 즉 스팀잇 커뮤니티일 뿐이지만, <strong>우리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만들어질 가능성은 무궁무진합니다</strong>. 이 커뮤니티를 엄청 크게 확장시키는 것은 STEEM을 블록체인 기반 화폐의 1인자로 만들어버릴 수 있습니다.</p> <p><strong>우리의 주된 단기 목표는 주간 가입자 수, 주간 실제 활동하는 사용자 수, 스팀잇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교류를 대폭 늘리는 것입니다</strong>. 우리의 경제적인 믿음대로라면 더 많은 독자, 더 많은 작가, 더 많은 교류는 이 모두와 커뮤니티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결국 이것은 스팀 블록체인과 스팀 경제, 스팀 토큰의 가치 향상으로 이어질 것입니다.</p> <p>스팀잇 유저 증가를 노리면서, 우리는 스팀 블록체인을 플랫폼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업가와 개발자들에게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입니다. <strong>우리가 생각하기에 스팀잇은 스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여러 킬러 앱들 중 하나일 뿐이며</strong>, 우리의 플랫폼과 커뮤니티를 구축하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이 우리의 목표입니다.</p> <p>이를 위해서 우리는 우리의 노력을 쏟아야 할 것들의 우선순위를 마련했습니다.</p> <h1><strong>요약(Summary)</strong></h1> <p>이 문서는 사업가, 개발자, 스팀잇 유저들을 위한 문서입니다. 우리는 당신이 직면한 문제를 이해하고 있으며 당신과 함께 성장하기 위해서 우리 생태계를 위해 예측 가능한 목표를 제공하고자 합니다.</p> <p>이 문서에는 스팀잇에 대한, 기업에 대한,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일할 것인지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 문서는 소셜 미디어인 스팀잇에 적용시킬 소셜 기능과 특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네트워크의 사용성과 확장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등의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것을 설명할 것입니다.</p> <h1><strong>로드맵 요약(Roadmap Overview)</strong></h1> <h3>1. 스팀잇(Steemit.com) 로드맵</h3> <ul> <li>모든 서비스를 오토스케일링(auto-scaling), 셀프힐링(self-healing)을 갖춘 인프라로 이동</li> </ul> <blockquote><em>오토스케일링: 사용량에 따라 서버를 유연하게 조절하여 서비스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em></blockquote> <ul> <li>어플리케이션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내부 및 외부 개발자 모두에게 유용한 블록체인 데이터 마이크로서비스 제공</li> <li>써드파티 개발자들의 개발 속도 향상을 위해 매우 유용한 공공 서비스 제공</li> </ul> <blockquote><em>써드파티 개발자: 스팀 플랫폼을 기반으로 자신들의 앱을 개발하려는 개발자</em></blockquote> <ul> <li>계획적이고 합리적인 디자인을 유지</li> <li>써드파티 앱을 안전하고 쉽게 사용하기 위한 스팀 로그인 및 가입 서비스 제공</li> <li>리브랜딩(Rebranding): 스팀 블록체인과 스팀잇의 이미지를 분리하기 위해서 새로운 스팀잇 로고, 새로운 색상 및 글꼴 도입</li> <li>사용자 지향적인 UI를 만들기 위해 디자인 점검</li> <li>IOS 및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 개발</li> <li>무료 이미지 호스팅</li> <li>글쓴이에게 댓글 관리 기능 제공</li> <li>커뮤니티 기능 제공</li> <li>새로운 유저를 위한 튜토리얼 제공</li> <li>업적 및 유저 배지 기능 제공</li> <li>모바일 알림 기능 제공</li> <li>사용하기 쉬운 상태바 기능 제공</li> </ul> <h3>2. 스팀 블록체인(Steem Blockchain) 로드맵</h3> <ul> <li> steem.io 사이트에서 스팀 블록체인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플랫폼 대시보드 제공</li> <li>developer.steem.io 사이트에서 스팀 블록체인 기반 앱의 제작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뛰어난 개발자 문서 제공</li> <li>자바스크립트와 파이썬의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공식적으로 지원</li> <li>블록체인 계정 생성 비용을 많이 낮추고 스팸을 방지</li> <li>수익 분배를 위해서 포스팅 리워드를 임의로 분할</li> <li>확장성(Scalability)을 위한 병렬화 실행</li> </ul> <blockquote><em>확장성(Scalability): 단위 시간 당(블록 당)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의 양</em></blockquote> <h3>3. 스팀잇 기관(Steemit, Inc) 로드맵</h3> <ul> <li>본사를 인터넷에 두어 회사를 물리적으로 탈중앙화</li> <li>매우 빠른 속도의 인터넷 팀 커뮤니케이션</li> <li>모든 코드를 자동으로 테스트 및 빌드할 수 있도록 하여 개발 딜레이를 줄이고 개발자들이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간편한 커맨드 제공</li> <li>전 세계의 인재 고용</li> <li>@steemit 계정이 가지고 있는 지분을 분할</li> <li>스팀잇의 모든 소프트웨어는 무료로 유지</li> </ul> <hr> <center> <p><strong>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유익하게 보셨다면 팔로우 부탁드려요:)</strong></p> </center> </html>
👍 waystobecalm, dyuryul, nps0132, bosjaya, sonzweil, kidesk, yoon, thebaek, jaytop, choind, leesunmoo, morning, sson, neogia, nhj12311, bonyjo, ksc, successtrainer, oldstone, leomichael, heejin, coinkorea, unipsycho, areynolds, wwwords, mal402, july01, extrospect, netgains, pak455, jaiken, krdoko, brent1042, ubg, kanghamin, seul, gotoperson, ssm1810, dootyfree, get-cheaper, boostyou, centering, changkyun07, hangeul, enomujjass, crawfish37, kwak, heejaekim, seunghobaek, susueng, acceptkim, slugnoid, corn113, antoniokt, uplus, alstlghd15, kimjungmin, muyoung, isaaclab, seunggon.jung, skt1, jjunyjung, jsl1prime, valueup, iceflowersteem, junmarco, holykw, eeple, laboman, muim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