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중국 관계(박영실) 18 중공군 참전이후의 북중소관계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wisdomandjustice·
0.000 HBD
북한 중국 관계(박영실) 18 중공군 참전이후의 북중소관계
![김 (https://cdn.steemitimages.com/DQmNyjTmJjqYnZGAkF32Ed57rF71FEqVwSHHGA2PzzXAxoZ/%EA%B9%80%EC%9D%BC%EC%84%B1%20%EB%AA%A8%ED%83%9D%EB%8F%99.jpg)


의문 1 스탈린과 마오쩌둥의 관계

한국전쟁중 마오쩌둥과 스탈린이 어떤 관계였는지를 보여주는 전문이 있다.

중공군은 제4차 전역부터 작전인원을 전방지역에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윤번작전을 실시했다. 그런데 이런 부대 운용의 방법을 마오쩌둥은 스탈린에게 보고한 것이다. 당시에 이런 부대운영의 방법까지 스탈린에게 보고할 필요가 있었는지는 의문이다.

박영실의 책 125쪽에는 작전수행 방법의 변경으로 윤번작전이 갖는 의미와 내용에 대해 마오쩌둥이 보고한 전문을 게재하고 있다. 이문서는 션즈화가 발간한 자료집 중책 707쪽 모택동의 건군이래 모택동문고 제2책 북경 중앙문고출판사 1988, 151쪽에 있다.

이런 부분까지 보고한 것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의문 2 조중연합사렵부 구성이후의 북중관계

1966년 8월 9일 소련외교부에서 작성한 6.25 전쟁에 관한 보고서에는 중국인민지원군이 주둔하고 있던 기간동안 중국인이 북한의 내정에 간섭하는 일이 허다하였다고 지적하였다.

중국은 부사령관인 박일우를 이용하여 김일성에 반대하도록 선동했다는 것이다.

(심지화 편, 조선전쟁 아국당안관적해밀문건 하책,대북. 1992, 1347쪽)

박영실을 조중연합사령부 창설이후 주도권은 북한에서 중국으로 넘어간 상태(128)라고 평가하고 있으나 사실상 주도권이 소련에서 중국으로 넘어간 것이라고 보아야 하는 것 아닌가 한다.

소련은 계속 군사고문단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큰 틀에서만 조언을 했을 뿐 실제로 개별 전투는 조중연합사령부가 처리했다는 것이다.

중군인민지원군 총참보부에 소련 군사고문이 있었으며 스탈린은 당시 군사고문은 5명으로 충분하다고 판단했다(국편, 1951.9.12, 590쪽)

연합사령부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중국과 북한 그리고 소련의 입장은 조금씩 달랐다. 이런 차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