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노벨화학상을 알아보자.
kr-science·@yoon·
0.000 HBD2017 노벨화학상을 알아보자.
https://steemitimages.com/0x0/https://steemitimages.com/0x0/https://steemitimages.com/DQmW7pxypVzm4GQ3BUoA483rjMNgauLetrq3aQ1KaGHddBA/image.png <center> 달과 기린을 그려주신 @leesongyi 작가님 고맙습니다. </center> ***  노벨물리학상에 이어 노벨화학상도 발표되었다. > 물리학상처럼 세 사람이네?  - 자크 뒤보셰(75) : 스위스 로잔대 생물물리학과 명예교수 - 아킴 프랑크(77) : 컬럼비아대 생화학ㆍ분자생물학과 교수 - 리처드 헨더슨(72) : 영국 케임브리지대 의학연구위원회 연구원 상금(900만 크로나, 12.6억원)은 공평하게 1/3씩. 이들은 저온 전자 현미경 관찰법을 개발한 공로로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 미안한데, 저온 전자 현미경이 뭐야? 우리가 보통 실험실에서 본 현미경은 광학 현미경이다. 물체에 빛을 비추어 사용한다. > 당연히 빛을 비추어야 하는 거 아니야? 전자 현미경은 물체를 비출 때 빛 대신 전자선(음극선)을 사용한다. 1930년대 개발되어 발전해왔다. > 1930년대부터 그런 게 있었어? (전자 현미경이란 말을 난생 처음 들음) 전자 현미경은 광학 현미경으로 볼 수 없던 미세한 세계를 우리 눈에 열어 보였다. 세포와 같은 생체 분자를 이미지로 얻을 수 있게 되었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2/24/Red_White_Blood_cells.jpg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적혈구(좌)·혈소판(중)·백혈구(우), [Image Credit](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9E%90_%ED%98%84%EB%AF%B8%EA%B2%BD)* 저온 전자 현미경은 수분을 함유하는 세포나 수용액에 존재하는 생체분자를 초저온 상태에서, 고정과 염색 없이 자연적인 상태로 관찰하게 한다. 세 사람은 저온 전자 현미경을 개발하는데 일조했다. 이들의 공로가 모여 2013년 최적화된 해상도를 얻었다. > 어떤 걸 볼 수 있는지 한 번 봐봐. [알코올 산화 효소 구조](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ranscoded/5/56/Structure-of-Alcohol-Oxidase-from-Pichia-pastoris-by-Cryo-Electron-Microscopy-pone.0159476.s006.ogv/Structure-of-Alcohol-Oxidase-from-Pichia-pastoris-by-Cryo-Electron-Microscopy-pone.0159476.s006.ogv.480p.webm) > 이런 걸 볼 수 있다고? (봐도 뭐가 뭔지 모르겠지만) 이런 걸 연구하는 학문이 있다. 구조생물학. > 오늘 처음 듣는 게 많네. 구조생물학은 생명을 이루는 분자의 구조를 밝혀낸다. 구조를 알게 되는 것은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왓슨과 크릭이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발견하고, 우리는 유전자의 놀라운 비밀을 알게 되었듯이, 현미경을 통해 더 미세한 세상을 바라볼수록 우리는 우리 자신과 생명에 대해 더 많은 걸 이해하게 될 것이다. *** https://steemitimages.com/DQmaWs5RqQJta91YRSzeCJtnezjbwQr8RcStgRuLVArvQBt/kc-banner_e.jpg <center> 배너를 그려주신 @leesol 작가님 고맙습니다. </center> *** 읽고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알려주시는 분에게는 tipU :) #kr-science 태그에서 다양한 과학 글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 # 글 더보기 [2017 노벨물리학상](https://steemit.com/kr-science/@yoon/the-nobel-prize-in-physics-2017-2017)
👍 yoon, saytan, beoped, wildy, mrafa, isaaclab, jiuun, lighthil, koinbot, ryanhkr, jeffreylikeyou, alflo, toru, tristan143, penguinpablo, jkkim, jtt0532m, timesup, littlestar, ramen, letitbe, vip, hamzaoui, kimsungmin, slowwalker, garudi, girina79, centering, dev1by0, cheerup, happyworkingmom, jhy2246, sampling, jay4u, greengreen, toxic-retriever, loki80, seongbuk, leemikyung, beatblue, woosungchoi, snow-airline, sunshineyaya7, skuld2000, thisvsthis, khj1225, skt, toktok, cheongpyeongyull, oldstone, holic7, xngstm, hunhani, yurizard, toptimist, promoted, rayheyna, etainclub, leesol, munginger, chromium, jyp, gil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