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도 쉽게 할 수 있는, AWS 무료로 사용하기 #2편. [ 무료 인스턴스 생성하기 ]

View this thread on: d.buzz | hive.blog | peakd.com | ecency.com
·@zzings·
0.000 HBD
초보자도 쉽게 할 수 있는, AWS 무료로 사용하기 #2편. [ 무료 인스턴스 생성하기 ]
![aws.png](https://cdn.steemitimages.com/DQmYp46wy3CTvPgwBTZaKVs57Xfeg1az68dxQpr1Adgsmht/aws.png)

안녕하세요. @zzings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한것처럼,  AWS에서는 1계정당, 무료사양의 1개의 인스턴스를 1년동안 사용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년이 지나고, 다른계정으로 가입하여 1년 무료 혜택을 이용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AWS 무료로 사용하기 가이드 2편. 무료 인스턴스 생성하기 입니다.**  계정생성은 지난 포스팅에서 다루었으니,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 지난 포스팅보기
- [1: AWS의 계정 생성하기](https://www.steemcoinpan.com/sct/@zzings/1-aws) 


## 2편. 무료 인스턴스 생성하기
지난 포스팅에서, 계정을 생성하였으니, 이제 사용할 인스턴스를 생성해보겠습니다. 인스턴스는, 클라우드상에 존재하는 원격 PC라고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다소, 친절하지는 않더라도, 따라하시는데 전혀 문제가 없이 가이드를 작성할 예정이니, 궁금한점은 댓글로 달아주세요!

---

### 1. 메뉴의 서비스 선택후, EC2 클릭
![08.JPG](https://cdn.steemitimages.com/DQmQTpCMH4qknGAC3jXXMbfc6adWsCCR5wN9aVZmJdUwyYK/08.JPG)

### 2. 인스턴스 메뉴 선택후 인스턴스 시작 클릭
![09.JPG](https://cdn.steemitimages.com/DQmafgEjdhp52yYveWfrKBMNmCNoRtohaiHaovyUCthnBXu/09.JPG)

### 3. 프리티어(무료사용) 체크후, 탐색창에 window 입력, Microsoft Windows Server 2019 Base 선택
보통 윈도우를 많이 사용하시니, 윈도우 생성 가이드를 작성했습니다. 리눅스도 같은 방식으로 생성하시면 됩니다. 
![10.JPG](https://cdn.steemitimages.com/DQmYL69zgghwsrAgu34CAFUE98FUm6rze2AkieN6T544PNp/10.JPG)

### 4. 인스턴스 선택, 프리티어(t2.micro) 선택후 검토 시작 클릭
선택한 사양은 VCpu 1 core에 1GB 메모리의 저사양 무료 인스턴스입니다.  생성시,  방화벽이나, 서브넷등 상세한 설정이 가능하지만, 단순히 BOT을 사용하는데 굳이 설정이 필요는 없습니다. 혹시, 본인의 PC에서만 접속 가능하도록 방화벽 설정이 필요하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11.JPG](https://cdn.steemitimages.com/DQmTWN4W52nXN9AhY3ZRhfNuvFnJVivAXPKiSkZLQfhraYF/11.JPG)

### 5. 인스턴스 생성 시작하기 클릭
![12.JPG](https://cdn.steemitimages.com/DQmR71oaX1zkoeZqinNQrcRtRdWHPYJLKR66AQaN3i9SBEv/12.JPG)

### 6. 키페어 다운로드후 인스턴스 시작
새 키 페어 생성 선택후 , 적당한 이름을 기입하고, 키페어 다운로드를 클릭합니다. 이 키 페어가 없으면, 비밀번호 분실시 접속이 불가능하니, 잘 보관해주세요.
![13.JPG](https://cdn.steemitimages.com/DQmUR5eYxEv2JZfLPiZuhiAXjKFvoGuJh7eQJKWd7TNdctK/13.JPG)

### 7. 인스턴스 생성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했는데, 아래와같이 오류메세지가 발생한다면.. 약 5분정도 대기후 다시 재시도 눌러주세요. 
![14.JPG](https://cdn.steemitimages.com/DQmbizieitSwtj1rXXBMSSjgiCWV6kNP5AeWVYyn6oFeE9i/14.JPG)

5분정도 대기후 다시 재시도를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15.JPG](https://cdn.steemitimages.com/DQmYXpKTTgYPuHAKSHcnDRnut6VZLh76BXDSyX2sAAft6hf/15.JPG)

### 8. 인스턴스 생성완료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인스턴스 상태에 running 이라고 표시가 되면, 정상적으로 생성 된것입니다. IPv4 퍼블릭IP가 접속IP이니 메모장에 적어주세요. 
![16.JPG](https://cdn.steemitimages.com/DQmYsUR6xE9RBFGbYeaoumtjubGTWjNP5asSbQnNYa5kX2E/16.JPG)


여기까지 하셨으면, 무료 인스턴스까지 모두 생성이 완료가 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인스턴스 접속하는 방법과, 클라우드PC에서 사용을 위한 간단한 셋팅을 가이드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